말복 입추 겹친 이유, '음력과 양력 때문에..'

김주연 2014. 8. 7. 13:5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말복 입추 겹친 이유

오늘(7일)은 가을을 알리는 입추이자 여름의 끝을 상징하는 말복이다. 올해는 왜 말복과 입추가 겹치게 된 것일까?

입추는 24절기 중 대서와 처서 사이인 13번째 절기로 여름이 지나고 가을에 접어들었음을 알린다. 말복은 일년 중 가장 더운 날이자 마지막에 오는 복날로 입추가 지난 첫 번째 경일을 뜻한다.

입추가 지난 뒤 첫 번째 경일을 말복으로 정하지만 올해는 입추와 경일이 겹쳤다. 말복과 입추가 겹친 이유는 날짜 계산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입추는 24절기에 포함돼 양력을 기준으로 날짜가 미리 정해진다. 반면 말복은 음력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6월~7월 사이에 날짜가 정해진다. 이는 하지 후 세 번째 경일(육십갑자 중 경자가 들어가는 날)인 초복을 기준으로 두 번의 경일이 지난 후다.

경일은 10일 간격으로 오기 때문에 초복 후 20일이 지나야만 말복이다. 입추와 말복 날짜 계산법이 서로 달라 올해처럼 초복이 빨리 오면 입추와 말복이 겹칠 수도 있다.

지난 2012년 8월 7일도 입추이자 말복이었다.

onnews@fnnews.com 온라인뉴스팀

☞ 공식 SNS계정 [페이스북][트위터]| ☞ 파이낸셜뉴스 [PC웹][모바일웹]| ☞ 패밀리사이트 [부산파이낸셜뉴스][fn아이포커스][fn아트]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