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기획..'韓애니'①] 한국 애니메이션의 태동과 현재

2014. 3. 16. 10:2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MBN스타 손진아 기자] 뮤지컬 애니메이션 '겨울왕국'(감독 크리스 벅, 제니퍼 리)이 천만 돌파 흥행 신기록으로 한국 애니메이션의 현재를 다시 한 번 바라보고 점검해볼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다.

개성 있는 캐릭터와 다양한 소재로 이뤄진 한국 애니메이션이 탄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그 시작은 언제부터였을까.

한국 최초의 극장용 애니메이션은 1967년 신동헌 감독이 제작한 '홍길동'이다. '홍길동'은 당시 소년조선일보에 연재되던 신동우 화백의 만화 '풍운아 홍길동'을 애니메이션화한 것으로, 영화 개봉과 함께 큰 인기를 모았다. '홍길동'을 시작으로 한국애니메이션의 새로운 장이 열렸다. 이후 '호피와 차돌바위'(1967), '흥부와 놀부'(1967), '황금철인'(1968) 등 다양한 작품이 소개됐다.

1970년대 외국 애니메이션 수입 열풍과 TV 대중화로 인해 국산 장편 애니메이션 제작은 정체기를 맞기도 했다. 정체기는 1976년까지 이어지다가 김청기 감독의 '로보트 태권V'(1976)가 등장하면서 국산 애니메이션 제작에 다시 불이 붙게 됐고, '태권동자 마루치 아라치'(1977), '77단의 비밀'(1978), '내 이름은 독고탁'(1984) 등이 만들어졌다.

1980년대에는 '마징가Z'를 모방한 '달려라 마징가X'(1978), 'E.T'를 모방한 '황금연필과 외계소년'(1983) 등 외국작품을 표절한 극장용 애니메이션이 등장하면서 국산 창작의 한계를 드러내기도 했다.

이후 한국 애니메이션은 제작 되지 않아 전무한 상황이었고, 1994년 제작된 '블루시걸'이 개봉되는 것을 계기로 재도약했다.

하지만 흥행 참패의 씁쓸함도 맛봤다. '슈퍼 차일드' '아마게돈' 등 다양한 작품들이 관습적인 제작방식에 의한 낮은 완성도, 실패한 합작관계 등으로 관객들에게 외면을 받았다.

씁쓸함은 국내 기술만으로 제작된 '아기공룡 둘리-얼음별 대모험'(1996)이 흥행에 성공하면서 부터 줄어들었다. 이후 '난중일기' '의적 임꺽정' '예수' 등이 개봉되며, 명맥을 이었다.

2000년대에는 약 4년의 제작기간과 30억 원 제작비를 투여한 이성강 감독의 '마리이야기'(2002)가 개봉했지만 10만 관객을 모으는데 그쳤다. 7년 제작기간과 120억 원의 제작비가 들어간 '원더풀 데이즈'(2003)는 개봉한 한국 애니메이션 중 큰 기대를 모은 작품 중 하나로 꼽힌다. 하지만 관객수 22만 명을 기록하면서 흥행에는 실패했다.

이후에도 '마당을 나온 암탉'(2011) '돼지의 왕'(2011) '파닥파닥'(2012) '창'(2012) '사이비'(2013) '우리별 일호와 얼룩소'(2014) 등 다양한 한국 애니메이션들이 등장했다. 특히 '마당을 나온 암탉'은 한국 애니메이션 사상 최다 관객인 220만 명을 동원하며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의 활기를 불어넣었다.

손진아 기자 jinaaa@mkculture.com

▷▷ MBN 뉴스 더보기

▶ [다시보기] 아쉽게 놓진 MBN 프로그램도 원클릭으로 쉽게!

▶ [MBN만화] 유명작가의 재미있고 섹시한 만화들을 지금 무료로 이용하세요~

▶ [NEW] 천기누설 스폐셜 한정판 VOD! '암,약초,효소'의 모든것

▶ [MBN운세] 고품격 운세! 오늘의 운세·이달의 운세·로또 운세 !

<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