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 찾겠다~ 쏙독새" 감쪽같은 위장술 포착

2014. 2. 24. 07:2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도대체 어디 있는 거지?" 아무리 눈을 씻고 찾아봐도 보이지 않는 감쪽같은 쏙독새의 위장술이 온라인에서 화제를 모으고 있다.

최근 유튜브에 "Can you spot the bird?(새를 찾을 수 있나요?)"라는 제목으로 게재된 총 58초 길이의 영상은 시작부터 특정 숲 모습만 계속 비춰준다.

제목대로라면 화면 속 숲 어딘가에 '새'가 존재한다는 말인데 도저히 보이지 않는다. 혹시 여기 숨어있나 의심되는 부분들은 여지없이 잎사귀나 나뭇가지일 뿐이다. 약 10초가량 경과되면 카메라가 갑자기 중앙 부분으로 줌인 되며 서서히 새의 윤곽이 드러난다. 놀랍게도 이 새는 예상과 달리 화면 정 중앙에 있었다. 다만 몸 색깔이 주위 환경과 엇비슷해 우리가 눈치채지 못했던 것뿐이다.

영국 일간지 데일리메일의 22일(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이 놀라운 위장술의 주인공은 바로 '쏙독새'다. 쏙독새는 국내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조류로 야행성이기에 낮에는 주로 어두운 숲속에 숨어 있다. 특히 침엽수와 매우 흡사한 '보호색'을 띠고 있기 때문에 언뜻 보면 새인지 나뭇가지인지 알아보기 어렵다.

해당 영상은 인간 시각능력 개발과 동물 위장술 분석을 목적으로 영국 엑서터 대학과 케임브리지 대학이 공동 제작한 것이다. 엑서터 대학 마틴 스티븐스 박사는 "위장색은 주위 환경과 비슷한 색을 불규칙하게 배열해 배경과 융화되도록 하는 것으로 자연 생존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며 "이는 전쟁무기, 군복, 도로 표지판 등 현대사회에도 응용되어 있는 중요한 개념이다. 이를 간단히 이해시키기 위한 취지로 영상을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또한 함께 연구에 참여한 케임브리지 대학 클레어 스포티우드 박사는 "쏙독새는 따로 둥지를 만들지 않고 숲 속 특정부분에 알을 숨겨 놓는 것이 특징"이라며 "자연 생태계에서 가장 조심스럽고 정밀한 생존방식을 보여주는 조류이기에 연구 가치가 높다"고 덧붙였다.

☞☞동영상 보러가기

동영상·사진=유튜브  

조우상 기자 wscho@seoul.co.kr

[나우뉴스 다른기사 보러가기] ☞ 48세女 귀에서 발견된 거대 구더기…이유가?☞ 남친이 '성관계' 거부하자 4개월 딸과 나체로…☞ 30세 목사, 본인 교회 다니는 16세女와 포르노를…경악☞ "놀아주세요"…女다이버 껴안는 바다소 포착☞ 10대 아들 방서 '쿵쿵'…문 여니 30대 알몸女가

2014년 갑오년 말띠해, 나의 신년 운세는 어떨까?

최신 속보와 뉴스 검색을 서울신문 모바일 웹에서 m.seoul.co.kr

별난 세상 별난 뉴스( nownews.seoul.co.kr)

★ 나우뉴스 통신원 모집합니다. ★

-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