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치서 타오른 성화' 제22회 동계올림픽 화려한 개막

2014. 2. 8. 01:1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역대 최다 88개국서 선수 2천800여명 참가..98개 금메달 놓고 각축 한국, 개회식서 60번째로 입장..금 4개 이상·3회 연속 톱10 목표

역대 최다 88개국서 선수 2천800여명 참가…98개 금메달 놓고 각축

한국, 개회식서 60번째로 입장…금 4개 이상·3회 연속 톱10 목표

(소치=연합뉴스) 배진남 고동욱 최송아 기자 = 지구촌 최대 겨울 스포츠 축제인 제22회 소치 동계올림픽이 8일 새벽(이하 한국시간) 러시아 흑해 연안의 휴양도시 소치의 피시트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화려한 막을 올리고 열이레간의 열전을 시작했다.

올림픽 성화가 소치의 밤하늘에 타오르면서 러시아는 프랑스, 미국, 독일, 이탈리아, 일본, 캐나다에 이어 7번째로 동·하계 올림픽을 모두 개최한 나라가 됐다.

러시아에서 올림픽이 열리기는 1980년 모스크바 하계 대회에 이어 두 번째다. 모스크바 대회는 사상 처음으로 공산권 국가에서 열린 올림픽으로 관심이 높았으나 1979년에 일어난 옛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에 항의해 미국·서독·일본·한국 등 67개국이 불참함으로써 '반쪽짜리 대회'로 치러졌다.

참가자들의 열정으로 가득한 겨울 스포츠 잔치를 즐기길 바라는 마음을 담아 '뜨겁고, 차갑게, 그대의 것'(Hot, Cool, Yours)이라는 슬로건을 내건 소치올림픽은 역대 최다인 88개국에서 2천800여 명의 선수가 함께한다.

도미니카공화국, 몰타, 파라과이, 동티모르, 토고, 통가, 짐바브웨 등 일곱 나라는 처음으로 동계올림픽 무대에 오른다.

개회식에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비롯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아베 신조 일본 총리 등 40여개국 정상들과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등이 참석했다. 우리나라에서는 유진룡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직접 행사를 지켜봤다.

오바마 대통령과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 스티븐 하퍼 캐나다 총리, 요아힘 가우크 독일 대통령 등 서방 세계 일부 정상들은 일찌감치 예고한 대로 불참했다. 이는 러시아의 '반(反) 동성애법' 제정, 인권 문제 등에 대한 항의 표시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한때 미국과 세계 양강 체제를 구축했던 러시아는 이번 대회 준비에만 500억 달러(약 54조원) 이상을 쏟아부어 자국의 달라진 위상을 알리려 애썼다.

160분간 펼쳐진 개회식 행사도 러시아 최초의 '차르'(황제)인 표트르 대제 시절의 전성기를 떠올리면서 러시아의 부활을 알리는데 중점을 뒀다.

개회식 총연출은 300편이 넘는 TV 프로그램을 연출하고 '운명의 아이러니' 등 약 30편의 영화 제작에도 참여한 콘스탄틴 에른스트가 맡았다.

공연 프로그램은 총 18개의 에피소드로 구성됐으며 러시아가 자랑하는 고전음악과 발레, 건축, 전통문화 등을 통해 러시아의 역사를 훑어보려 했다.

14세기 쿨리코보 전투, 19세기 나폴레옹 전쟁, 20세기 산업화 등이 음악, 율동, 조명을 통해 서사시처럼 펼쳐졌다.

따로 설명할 필요없이 전 세계인이 쉽게 러시아를 이해할 수 있도록 꾸몄다는 것이 에른스트의 말이다.

선수단 입장은 관례에 따라 고대 올림픽의 발상지인 그리스가 가장 먼저 하고 개최국 러시아 선수단이 마지막에 경기장으로 들어섰다.

두 나라를 제외하고는 러시아어의 알파벳 순서에 따라 입장했다.

우리나라는 폴란드의 뒤를 이어 스피드스케이팅 대표팀의 맏형 이규혁(서울시청)을 기수로 앞세우고 60번째로 피시트 경기장에 모습을 드러냈다. 이규혁은 이번 대회 참가로 한국 선수 중 동·하계 대회를 통틀어 올림픽 최다 출전 기록(6회)을 세웠다.

소치올림픽에 우리나라는 선수 71명과 임원 49명 등 총 120명의 선수단이 참가한다. 출전 선수도 역대 가장 많고 선수단 규모도 제일 크다.

지난해 9월 29일 그리스 올림피아 헤라 신전에서 채화된 올림픽 성화는 러시아로 옮겨져 1만4천여명의 주자에 의해 2천900여 개 도시와 마을을 돌아 이날 소치의 하늘을 밝혔다.

성화는 지난해 11월 우주 화물선을 타고 국제우주정거장(ISS)으로 옮겨지기도 하고 유럽 최고봉인 캅카스 산맥의 엘브루스봉과 바이칼 호수 바닥, 북극 등에도 들러 소치에 도착했다.

이번 대회는 남녀 스키 하프파이프, 여자 스키점프, 바이애슬론 혼성 계주, 루지 팀 계주, 피겨스케이팅 단체전 등 12개 세부 종목이 새로 추가돼 금메달은 4년 전 밴쿠버 대회의 86개에서 98개로 늘었다.

우리나라는 아이스하키를 제외한 스키, 빙상, 바이애슬론, 봅슬레이, 컬링, 아이스하키, 루지 등 6개 종목에서 기량을 겨룬다.

금메달 4개 이상을 획득해 2006년 캐나다 토리노 대회(7위)와 역대 최고 성적을 낸 2010년 밴쿠버 대회(5위)에 이어 3회 연속 종합순위 10위 이내 진입한다는 것이 우리 선수단의 목표다.

우리나라는 개회식 다음날인 8일 밤 스피드스케이팅 남자 5,000m에 이승훈(대한항공) 등이 출전해 본격적인 메달 사냥에 나선다.

hosu1@yna.co.kr, sncwook@yna.co.kr, songa@yna.co.kr

<현대판 '노예' 충격…신안 염전 경찰 뒷북 점검>
부산이전 영상물 공공기관, 우수기관 표창
<'1341일만의 승리'…쌍용차 해고자 "정의가 이겼다">
<올림픽> 빙속 대표팀 '맞춤형 훈련'으로 결전 대비
롯데카드 "정보유출 2차피해자 정신적 피해보상 검토"

▶댓글보다 재밌는 설문조사 '궁금한배틀Y'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