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01 특별부록지도 코스가이드 | 깃대봉·은두산] 북한강, 경춘국도, 경춘철길과 평행선 이루는 인기 높은 능선길

글·사진 박영래 객원기자 2014. 2. 4. 19:0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청평역과 대성리역을 기점으로 하는 수도권 당일코스로 각광

↑ [월간산]1 623.6m봉 남동릉에서 동쪽으로 조망되는 청평리. 조종천 건너는 호명산이다. 왼쪽은 가평 8경 중 제2경인 호명호수 댐이 역삼각형으로 보인다. 2 청평역 서쪽 중앙내수면 연구소 방면 길에서 철길 너머로 보이는 깃대봉 623.6m봉(오른쪽). 왼쪽 끝은 은두산.

천마지맥 상의 주금산(814m)에서 남동으로 가지 치는 능선이 있다. 이 능선이 서리산(825m)~축령산(836m)을 지나 675m봉(현재 가평군에서 세운 정상비석이 있는 헬기장)에 이르면 능선이 두 갈래로 나뉜다. 이곳에서 주능선은 북동으로 향하면서 은두산(銀頭山 · 686.3m · 국립지리정보원 지형도 상의 정상)을 빚어 놓은 다음, 약 3km 거리에 643.5m봉(깃대봉 정상비석이 있는 곳)을 들어올린다. 643.5m봉에서 약 1.1km 더 나아간 곳에 이르면 623.6m봉(국립지리정보원 지형도상 깃대봉 정상)으로 이어진다.

623.6m봉에서 계속 북동으로 향하는 능선은 서서히 고도를 낮추다가 약 2km 거리인 갈오현 고개를 지난 222.1m봉에 이르면 조종천에 가로막혀 방향을 남동으로 튼다. 이 능선은 약 1.5km 거리인 은고개(46번 국도)를 지나 약 0.8km 더 나아간 다음, 잔릉을 조종천에 가라앉힌다.

깃대봉은 옛날 봉화대 터였다고 전해진다. 봉화대 터가 있었다는 봉우리는 지형도상의 깃대봉인 623.6m봉이다. 깃대봉은 조종천변 안전유원지와 호명산 유명도에 가려 있던 산이다. 그랬던 깃대봉은 근래에 들어 조종천 안전유원지와 청평역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호명산과 함께 전철을 이용한 산행코스로 각광받고 있다.

깃대봉 등산기점인 청평리는 청평면의 중심마을이다. 마을은 조종천(朝宗川)이 말굽형(⊃자형)으로 감싸고 있는 형국이다. 이렇게 마을을 감싸고 돌아나가는 조종천이 북한강에 유입되면서 그 합수점 북동쪽 천변 둔덕 위에 널찍한 뜰을 이룬 곳이라 하여 맑을 청(淸)과 평평할 평(平)자를 써서 마을 이름이 생겼다고 전해진다. 또는 천변 둔덕 위에 유난히 돌이 많아 일명 돌밭골(石田洞)로 불리기도 했다.

은두산은 '대성리 국민관광지'를 품고 있는 산이다. 은두산도 깃대봉과 같이 대성리국민관광지 유명도에 가려져 있었다. 은두산은 최근 대성리역에서 곧바로 산행을 시작하는 등산코스가 개발되어 있다. 건각들인 경우 대성리역에서 합격봉 능선~오리고개~447m봉~은두봉을 경유해 북동릉을 타고 깃대봉~623.6m봉~청평역까지 종주 산행을 즐기기도 한다.

깃대봉과 은두산은 상봉전철역을 출발하는 춘천행 경춘선열차로 40분 안팎이면 닿을 수 있다. 따라서 하루해가 짧은 겨울철 수도권에서 당일치기 산행코스로 안성맞춤인 산이다.

깃대봉 등산코스는 청평리 청구아파트~ 심오암~약수터~갈오현고개~623.6m봉 북동릉~623.6m봉(전망데크), 가는골 입구~성불사~623.6m봉 남동릉~623.6m봉, 소석촌~큰갈울~ 한얼산기도원~576.9m봉 남동릉~ 576.9m봉(한얼산기도원 갈림목), 원대성~안골~승리기도원~오리고개~ 447m봉~675m봉 남릉~675m봉(은두산 정상비석)~은두산 정상(686.3m봉)~ 576.9m봉(한얼산기도원 갈림목), 대성리역~대성현~합격봉~ 오리고개~ 447m봉~675m봉 남릉~ 675m봉~ 은두산 정상~576.9m봉(한얼산기도원 갈림목) 경유 643.5m봉(깃대봉 정상비석)으로 오르는 코스가 대표적이다. 이 코스들을 청평 청구아파트를 등산기점으로 하는 코스부터 시계방향으로 소개한다.

↑ [월간산]623.6m봉의 전망데크. 맑은 날이면 이곳에서 북한강과 뾰루봉이 조망된다.

청구아파트~심오암~약수터~갈오현~623.6m봉~ 정상 < 청평역 기점 약 6.5km·2시간 30분 안팎 소요〉

청평리는 북쪽과 서쪽으로는 깃대봉 능선, 동쪽과 남쪽으로는 조종천을 사이에 두고 호명산과 마산이 병풍처럼 에워싸고 있다. 청평역은 남측과 북측 출입구가 있다. 남측 출입구는 호명산으로 갈 경우 이용된다. 깃대봉은 북측 출입구로 나간다. 북측 출입구를 나오면 택시승강장이 있고, 여기에서 도로를 건너면 무료주차장이 있다. 자가용 이용 시에는 이 주차장을 이용한다.

청평역에서 구청평역 자리~청평초교를 지나 청구아파트 입구 청평농협 앞까지는 10분 거리(청평 버스터미널에서 5분)다. 청평농협에서 46번 경춘국도 밑을 통과하는 지하차도를 빠져나가면 청평5리 마을회관 앞이다. 마을회관 앞에서 오른쪽 청구아파트를 지나 나타나는 마을 일원은 '가루게마을'이라 불리는 곳이다. 이곳은 옛날 마을 주변이 온통 칡덩굴로 어우러져 갈오개(葛五介)로 불리다가 가루게로 변한 것이다.

청구아파트를 지나 15분쯤 걸으면 다리를 건너 Y자 갈림목(심오암 안내판)에 닿는다. 갈림목 왼쪽 지능선 길은 623.6m봉 북동릉 푯말(깃대봉 2.5km)로 이어진다. 이 지능선 길은 거의 이용되지 않는다.

심오암은 팔작지붕의 전통사찰 건물과 달리 민가집 건물이다. 갈오현공원에는 체육시설과 약수터, 6각형 정자가 있다. 갈오현공원은 산보를 즐기는 청평 주민들이 수시로 드나들고 있다. 약수터에서는 산행 중 마실 식수를 수통에 담으면 된다.

청평농협-(지하도로 2분)→청평5리 마을회관-(2분)→청구아파트 103동과 104동 앞 T자 삼거리-(왼쪽 길로 12분)→다리 건너간 삼거리-(11분)→심오암 입구 사거리(왼쪽으로 심오암 보임)-(오른쪽으로 4분)→갈오현공원(체육시설과 약수터, ←깃대봉 정상 3.7km, 가루게 청구아파트 0.9km↓ 푯말)-(3분)→갈오현고개(←깃대봉 3.44km, ↓약수터 190m, 청평중학교 1.8km→ 푯말)-(6분)→심오암 갈림목(↑깃대봉 정상 3.25km 푯말)-(12분)→삼거리(다리 방면 능선길 갈림목 · ↑깃대봉 정상 2.5km 푯말)-(12분)→삼거리 푯말(↑깃대봉 2.1km)-(20분)→푯말(←위험 등산로 없음, ↑깃대봉 정상 1.5km)-(12분)→푯말(↑깃대봉 정상 1.2km)-(2분 · 약 60m)→623.6m봉(전망데크와 산불감시카메라 철탑 · ↑깃대봉 정상 1.1km, ←성불사 방향 2.9km 푯말)-(25분)→깃대봉 정상(←은두봉 정상 3.7km, ↓청평 가루게 청구아파트 4.6km, 상면 임초리 3.6km↗ 푯말).

↑ [월간산]1 청평역 북쪽 주차장에서 북서쪽으로 본 623.6m봉과 청구아파트(왼쪽). 느티나무(수령 300년 넘은 가평군 보호수) 뒤 안부 방면은 심오암 방면 토골이다. 2 성불사 갈림목과 만나는 623.6m봉 삼거리 푯말. 3 심오암의 돌탑. 이곳에서 왼쪽 길은 곧바로 623.6m봉 북동릉으로 이어진다.

가는골~성불사~623.6m봉 남동릉~623.6m봉~정상〈청평역 기점 약 5.5km·3시간30분 안팎 소요〉

청구아파트 입구 청평농협에서 서쪽으로 약 500m 가면 가는골 입구이다. 입구에 성불사 안내석과 깃대봉 등산코스안내판이 있다. 가는골은 통상적인 골짜기 협(峽)자를 쓰지 않고 좁다는 뜻인 좁을 협(狹)을 써서 일명 협곡(狹谷)으로도 불린다.

성불사는 기대와는 달리 일반 창고형 건물이다. 겨울에는 문이 잠겨 있고, 스님은 보이지 않는 절이다. 성불사 삼거리에서는 깃대봉 방면 푯말 화살표가 왼쪽으로 향해 있다. 그래서 모두 왼쪽 길로 올라간다. 푯말에서 왼쪽으로 올라가면 택지조성으로 인해 등산로가 끊어진다. 이 경우에는 오른쪽 건물 2채 앞을 지나간 T자 삼거리에서 흐릿해진 왼쪽 길로 오르면 된다.

김해김씨묘에서 낙엽송 숲 사이는 완만한 능선길이다. 낙엽송 숲 왼쪽으로 이어지는 능선부터는 급경사 길이다. 낙엽송 숲을 뒤로하는 급경사 길로 623.6m봉 전망데크까지는 40분 안팎 소요된다.

성불사 입구(←깃대봉 2.16km라고 쓰인 깃대봉 안내판, 성불사 안내석)-(12분)→성불사 건물 하단부 삼거리(←깃대봉 정상 3.50km, 3시간 소요 푯말)-(5분)→성불사 건물 오른쪽 상단부-(15분)→623.6m봉 남동릉 안부-(8분)→안부(묵묘 1기, 오른쪽 지능선으로 길 있음)-(약 40m)→전주이씨 묘-(3분)→푯말(↑깃대봉 정상 2.5km)-(20m)→김해김씨 묘-(10분)→푯말(↑깃대봉 정상 2.2km)-(10분)→푯말(↑깃대봉 정상 1.9km)-(3분)→오른쪽으로 낙엽송 숲-(10분)→아름드리 노송-(4분)→갈라진 바위(세미클라이밍)-(4분)→급경사 바위에 가로로 쓰러진 큰 참나무 밑 통과-(12분)→밧줄 난간 하단부-(7분)→약 80m 길이 밧줄 난간 상단부(2번째 밧줄 난간 하단부)-(2번째 밧줄 난간 길로〔길이 약 50m〕5분)→623.6m봉 전망데크-(왼쪽 서릉으로 25분)→깃대봉 정상.

전망데크가 있는 623.6m봉은 깃대봉 정상을 대신하는 봉우리이다. 그도 그럴 것이 이곳에서 서쪽으로 1.1km 거리인 정상비석이 세워져 있는 643.5m봉은 사방이 참나무 숲으로 에워싸여 시원한 조망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623.6m봉 전망데크에서는 막힘없는 조망이 터진다. 이곳에서 북동으로는 덕현리 조종천 협곡 건너로 청우산이 보인다. 청우산 오른쪽으로는 불기산과 주발봉이 펼쳐진다.

↑ [월간산]4 46번 국도에서 가는골 안으로 12분 거리인 성불사 삼거리. 오른쪽 가는골 위로 623.6m봉이 보인다. 5 623.6m봉 전망데크. 마룻바닥 밑에서는 눈보라나 비를 피할 수 있다. 눈보라를 피하고 있는 답사팀. 6 성불사에서 30분 오른 남동릉(첫 번째 푯말 직전)에서 나뭇가지 사이로 올려다 보이는 623.6m봉.

동으로는 청평 분지와 조종천이 조망된다. 조종천 건너로는 호명호수를 막고 있는 댐과 호명산 정상이 하늘금을 이룬다. 호명산 오른쪽으로는 청평댐과 신청평대교가 놓인 북한강 건너 뾰루봉이 마주 보인다. 남으로는 뾰루봉에서 화야산~고동산으로 이어지는 산릉과 은두산 방면 능선 사이를 가래질 하듯 패어내린 북한강이 시원하게 펼쳐진다.

소석촌~큰갈울~한얼산기도원~576.9m봉~정상 남서릉~정상〈약 5km · 2시간30분 안팎 소요〉

한얼산기도원 입구 마을은 밝을 소(昭)와 돌 석(石)자를 써서 소석촌이라 불린다. 한얼산기도원은 지형도에 '큰갈울'로 표기된 곳에 자리하고 있다. 문헌에는 갈월(葛越)로 표기되어 있다.

옛날 계곡 입구 소석촌에서 갈월마을로 갈 때는 칡넝쿨을 넘지 않고는 들어갈 수 없을 정도로 칡넝쿨이 우거졌었다고 전해진다.

소석촌 장원식당 앞-(1시간)→ 한얼산기도원 구내매점-(30분)→전나무숲 오른쪽 푯말(↑깃대봉 1.6km, ↑은두산 3.5km, ↓한얼산기도원 400m)-(40분)→576.9m봉(↓한얼산기도원 1.1km 푯말)-(5분)→푯말(↓한얼산기도원 1.72km)-(20분)→깃대봉 정상비석(643.5m봉).

한얼산기도원 코스는 올라가기보다는 하산코스로 많이 이용된다. 청구아파트나 성불사 방면에서 623.6m봉을 경유해 정상비석이 있는 643.5m봉에 이른 경우 백 코스로 청구아파트나 성불사로 내려가지 않고, 대부분이 한얼산기도원으로 하산한다.

↑ [월간산]1 한얼산기도원 갈림목에서 깃대봉 정상으로 향하는 능선길. 온통 참나무 군락이다. 2 한얼산기도원 구내매점에서 1시간 거리인 576.9m봉 한얼산기도원 갈림목 푯말이 서 있다. 3 깃대봉 정상비석. 비석에는 산 높이가 623.6m로 쓰여 있다. 그러나 623.6m봉은 동쪽 1.1km 거리인 전망데크가 있는 곳이다. 비석이 세워진 이곳은 국립지리정보원 발행 지형도에는 643.5m로 표기된 곳이다.

623.6m봉(전망데크)-(25분)→깃대봉 정상석(643.5m)-(16분)→한얼산기도원 갈림목(576.9m봉 · ←한얼산기도원 1.1km 푯말)-(25분)→전나무 숲 왼쪽 푯말(↓깃대봉 1.6km, ↓은두산 3.5km, ↑한얼산기도원 400m)-(20분)→한얼산기도원 구내매점-(40~45분)→소석촌 장원식당 앞.

원대성~승리기도원~447m봉 남동릉~675m봉(은두산 정상석) 남릉~675m봉~은두산~깃대봉 정상〈대성리역 기점 약 10km · 약 4시간 30분 안팎 소요〉

대성리는 조선조 때 명나라 사신이 이 지역을 지나던 중 뿌연 물이 계곡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보고 계곡을 따라 올라가보니 대성사라는 사찰에서 쌀을 씻은 물이 흘러내린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그때부터 이곳을 대성리라 부르게 되었다는 설이 전해진다.

일설에는 곡식을 되는(測定) 되(升)가 크다는 대승(大升 · 인심이 후하다는 뜻), 또는 지형이 큰 성 같다는 대성(大城), 크게 번영할 고장이라는 대성(大成) 등의 뜻에서 마을 이름이 생겼다는 설도 전해진다.

대성리의 본고장인 원대성(原大成)은 옛날 관아(官衙)가 있던 곳이다. 현재 원대성에서 대성리역 방면 약 500m 거리에 '관터'라는 지명이 남아 있다. 원대성에서 승리기도원(안대성)으로 패어든 계곡을 이곳 주민들은 '안골'이라 부른다. 승리기도원 출입문에서 15분 거리인 오리고개는 고개 남쪽 오리동(梧里洞)으로 넘나드는 곳이다.

447m봉에서 북으로 향하는 능선 길 초입은 바위지대가 능선 길을 가로막는다. 바위 앞에서 왼쪽 사면 길로 들어서면 곧이어 오른쪽 ∪자형으로 패인 바위 안부를 넘어간다. 바위 안부를 넘어가면 왼쪽 바위지대 사면으로 산길이 이어진다. 바위지대 사면 길로 6~7분 올라가면 푯말(↑은두산 1.6km, ↓원대성 3.8km)이 있는 능선 길로 올라선다. 이후 1시간 넘게 올라가면 헬기장에 은두산 정상 비석이 있는 675m봉으로 올라선다.

↑ [월간산]

675m봉에는 가평군에서 세운 정상석이 있다. 그러나 국립지리정보원 발행 지형도에 은두산 정상은 675m봉에서 북동으로 15분 거리(약 500m)인 686.3m봉으로 되어 있다. 686.3m봉은 온통 잡목으로 뒤덮여 있기 때문에 전혀 조망은 안 되는 곳이다. 그래서 예전 가평군 담당자가 정상비석을 675m봉에 잘못 세운 것으로 추정된다. 675m봉의 비석에는 한문으로 구름 운자를 써서 '雲頭山(운두산) · 696m'라고 음각되어 있다. 주변에는 해발 696m가 되는 봉우리가 없기 때문에 수정(修整)되어야 할 내용이다.

은두산 실제 정상인 686.3m봉을 뒤로하면 곧이어 원대성리 갈림목이 있는 삼거리가 나온다. 삼거리에서 오른쪽(남동릉) 능선 길은 승리기도원이 있는 안골 방면 길이다. 깃대봉 정상까지 가는 시간이 촉박할 경우 이곳에서 안골로 하산한다. 마을주민들은 이 능선 길은 산길이 흐릿하고 길을 잃는 경우가 많아 잘 다니지 않는다고 한다.

삼거리를 뒤로하는 깃대봉 방면 624.6m봉 사이는 온통 철쭉군락지대이다. 624.6m봉을 지난 내리막 능선길 오른쪽은 규모가 널찍한 아름드리 잣나무 숲 지대로 이어진다. 잣나무 숲이 끝나면 바위지대가 나온다. 바위지대를 지난 안부부터 한얼산기도원 갈림목까지는 완만한 오르막이다.

원대성 교차로-(대성2리 마을회관을 지나 약 100m)→다큐하우스 앞 사거리(은두산 원대성길 안내판 · 은두산 정상 5.8km 푯말→)-(4분)→펜션 슈퍼(가게)-(25분)→철망문(항상 열려 있음)-(5분)→오른쪽 지계곡 방면 갈림목(686.3m봉〔은두산〕 남동릉 방면 갈림목)-(8분)→승리기도원 출입문(↑은두산 정상 3.5km 푯말)-(2분)→ㅓ자 삼거리(←은두산 정상 3.3km, 원대성리 2.5km↓ 푯말)-(왼쪽 길로 12분)→합격봉 방면 길과 만나는 안부 사거리-(오른쪽 능선으로 18분)→푯말(↑은두산 정상 2.6km, 원대성리 3.2km↓)-(20분)→675m봉 남릉 447m봉-(바위 안부 지나 12분)→푯말(↑은두산 1.6km)-(20분)→542.3m봉(노송)-(8분)→푯말(↑은두산 900m)-(20분)→594.9m봉-(12분)→675m봉(헬기장 · 은두산 정상석 · ←축령산 4.5km, ↓원대성리 5.8km, 깃대봉 정상 3.7km→ 푯말)-(15분)→686.3m봉을 지난 삼거리(원대성리 5.1km→ 푯말)-(18분)→624.6m봉-(13분)→534.2m봉-(15분)→581.9m봉-(3분)→한얼산기도원 갈림목(576.9m봉 · 한얼산기도원 1.1km→ 푯말)-(20분)→깃대봉 정상.

대성리역~대성3리 마을회관~대성현~합격봉~447m봉 남동릉~675 남릉~675m봉~은두산~한얼산기도원 갈림목~깃대봉〈약 11.5km · 5시간 안팎 소요〉

대성리역 일원은 가평군청으로부터 약 25km 지점이다. 수도권 방면인 남양주시 화도읍 구암리에서 구운천(九雲川)을 건너 가평군 청평면으로 들어서는 관문이기도 하다. 이곳은 구운천이 북한강과 합수되는 곳이다. 이 합수지점 일원은 옛날에는 넓고 아름다운 꽃밭을 이뤄 화랑포(花郞浦)라 불렸다 전한다. '화랑'이라는 단어는 꽃다운 청춘을 뜻하기도 한다. 그래서일까 대성리역 주변은 예전부터 '대성국민관광지'로 지정되어 꽃다운 나이의 청춘남녀들의 MT 장소로 사랑받고 있다.

↑ [월간산]1 원대성에서 승리기도원 방면 안골(원대성길) 들목인 삼거리. 안내판 뒤로 보이는 안부와 산은 대성현과 합격봉이다. 2 승리기도원 출입문 앞에서 2분 거리인 오리고개 방면 갈림목 푯말. 오른쪽으로 계류 건너 승리기도원 건물이 살짝 보인다. 3 승리기도원, 대성리역 방면, 447m봉 방면, 오리동 방면 길이 만나는 오리고개.

대성3리 마을회관 앞을 지나는 길은 '남이봉길'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다. 길 이름이 남이봉길로 명명된 이유는 옛날 남이장군이 이 마을에 머물다 갔다는 데서 생겼다. 이 길을 따르면 구운천변에 남이터(南怡垈·대성리 5반)라는 마을이 있다.

은두산 남이봉길 안내판에서 오른쪽 능선(합격봉 남동릉) 길로 10분 오르면 오른쪽 잣나무 숲 사이로 대성초등학교가 보인다. 잣나무 숲을 벗어나면 189.1m봉을 지나간다. 189.1m봉을 뒤로하고 약 15분 거리에 이르면 무명봉 삼거리다. 오른쪽 길은 원대성과 대성리역 사이 46번국도변 관터 방면이다. 관터 방면 등산로는 거의 이용되지 않는다.

무명봉에서는 북동으로 합격봉과 은두산이 시야에 들어온다. 은두산에서 오른쪽으로는 안골 건너로 깃대봉 방면 산릉들이 올려다 보인다. 북동으로는 원대성 번화가와 북한강이 뾰루봉과 함께 조망된다.

대성현은 옛날 서쪽 대성3리 오리동(더 멀리로는 수동리) 방면에서 동쪽 대성2리 원대성을 경유해 46번국도와 연결되는 98번 국지도가 넘나들던 고개였다. 지금은 대성현 고개 밑으로 터널이 뚫려 대성현은 차량통행이 거의 없는 한적한 오솔길로 변해 있다. 고갯마루 왼쪽 나뭇가지에는 '학생수련원 비박장소'라고 쓰인 푯말이 걸려 있다.

대성리역-(5분)→대성초교 지난 대성리 MT촌 안내판(대성3리 삼거리)-(오른쪽 대성3리 마을회관 지나는 골목길로 약 80m)→풍림캠프 지난 사거리-(오른쪽으로 약 50m)→은두산 남이봉길 안내판(대성리번영회)-(오른쪽 능선〔밧줄〕으로 약 50m〔3분〕)→완만한 능선으로 진입-(20분)→189.1m봉-(4분)→묘 2기(양근 함씨 묘)-(3분)→묘역(묘 20여기)-(오른쪽 사면 길로 4분)→묘역(묘 12기)-(3분)→무명봉 삼거리(오른쪽은 관터 방면 길)-(왼쪽 능선으로 8분)→대성현-(청주한씨 묘 지나 잣나무 숲 왼쪽 능선 길로 5분)→잣나무 숲 끝나는 지점-(18분)→294.5m봉(합격봉 · 소나무 2그루)-(14분)→송전철탑-(5분)→오리고개(승리기도원 갈림목). 이후 직진하는 능선 길로 447m봉~675m봉~은두산 정상~한얼산 기도원 갈림목 경유 깃대봉으로 향한다.

은두산 정상석이 있는 675m봉에서는 남동으로는 북한강 건너 뾰루봉이 보인다. 뾰루봉 너머 멀리로는 장락산 널미재 봉미산이 시야에 들어온다. 남으로는 화야산과 고동산이 멀리 유명산, 용문산과 함께 보인다. 남서쪽으로는 천마산과 백봉이 펼쳐진다. 서쪽으로는 천마산 북릉과 이어지는 철마산 능선 너머로 불암산과 수락산이, 쾌청한 날에는 더 멀리로 북한산과 도봉산도 조망된다. 북서쪽으로는 축령산과 주금산, 북으로는 현리와 운악산, 북동으로는 청계산, 귀목봉, 명지산 등이 조망된다.

↑ [월간산]

INFORMATION

교통

열차편 ■상봉역→대성리역·청평역

7호선과 중앙선 환승역인 상봉역에서 평일 1일 54회(05:08~22:48), 토·일·공휴일 1일 42회(05:33~22:48) 운행하는 경춘선 열차 이용. 대성리 40분, 청평역 43분 소요.

용산역·왕십리역·청량리역→청평역

춘천행 ITX 청춘열차 이용. 기존 경춘선 전동열차와 달리 청량리역~평내호평역~청평역~가평역 외에는 정차하지 않는다.

버스편 ■서울→대성리·청평

청량리역 환승 정류장에서 10분 간격(05:20~22:10)운행하는 청평(종점)행 1330번, 70분 간격(05:40~18:20) 운행하는 1330-1번 대성리행, 37분 간격(06:00~21:40) 운행하는 1330-2번 가평행, 30분 간격(05:50~19:40)으로 운행하는 목동행, 30분 간격(06:40~20:40) 운행하는 현리행, 33분 간격(05:02~21:25) 운행하는 설악행 1330-5번·1330-8번 등 광역버스 이용. 청평 터미널 안내전화 031-585-7242.

■서울→대성리

청량리 환승정류장에서 30번(청량리~대성리), 강변역에서 93번(강변역~대성리) 일반 및 잠실역에서 1115번(잠실역~대성리), 8002번(잠실역~대성리) 광역버스 운행.

↑ [월간산]관터 갈림목을 지난 개활지(開豁地)에서 북동쪽으로 내려다보이는 원대성과 북한강.

■동서울터미널→대성리·청평

전철 2호선(강변역) 동서울터미널에서 1일 57회(06:00~23:30) 운행하는 춘천행 버스 이용. 대성리 3,500원, 청평 4,300원.

택시

한얼산기도원~장원식당 앞으로 하산 할 경우 청평역 및 청평터미널 방면은 택시를 불러야 편하다. 문의 청평 택시 031-584-1183, 584-1265, 584-2252.

식사 및 숙박(지역번호 031)

■청평역 일원

구 청평역 부근에 자리한 중화요리(584-6090), 병천아우네장터순대(584-2995), 춘천꼬꼬닭갈비(584-0171), 구 청평역에서 청평초교 방면 동해회수산(584-3385), 이조참숯갈비(584-1700), 명품 아구찜 닭갈비(584-8769) 등 이용.

■청평농협 일원

청구아파트 입구인 청평농협 부근에 자리한 소문난 해장국(584-3109), 덕영감자탕(584-4855), 꽃돼지 숯불 삼겹살 구이(585-3292), 지하도로를 빠져나간 청구 아파트 입구 빨강짬뽕(584-8891) 식당 등 이용.

■한얼산 기도원 입구 일원

장원식당(584-0828) 한 곳이 있다. 이 식당에서 매운탕, 닭도리탕, 엄나무백숙, 감자전, 토토리묵 등을 판다. 하산을 이곳으로 하는 경우 이 식당을 이용하면 식사 후 식당 차량으로 청평역이나 청평터미널로 태워다 준다.

↑ [월간산]1 관터 갈림목이 있는 무명봉 못미처에서 북으로 본 은두산(지형도상의 정상인 686.3m봉) 남동릉. 남동릉 뒤는 깃대봉 방면이다. 2 675m봉의 은두산 정상석. 가평군에서 세운 비석에는 엉뚱하게 '운두산(雲頭山) 696m'라고 쓰여 있다. 국립지리정보원 지형도에는 이곳에서 약 500m 거리인 686.3m이 정상으로 표기되어 있다.

■원대성 일원

옛할머니손두부 등나무가(家)(584-0667), 착한식당(585-9295), 남원본가추어탕(584-2217), 춘천막국수(584-1263) 등 이용.

■대성리역 일원

역전 맞은편 양평해장국(585-9681), 제일곰탕쌈밥(584-1393), 착한닭갈비(584-5616), 역전 나가서 오른쪽 덕원설렁탕(584-8362), 대성초교 옆 맛있는 밥상(584-6838), 소문난 수제막국수(584-4198), 대가집 춘천막국수(584-0660), 그린 춘천 닭갈비 막국수(584-4289) 등 이용.

▶ 고단함 달래주는 뜨끈한 한그릇… 경상도 사람들의 '소울푸드'

▶ 대한항공 '틸트로터' 무인기, 이르면 상반기에 선보여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월간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