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속 예능 '우리 집 동물의 세계'로 뛰어들다

2013. 12. 26. 14:4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MBN스타 금빛나 기자] 각 방송사들이 '개판'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기 시작했다.

애견인 천만시대가 도래했다. 과거 집을 지키기 위해 혹은 서로 다른 이유와 목적을 가지고 길러지며 가축(家畜)으로 분류됐던 동물들은, 어느 사이인가 그 영역을 넘어서서 이제는 주인과 교감하고 사랑을 나누는 '가족'이라는 개념으로 분류 되고, 어느덧 개를 기르는 인구가 천만이 넘을 정도로 그 수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반려동물에 대한 애정이 높아질수록 사람들은 자신의 가족이 된 반려동물들을 위해 소비하는 것을 아끼지 않고 있다. 이와 발맞춰 반려동물의 대표주자로 꼽히는 애견사업 뿐 아니라 다양한 동물들을 위한 상품들이 속속들이 등장하면서 변화된 세대를 증명하고 있다. 실제 KT경제경영연구소에 따르면 국내 전체 가구의 17%인 360만 가구에서 반려동물을 기르고 있으며, 이런 추세라면 2020년 반려동물 시장은 약 6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반려동물의 시장은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르게 발전해 나가고 있으며, 트렌드에 민감한 방송사들은 대중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반려동물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내 놓으며 발 빠르게 움직여 나가고 있다. 기발한 재주나 특별한 사연, 혹은 쉽게 접할 수 없는 동물들을 소개해주는 SBS '동물 농장'이나 야생의 세계를 다룬 KBS1 '동물의 세계' 외에 우리의 삶 가장 가까이 있는 반려동물들의 삶을 다루는 프로그램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지난 10월 첫 방송된 KBS2 '슈퍼독'은 최고의 스타견과 모델견을 뽑는 국내 최초 애견오디션 프로그램이다. 전국 방방곡곡에 있는 강아지들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순수 혈통을 자랑하는 강아지에서부터 우리 집 안마당에서 뛰어노는 '바둑이'까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슈퍼독'은 주인과 반려견의 화합과 교감을 높이고자 하는 기획의도를 내세우며, 초반 애견인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여기에 애견주인이라면 누구나 '슈퍼독' 참여할 수 있다는 조건들도 시청자들이 성큼 프로그램에 다가서며 친밀함을 높이는데 일조했다.

'슈퍼독'의 뒤를 이어 등장한 반려동물 프로그램은 MBC 파일럿 프로그램 '우리집 막둥이'이다. '우리집 막둥이'는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가족 예능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해 연예인 가족이 반려동물을 직접 키우며 벌어지는 좌충우돌 일상을 담는 프로그램이다. 반려동물로 가장 많이 키우는 개를 키우는 장미여관의 육중완과 손병호 가족 뿐 아니라, 아기 염소를 키우는 지석진 가족과 미니피그를 키우는 신해철의 가족의 풍경을 보여주면서 다양한 반려동물들의 이야기를 다뤄 눈길을 끌었다.

온스타일 '펫토리얼리스트' 역시 애완견을 다룬 프로그램 중 하나이다. 걸그룹 카라의 멤버 구하라, 모델 겸 배우 홍종현, 브라운아이드걸스의 멤버 제아 세 스타의 애견 스타일을 보여주는 '펫토리얼리스트'는 반려동물을 키우거나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솔깃할 만한 펫 패션, 뷰티, 레저 등 다양한 '펫 라이프스타일'에 관련된 정보를 전하고자 만들어진 프로그램이다.

'펫토리얼리스트' 관계자는 반려동물을 다루는 프로그램이 동시기에 등장하게 된 배경에 대해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천만이 넘으면서, 최근 브랜드에서도 펫과 관련된 용품들도 많이 나오고 있다. 과거 반려동물을 단순히 기르는 차원에서 벗어나 이제는 개와 생활을 영유하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굉장히 많아졌다는 것"이라며 "반려동물 프로그램이 점차 늘어나는 것은 우리 삶의 관심사 중 하나가 바로 반려동물과의 어울림이라는 것을 잘 알려주는 예라고 할 수 있다"고 전했다.

동물 프로그램의 붐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연예인이 동물을 직접 키우면서 생기는 에피소드를 담은 예능프로그램 KBS2 '자유선언 토요일―가족의 탄생' TV조선 '동고동락'과 동물 버라이어티 쇼인 MBN '기막힌 동물원' tvN '캣츠 앤 독스' 등을 선보이며 시청자들과 만나온 바 있다.

하지만 반려동물과 함께 생활하는 인구수가 늘어난다고 무조건 시청률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앞선 프로그램들은 반려동물과 함께 생활하는 이들 뿐 아니라 일반 시청자들의 마음 또한 사로잡지 못한 채 저조한 시청률로 조용히 사라졌기 때문이다.

이는 이번에 등장한 반려동물 프로그램에서도 고스란히 나타났다. 가장 먼저 선보인 '슈퍼독'의 경우 애견인 천만시대,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애견시장과 이와 함께 떠오르고 있는 애견 문화를 다룬다는 취지로 야심차게 안방극장에 출격했지만 정작 결과는 3%대(닐슨리서치, 전국기준, 이하 동일) 내외의 저조한 시청률의 늪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집 막둥이' 역시 예외는 아니다. 그동안 원체 시청률이 부진했던 MBC 금요일 10시대에 편성됐다는 점과, 인기 프로그램인 SBS 예능프로그램 '정글의 법칙'과 tvN 예능프로그램 '꽃보다 누나' 사이에서 경쟁을 벌였다는 불리함이 있기는 하나 전작인 다큐멘터리 '곤충'이 기록했던 5.8%보다 1.3%P 하락한 4.5%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슈퍼독'과 '우리집 막둥이'의 부진의 이유로 꼽히는 이유 중 하나는 바로 반려동물들과 주인 사이 극적인 감동이나 재미를 줄만한 드라마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주인만을 올곧게 바라보며 애교를 피우는 반려동물은 사랑스럽다. 문제는 여기서 끝이라는 것이다. '우리집 막둥이'의 경우 자는 도중 갑자기 사라져 버린 육중완의 강아지나, 실컷 주인과 뛰어 논 후 꼼짝도 하지 않는 지석진네 아기 염소의 모습을 카메라에 비추며 긴장감을 주고자 했다. 그러나 이후 다시 주인과 함께 뛰어노는 모습을 예고편으로 보여주면서 이러한 긴장감을 상쇄시켰을 뿐 아니라 프로그램의 흥미를 떨어뜨리는 결과를 낳게 했다. 예선단계에서 이미 견주와 애견의 사연을 공개해버린 '슈퍼독'의 경우 주인과 견공이 서로 교감하는 모습보다는 견공의 장기자랑에 치중해 '극적인 재미'를 놓치는 아쉬움을 낳게 했다.

반려동물에 대한 관심과 인기가 높아지는 만큼, 변화하는 트렌드에 따라 방송계에서는 반려동물 프로그램들을 꾸준히 내놓을 수밖에 없다. 다만 이제 더 이상 소재만으로 사람들의 관심을 모으던 시기는 지났다. 아무리 자신이 사랑하는 동물들이 등장하더라도 프로그램에 대한 흥미를 느끼지 못한다면 시청자들의 외면을 받을 수밖에 없다. 단순하게 반려동물들이 등장하는 프로그램에서 벗어나 프로그램만이 전해 줄 수 있는 재미를 찾아 치열하게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

금빛나 기자 shinebitn917@mkculture.com

▷▷ MBN 뉴스 더보기

▶ 백년기업으로의 도약을 꿈꾸신다면 '가업승계 컨설팅'을 신청하세요!

▶ [MBN만화] 유명작가의 재미있고 섹시한 만화들을 지금 무료로 이용하세요~

▶ [NEW] 중국어 절대 어렵지 않아요~ 이젠 노래로 배우며 쉽게 중국어 배우자!

▶ [MBN운세] 고품격 운세! 오늘의 운세·이달의 운세·로또 운세 !

<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