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주일의 어린이 책] 얘들아, 몸 배배 꼬지 마..네 생각이 그냥 글이야

2013. 8. 24. 04:3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다 아는데 자꾸 말한다/ 초등학생 58명 지음/주순영 엮음/ 김효은 그림/보리/168쪽/1만원

[서울신문]'어른들은 자꾸 아는 것을 매일 말한다. 알고 있는 것을 다 알면서 말할 때 나는 대답하는 게 싫다. 필요 없이 말을 하는 것 같아서다. 대답을 안 할 때를 더 늘려야겠다. 예를 들면 목이 마를 땐 물을 마시라는 것.'(다 아는데-조휘수)

'약국에서 약을 사 먹었다. 약이 염소 똥 같았다. 난 그 약이 똥 맛인 줄 알았다. 근데 약은 약이다. 염소 똥이 효과가 많네.'(오뎅-김유미)

문장 하나하나에 천진하고 솔직한 아이들의 눈망울이 맺힌다. 초등학교 1, 2학년 아이들이 실제 쓴 일기를 담은 '다 아는데 자꾸 말한다'에서다. 매끄럽게 다듬은 글이 아니라 '빵꾸' '쫄다구' 같은 거칠고 잘못된 표현도 군데군데 박혀 있다.

하지만 글을 쓰라고만 하면 '쓸 게 없다'며 몸을 배배 꼬는 초등 저학년 아이들에게 건네면 좋을 책이다. 글쓰기는 어렵지 않다는 것, 글감은 항상 우리 곁에 있다는 것, 생각을 담백하게 옮기는 것만으로도 좋은 글이 나온다는 걸 자연스럽게 일러준다. 또래 친구들이 쓴 꾸밈없는 이야기를 읽으면 덩달아 자기 이야기를 쏟아내는 아이들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교사 출신인 저자가 자신이 가르친 강원 삼척 진주초등학교 1학년과 원주 치악초등학교 2학년 어린이들의 문집에서 고른 일기 153편을 삽화와 함께 실었다.

저자는 1993년 아동문학가 고 이오덕 선생이 세운 한국글쓰기연구회에 들어가 어린이,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글쓰기 교육에 힘써 왔다. 때로는 풀이 죽고, 때로는 신바람이 난 아이들을 묘사한 연필선 그림에서 따뜻한 동심이 배어난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서울신문 다른기사 보러가기] ☞ 귀가하는 여성 폭행범 잡고 보니… 6년 전 '수원 카페 여주인' 살해범☞ 결혼한 아들이 전화를 했다 "엄마! 바퀴벌레 좀 잡아줘…"☞ [주말인사이드] 신제품 개발자들의 희로애락 24시☞ 건보료 1000만원 이상 체납자는 이 사람들!☞ 신라호텔 식당가, 또 미취학 아동 출입금지 논란 빚고 20일만에 철회

2013년 계사년 뱀띠해, 나의 신년 운세는 어떨까?

관심종목에 대한 증권 전문가의 상세한 진단과 분석 서비스

최신 속보와 뉴스 검색을 서울신문 모바일 웹에서 m.seoul.co.kr

'맛있는 정보! 신선한 뉴스!' 서울신문( www.seoul.co.kr) [ 신문 구독신청]

-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