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성검사 정복하기] <15> 유형별 공략법(ⅹ) 어문규정(표준 발음)

2013. 4. 12. 17: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표준발음 문제는 비중은 크지 않지만 많은 학교에서 꾸준히 출제하고 있는 유형이다. 어문규정 관련 문제가 거의 그렇지만 표준발음 역시 규칙이 너무 많기 때문에 전부 외우고 문제를 풀 수 없다. 따라서 일단 틀리기 쉬운 규칙들만 외워두고, 나머지는 새로운 단어를 접할 때마다 정확한 발음과 표기법을 입에 붙게 만들어야 한다. 많은 규칙을 외워 각 단어마다 그 규칙을 적용하는 방식은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할 뿐 아니라, 규칙에 적용되지 않는 단어들은 따로 외워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아래 수록된 표준발음 규칙들의 경우에도 규칙 자체를 외우기보다는 규칙에 따라 발음하는 연습을 해라.

▨ 표준 발음

1. 음절의 끝소리 규칙

① ㄱ,ㄴ,ㄷ,ㄹ,ㅁ,ㅂ,ㅇ 등의 일곱 소리 이외의 자음이 음절의 끝에 오면 이 일곱 발음 중 하나로 발음된다. ('ㄲ, ㅋ'은 [ㄱ]으로, 'ㅅ, ㅆ, ㅈ, ㅊ, ㅌ'은 [ㄷ]으로 'ㅍ'은 [ㅂ]으로 발음되고, 'ㄴ, ㄹ, ㅁ, ㅇ'은 변화 없이 본음대로 각각 [ㄴ, ㄹ, ㅁ, ㅇ]으로 발음된다.)

ex) 낫→[낟], 닦다→[닥다], 덮다→[덥다]

② 받침 뒤에 모음이 오는 경우

a. 형식 형태소가 뒤따르는 경우: 앞 단어의 받침에 있던 소리를 살려 발음한다.

ex) 낫으로→[나스로], 옷이[오시]

b. 실질 형태소가 뒤따르는 경우: 음절의 끝소리 규칙을 따른 후 발음한다.

ex) 꽃 위→[꼬 뒤], 옷 안[오단]

* 실질형태소 - 구체적인 대상이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형태소. '철수가 책을 읽다.'에서 '철수', '책', '읽'.

형식형태소 - 실질 형태소에 붙어 주로 말과 말 사이의 관계를 표시하는 형태소. 조사, 어미 따위가 있다.

어렵다고 생각하지 말고, 찬찬히 살펴보면 이미 70~80%는 알고 있는 내용이다. 일단 ①에 제시된 대로,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이 외의 자음은 받침으로(어말이나 자음 앞에서) 발음되지 않는다. 실제로 받침 있는 단어들을 발음해보면 다른 자음이 발음되지 않는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즉, 이 부분은 외울 필요도 없이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것이다. 외워야 할 것은 ②의 a이다. 받침이 어말이나 자음 앞에 올 때는 끝소리 규칙을 그대로 따르면 되지만 모음, 그 중에서도 형식형태소가 올 때에는 받침을 그대로 살려 발음해야 한다. 여기서 실질형태소와 형식형태소가 무엇인지 억지로 외우려고 하지 말고, 위의 예시를 통해 자연스럽게 익혀라. '으로', '이' 같은 것이 형식형태소이고, '위', '안' 같은 것이 실질형태소이다. 뜻풀이 백 번 보는 것보다 훨씬 감이 잡히지 오지 않는가? 실질형태소가 올 때에는 원래대로 음절의 끝소리 규칙을 따르면 된다.

2. 겹받침의 발음 'ㄳ', 'ㄵ', 'ㄼ', 'ㄽ', 'ㄾ', 'ㅄ'

① 자음 앞에 있는 겹받침은 첫 번째 자음을 발음한다.

ex) 넋[넉], 앉다[안따], 여덟[여덜], 외곬[외골], 핥다[할따], 값[갑]

예외-

ⅰ) '밟-'은 자음 앞에서 [밥]으로 발음한다.

ex) 밟다[밥따], 밟소[밥쏘], 밟지[밥찌], 밟는[밥는→밤는], 밟게[밥께], 밟고[밥꼬]

ⅱ) 넓죽하다[넙쭈카다], 넓둥글다[넙뚱글다] → 두 번째 자음을 발음한다.

ⅲ) 'ㄻ', 'ㄺ', 'ㄿ' +자음 → 두 번째 자음을 발음한다.

ex) 흙과[흑꽈], 맑다[막따], 삶[삼], 젊다[점따], 읊고[읍꼬], 읊다[읍따]

(단 ㄺ +ㄱ은 ㄹ으로 발음한다. ex: 읽고[일꼬], 늙게[늘께])

② 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뒤엣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이 경우, 'ㅅ'은 된소리로 발음함.)

ex) 넋이[넉씨], 앉아[안자], 닭을[달글], 젊어[절머], 곬이[골씨], 핥아[할타]

자음 앞이나 어말에 있는 겹받침은 무조건 앞의 자음을 발음한다고 일단 외워라. 그 위에서 예외만 외우는 것이 효과적이다. 겹받침이 모음 앞에 올 때에도 뒤에 있는 자음이 다음 단어의 첫소리가 되기 때문에 결국 단어는 남아있는 첫 자음으로 발음된다. 복잡해보이지만 발음해보면 거의 대부분 이미 그렇게 발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틀리기 쉬운 '예외'만 확실하게 외워두면 된다.

3. 음의 동화

① 받침 'ㄷ, ㅌ(ㄾ)'이 조사나 접미사의 모음 'ㅣ'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ㅈ, ㅊ]으로 바 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ex) 굳이[구지] 미닫이[미다지] 땀받이[땀바지] 밭이[바치]

* 합성어에서 받침 'ㄷ, ㅌ' 다음에 '이'로 시작되는 단어가 결합되어 있을 때에는 구개음화가 일어 나지 않는다. 예컨대 밭이랑(밭+이랑)은 [반니랑], 홑이불(홑+이불)은 [혼니불]로 발음된다. 'ㄴ' 에 의해서 'ㅌ'이 [ㄴ]으로 발음되는 것이다.

② 받침 'ㄱ(ㄲ, ㅋ, ㄳ, ㄺ), ㄷ(ㅅ, ㅆ, ㅈ, ㅊ, ㅌ, ㅎ), ㅂ(ㅍ, ㄼ, ㄿ, ㅄ)'에서 'ㄴ, ㅁ' 앞에서 [ㅇ, ㄴ, ㅁ]으로 발음한다.

ex) 먹는[멍는], 키읔만[키응만], 긁는[긍는], 닫는[단는] 짓는[진는], 있는[인는], 맞는[만는], 쫓는[쫀는], 붙는[분는], 놓는[논는], 앞마당[암마당], 밟는[밤는], 없는[엄는], 책 넣는다[챙넌는다]

③ 받침 'ㅁ, ㅇ' 뒤에 연결되는 'ㄹ'은 [ㄴ]으로 발음한다.

ex) 강릉[강능], 대통령[대통녕]

* 받침 'ㄱ, ㅂ' 뒤에 연결되는 'ㄹ'도 [ㄴ]으로 발음한다.

ex) 막론[막논→망논], 협력[협녁→혐녁]

④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ex) 난로[날로], 신라[실라], 칼날[칼랄], 물난리[물랄리], 줄넘기[줄럼끼]

* 다만, 다음과 같은 단어들은 'ㄹ'을 [ㄴ]으로 발음한다.

ex) 의견란[의견난] 임진란[임진난] 생산량[생산냥] 결단력[결딴녁] 공권력[공녁] 동원령[동원녕] 상견례[상견녜] 횡단로[횡단노] 이원론[이원논] 구근류[구근뉴]

규칙이 너무 많다고 지레 포기하려하지 말고 이 부분 역시 찬찬히 읽어보면서 단어를 발음해보아라. 단어가 입에 붙어야 실수를 하지 않을 수 있다.

4. 음의 길이

① [말(馬)] 말과에 딸린 집짐승의 하나.

[말:(言)] 사람의 생각이나 느낌을 입으로 나타내는 소리.

②[발:(足)] 사람이나 동물의 다리 끝에 있는 부분.

[발] 가늘게 쪼갠 대오리나 갈대 같은 것을 엮어 만든 부분.

③[굴:(한자 지원이 안 됨)] 굴조개의 준말.

[굴(窟)] 땅이나 또는 바위가 안으로 깊숙이 팬 곳.

④[솔(松)] 소나무.

[솔:(刷子)] 먼지나 때를 쓸거나 풀칠할 때 쓰는 도구.

⑤[눈目] 빛의 자극을 받아 물체를 볼 수 있는 감각 기관.

[눈:(雪)] 대기 중의 수증기가 찬 기운을 만나 얼어서 땅 위로 떨어지는 얼음의 결정체.

음의 길이는 많은 학교에서 출제하는 문제는 아니지만 비교적 쉽게 출제되기 때문에 한 번 살펴보고 넘어가는 것이 좋다. 위의 단어들을 살펴보는 것만으로 충분한 대비가 가능하다.

표준발음과 관련된 문제는 지면관계상 다음 시간에 풀어보도록 하겠다.

진리영

임창정 "아내한테 무릎 꿇고 빌어" 폭탄 발언

'외출하고 돌아온 아내의 속옷 검사를…' 경악

"아이돌 女가수 성접대 가격은…" 폭탄 고백

배우 김형자 "곗돈 20억 사기 친 가수는…"

박시후 고소한 A양, 연예인 지망생 이라더니…

[ 한국경제 구독신청] [ 온라인 기사구매] [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