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를 열다] 1968년 공기총으로 참새 잡는 엽사

2013. 2. 20. 02:5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참새 잡이는 지금은 불법 밀렵이지만 1970년대까지만 해도 합법적으로 공공연히 있었다.

참새를 잡는 목적은 두 가지였다. 배고팠던 시절 잡아서 '육고기'에 대한 식욕을 해결하는 것, 또 하나는 팔기 위한 것이었다. 앞의 것은 주로 보리밥에 물린 시골 아이들이 반장난 삼아 하던 짓이다. 아이들이 참새를 잡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었다. 새총이나 덫으로는 잡을 확률이 낮았고 그렇다고 참새 집에 손을 넣어 잡는 것은 징그러웠다. 그래서 가장 흔하게 쓰던 방법이 삼태기를 이용하는 것이었다. 삼태기를 세워놓고 곡식을 뿌려놓는다. 삼태기에 긴 줄을 묶어 멀리서 지켜보고 있다가 참새가 곡식을 먹으려고 날아들면 줄을 당겨 잡는 것이다. 그렇게 잡은 참새를 불에 구워 먹는 맛은 요즘 아이들이 먹는 닭튀김 맛에 비할 바가 아니었다.

잡아서 팔기 위한 참새는 공기총으로 잡는다. 산탄총을 이용해 잡은 참새는 주로 포장마차로 팔려 나가 애주가들을 유혹하는 안줏감이 되었다. 1980년대 후반까지도 정부는 농작물 피해를 막고자 추수기에 일정 기간 참새잡이를 허용했다. 그때까지만 해도 포장마차 메뉴판에 적힌 대표적인 안주가 참새구이와 닭 모래주머니였다. 지금도 간혹 포장마차나 꼬치구이 집에서 참새구이를 볼 수 있는데 다음 세 가지 중 하나다. 불법으로 잡은 참새이거나, 중국산이거나, 메추리 고기를 속인 것이다. 1968년 1월 7일 찍은 사진 속 엽사의 허리춤에는 탄띠와 줄에 끼워진 참새 한 마리가 있다.

손성진 국장 sonsj@seoul.co.kr

[서울신문 다른기사 보러가기] ☞ 수조원 독일 억만장자 자살한 이유 알고보니☞ 음독 충남 교육감 마신 농약 알고보니…☞ 北, 김정은에 반기 들고 쿠데타 할 가능성은☞ "박시후 만취 성폭행" 고소 20대 女는…☞ ROTC 女생도, 행군 중 다쳐 군장 풀라고 하자…☞ 유튜브 최고 K-pop 스타 싸이가 아니라…

2013년 계사년 뱀띠해, 나의 신년 운세는 어떨까?

관심종목에 대한 증권 전문가의 상세한 진단과 분석 서비스

최신 속보와 뉴스 검색을 서울신문 모바일 웹에서 m.seoul.co.kr

'맛있는 정보! 신선한 뉴스!' 서울신문( www.seoul.co.kr) [ 신문 구독신청]

-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