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독과점 업체 식품업체, 또 가격 올리다니

2013. 2. 18. 07: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식품 독과점 업체들이 정권이양기를 틈 타 가격을 기습적으로 올리고 있다. 샘표식품은 대형마트에 납품하는 간장 제품 가격을 15일부터 평균 9.9% 올렸다. 대상은 18일부터 청정원 순창고추장(2kg)을1만9850원에서 2만1700원으로, 순창재래식된장(1kg)을 5730원에서 5900원으로 올린다. CJ제일제당을 비롯한 여타 업체도 가격 인상에 동참할 태세다.

이들 식품업체는 작년 이익이 크게 늘어 남는 장사를 했음에도 가격을 올려 더욱 눈총을 사고 있다. 샘표식품은 작년 순이익이 67.8% 늘었고 대상도 순이익이 33.3% 증가했다.

그런데도 마음대로 가격을 올려도 막을 방도가 없는 것은 독과점 구조때문이다. 국내 간장시장은 샘표식품과 대상이 각각 50.5%와 22.6%를 점유하고 있다. 고추장시장의 점유율은 CJ제일제당이 53.3%, 대상이 44.5%이다.

업체의 가격 인상의 이유를 접하면 기가 막힌다. 앞으로 박근혜 정권에서 가격을 올리지 못할 게 뻔해 당장 혼나더라도 일단 인상해 놓는 것이 이익을 내야 하는 기업으로서 어쩔 수 없는 결정이라는 것이다. 샘표식품은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문제제기에 따라 '유통구조 개선 특별팀'이 구성돼 첫 회의가 열린 다음날 제품가격을 전격 인상했다.

간장이나 고추장 가격이 오르면 이를 사용하는 식당의 밥값도 올릴 수밖에 없다. 날로 살림살이가 팍팍해지고 있는 소비자들의 사정은 안중에 없고 오로지 자신들의 배만 채우겠다는 말 밖에 되지 않는다.

원재료비 상승때문에 어쩔 수 없다는 업체들의 상투적인 해명은 더 이상 받아들이기 어렵다. 작년 말부터 원화 강세로 기업들의 수입 부담이 훨씬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가격을 올리겠다는 건 이기주의에 불과할 뿐이다. 한 푼이라도 원가를 절감해 싼 값에 제품을 내놓아야 하는 게 불황때 기업의 도리이다.

정부는 샘표식품과 대상의 가격 인상이 합당한 것인지를 면밀히 조사해 부당 이득의 소지가 드러날 경우 응분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 수많은 서민가계가 물가고통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마당에 독과점 업체들이 부당하고 불공정한 행위로 고통을 가중시키게 된다면 묵과해서는 안 된다. 정권교체기라고 해서 물가관리를 소홀히 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 당신의 생활 속 언제 어디서나 이데일리 ' 신문 PDF바로보기'▶ 스마트 경제종합방송 이데일리 TV▶ 실시간 뉴스와 증권거래, 내 손안의 금융시장 ' 이데일리 모바일 서비스'▶ 전문가를 위한 국내 최상의 금융정보단말기 ' 이데일리 마켓포인트 2.0'▶ 증권전문가방송 ' 이데일리 ON', 고객상담센터 1666-2200 | 종목진단/추천 신규오픈<ⓒ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