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년을 견디고 눈속에서 나온 홍릉숲 복수초

2013. 2. 15. 19:1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4일 오전 홍릉숲서 꽃잎 내밀어…일명 '설련화', 주말쯤 개화예상

추위가 한풀 꺾인 14일, 다가올 봄을 먼저 알고 복수초(福壽草)가 눈 속에서 꽃잎을 밀어내는 모습이 관찰됐다. 한낮 영상의 날씨가 이어지면서 이날 오전 국립산림과학원이 있는 서울 홍릉숲의 복수초 한두 송이에서 꽃잎이 벌어지면서 노란 꽃술이 나왔다.(사진) 개화는 오는 주말쯤으로 예상된다.

복수초는 눈 속에서 꽃이 핀다고 해서 '설련화(雪蓮花)', 얼음 사이로 피는 꽃이라서 '빙리화(氷里花)'나 얼음꽃, 새해 원단에 피는 꽃이라는 '원일초(元日草)' 등으로도 불린다. 이른 아침엔 꽃잎을 닫았다가 일출과 함께 펼치기 때문에 오전 11시쯤부터 활짝 핀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오후 3시가 지나면 다시 꽃잎을 오므려서 늦은 호후에는 꽃을 보기 어렵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김선희 박사는 "복수초는 씨앗이 새싹을 틔운 뒤 6년 정도 지나서야 꽃을 피운다."며 "봄철에만 잠깐 모습을 드러내는 듯 보이지만 사실 몇 차례의 겨울과 인고의 시간을 견딘 것"이라고 설명했다.

복(福)과 장수(壽)의 바람이 담긴 이름대로 복수초의 꽃말은 '영원한 행복'. 일본에서는 '새해 복 많이 받고 장수하라'는 의미로 복수초를 선물하는 관습이 있다.

문 의 :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김선희 연구사(02-961-2617)

Copyright © 정책브리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