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알바'..최저임금, 4대보험의 '사각지대'

조태임 2013. 1. 16. 09:5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CBS 조태임 기자]

편의점, 커피전문점 등에서 근무하는 시간제 근로자의 절반 이상은 4대보험에 전혀 가입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청소년 등 취약 근로자가 집중된 10인 미만의 소규모 편의점, 패스트푸드, 커피전문점, 일반음식점 등 1789개 업소를 대상으로 근로실태조사를 한 결과 62.8%는 4대 보험 가입이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산재, 고용, 건강, 국민연금 등 4대 보험에 모두 가입한 경우는 28%(500곳)정도로 나타난 반면 단 한 곳도 가입하지 않은 곳은 63%(1123곳)로 조사됐다.

특히 편의점의 경우 4대보험 가입을 하지 않은 비율이 8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음식점(75.8%), 제과점(73.2%)순이다.

취약근로자 10명가운데 1명은 최저임금을 받지 못했다.

지난해 최저임금 시급 4580원에 못 미치게 임금을 받은 비율은 12.2%(218)로 나타났으며 편의점의 경우 35%가 최저임금을 지급하지 않고 있었다.

하루 8시간 이상 근무자에 대해 지급해야 하는 초과근무수당의 경우 응답자의 33%(594건)가 '받지 못했다'고 답했다.

편의점과 의류판매점의 경우 41% 이상이 초과근무수당을 지급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식사시간을 포함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휴게시간'도 응답자의 36%가 '제대로 이용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근무시간이 4시간일 경우 30분, 8시간 이상일 경우 1시간동안 쉴 수 있지만 주유소(59%), 제과점(45%), 일반음식점(41%)에서는 상대적으로 휴게 시간 이용이 제한되고 있었다.dearhero@cbs.co.kr

무기계약직도 정규직?…공약이행 방침 놓고 논란

자영업자 빚 8,744만원…취약층 재무상태 '빨간불'

폭염 최악의 아르바이트 1위는? "폭염 속 인형탈 알바 "

피지섬 알바 따낸 지방대생 '스펙 화제'

'오늘밤은 어둠이 무서워요' 편의점 야간 알바생들의 절규

(대한민국 중심언론 CBS 뉴스FM98.1 / 음악FM93.9 / TV CH 412)<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www.nocut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스마트 뉴스앱의 최강자! 노컷뉴스 APP 다운로드 받기↓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