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新사업 벨트 뜬다] 김천혁신도시, 도로공사 포함 12개 기관 이전

2012. 12. 27. 17: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신도청·혁신도시

도시내 KTX역 '교통 중심지'

김천혁신도시는 김천시 남면·농소면 일원 381만5000㎡에 한국도로공사 등 12개 공공기관이 이전해 2만6000명이 상주할 자족도시를 만드는 사업이다. 12개 이전 공공기관 중 9개 기관이 이미 착공했고 나머지 3개 기관도 내년 상반기 내에 착공할 예정이다. 내년에 준공되는 이전 공공기관 청사에는 하반기부터 입주가 시작될 예정이다. 기업 유치도 그린에너지, 연구·개발(R & D), 정보기술(IT), 첨단교통, 농생명 등이 대상이다.

김천혁신도시 기반조성공사는 99.8%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다. 토지분양은 현재 66%다.

이 도시는 KTX역이 혁신도시 내에 위치하고 있고 경부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가 접하고 있어 사통팔달의 교통과 물류 이동의 중심지다. 또 김천시내 외곽을 순환하는 국도대체 우회도로 개통, 국도 4호선과 중부내륙고속도로가 가까워 더할 나위 없는 교통여건을 갖추고 있다.

김성현 경북도 균형개발과장은 "이전 공공기관 종사원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직원 및 가족들이 안정적으로 혁신도시에 정착할 수 있도록 최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보생 김천시장도 기업 유치를 위해 발품을 팔고 있다. 박 시장은 지난달 28일 서울 코엑스 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산학연 클러스터 부지에 우수 기업을 유치하기 위한 투자유치 설명회를 가졌다.

전체 혁신도시 용지의 8.8%를 차지하는 산학연 클러스터 용지는 33만7244㎡다. 공급가격은 ㎡당 45만3478원으로 알려졌다. 박 시장은 "혁신도시, KTX역, 일반산업단지, 구미국가산업단지와 연결한 산업벨트를 구축해 김천을 중부내륙의 중심도시로 가꿔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구=김덕용 기자 kimdy@hankyung.com

완벽 미모女 "남편이 시도 때도 없이…"

'한성주 동영상' 적나라한 진실 드러나 '충격'

女교사, 트위터에 올린 음란한 사진 '헉'

유명 女배우, 임신 7주차 '속도위반' 밝혀져!

밀애 즐기던 女간호장교, 불륜 들통나자 결국

[ 한국경제 구독신청] [ 온라인 기사구매] [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 성공을 부르는 습관 >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