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평생교육진흥원, 제3차 평생교육사 자격발급 검정결과 발표

송진현 2012. 12. 3. 09:4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이 실시한 '2012년도 제3차 학점은행기관 대상 평생교육사 자격증 발급신청'에 대한 검정결과가 발표되었다.

배움사이버평생교육원은 101명이 신청해 전원 자격증 교부가 확정, 이로써 양성교육과정을 운영한 2010년부터 총 460명의 평생교육사를 배출하게 되었다.

지식사회로의 진입과 인생 100세 시대의 도래로 평생교육사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데다 양질의 평생교육을 원하는 학습자들이 늘어나면서 평생교육사 자격증에 대한 관심도 그 어느 때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986년 20건에 머물렀던 평생교육사 자격증 발급건수는 2000년 들어 연간 3000여건으로 크게 늘어났으며, 2010년에는 7132건이 발급되는 등 발급 건수는 매년 증가 추세이다.

평생교육사 취득이 늘어난 또 하나의 이유로 학점은행제도를 활용한 평생교육사 취득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라는 것이 업계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전문대 졸업 이상의 학력만 갖추면 1년 과정으로 평생교육사 10과목을 이수해 평생교육사 2급 자격증 취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자격증 취득자와 함께 평생교육사 배치기관의 수도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추세이다. 2008년 '평생교육단체 및 평생교육시설은 효과적인 교육을 위해 평생교육사를 배치하도록 한다'는 내용의 평생교육법 시행령이 발효되면서 2009년 이후 평생교육사 배치기관의 수는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특히, 2010년에는 평생교육사를 배치한 기관의 전체기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57.9%를 기록해 전년 대비 7.6%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제도적인 기반과 맞물려 2010년 평생교육기관 배움사이버평생교육원의 설립도 평생교육사 양성에 한 몫 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평이다.

우수 평생교육사 양성을 위해 설립된 배움사이버평생교육원은 2010년 원격평생교육원 최초로 평생교육사 9과목을 개설한 데 이어 2012년에는 평생교육 실습과정 개설로 평생교육사 전과목을 모두 갖춘 원격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면모를 갖췄다.

이러한 시스템과 성과를 인정받아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이 주관한 2012년 하반기 평생교육사 실습 관계자 연수에서는 원격기반 학점은행기관의 평생교육실습과목 운영사례를 발표하기도 하기도 했으며, 최근에는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이 실시한 제1회 우수 교육훈련기관 심사 결과, 학점은행제도 발전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아 원격기반 우수 교육훈련기관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배움사이버평생교육원 관계자는 "대학 학령기 학생뿐 아니라 성인학습자의 지속적인 교육을 위해서도 학점은행제도가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며 "향후 여성과 노인 등 취약계층의 취업연계를 위해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제도로 거듭나야 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배움사이버평생교육원은 평생교육사 이외에 이미 보육교사 2급 취득과정을 운영 중에 있으며, 2013년에는 정부가 발표한 10년간 취업증가율이 가장 높을 것으로 전망되는 국가자격증인 청소년지도사 과정도 운영할 계획이다. 송진현 기자 jhsong@sportschosun.com

허경영 "女 투시 쉬워" 글래머女 뚫어져라…

윤현숙 양악후 50대서 30대 얼굴로 '충격'

김태희 과외선생 시절 미모 '男 로망' 재수 유발

박재범-NS윤지, 모텔서 '19禁 애정행각' 경악

'K팝2' 15세 피겨소녀 '반전 식스팩' 경악

탈모 해결! "옥헤어드라이기" 효과가 대단하네!

홈쇼핑에서 대박 난 온열매트? "까사미아 온돌마루" 52% 세일!

기성용, '프리미어리그급' 매력 담은 영국 올로케 화보

2013년형 `42인치` 라파엘TV 100대 한정 "파격할인" 이벤트~

[ ☞ 웹신문 보러가기] [ ☞ 스포츠조선 구독]

- Copyrightsⓒ 스포츠조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보도자료 및 기사제보 news@sportschosun.com -

Copyright © 스포츠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