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게·저어새 등 무수한 생명을 품은 강화갯벌

2012. 8. 30. 17:5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EBS '하나뿐인 지구'

[세계일보]강화갯벌은 서울과 가깝게 자리 잡아 늘 개발 압력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곳은 무수한 생명을 품고 길러내며 자연의 '정화조' 역할을 하는 소중한 공간이다.

31일 방영되는 EBS '하나뿐인 지구'는 밤게·저어새 등 수많은 생명을 품은 강화갯벌의 생태와 가치를 조명한다.

EBS '하나뿐인 지구'는 31일 오후 11시10분 '강화갯벌이 살아 있는 까닭' 편을 통해 밤게·세스랑게·저어새 등 다양한 생물의 생태와 갯벌의 중요성을 조명한다.

껍데기가 밤처럼 둥글고 납작한 밤게는 성큼성큼 앞으로 걷는다. 게는 으레 옆으로 걸으리란 편견을 깨뜨린다. 제작진은 마음을 얻기 위해 암컷을 업고 다니는 밤게의 약혼식을 카메라에 담았다.

털보집갯지렁이는 갯벌에 구멍을 뚫지 않고 독특한 집을 짓고 산다. 조개껍데기와 해조류를 이어붙인 동굴 모양이다.

세스랑게 역시 갯벌의 건축가로 유명하다. 세스랑게의 집은 자연적 환기를 가능하게 하는 과학적인 구조이다. 현재 강화갯벌에서는 세스랑게의 친환경 건축술을 응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강화갯벌은 철새들의 서식지이기도 하다. '강화 갯벌 및 저어새 번식지'는 천연기념물 제419호로 지정됐다.

강화갯벌 남단은 마도요와 물떼새, 세계적으로 2000여마리밖에 남지 않을 정도로 희귀한 저어새 등에게 중요한 터전이다. 새들이 이곳을 찾는 것은 갯벌이 품은 풍성한 먹이 때문. 아래로 굽은 긴 부리를 가진 갯벌 최고의 사냥꾼 알락꼬리마도요는 타고난 부리 덕에 백발백중의 사냥 실력을 자랑한다.

한강·임진강·예성강의 퇴적물이 쌓여 만들어진 강화갯벌은 우리 삶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환경부에 따르면 강화갯벌의 정화능력은 75개의 하수종말처리장보다 뛰어나다. 갯벌에 난 수많은 구멍이 정화를 돕는다. 갯지렁이와 게는 땅을 파고 들어가면서 갯벌이 숨 쉴 수 있는 수많은 구멍을 만들어낸다. 갯가식물들도 정화능력을 갖고 있다.

송은아 기자 sea@segye.com

[Segye.com 인기뉴스]

◆ 8세 꼬마가 주운 '7000만원' 용연향이 뭐지?

◆ 교사, 체육실서 女제자 상담 중 성추행 '파문'

◆ "남편인 줄 알았는데 이상해 불을 켜보니…"

◆ 내년 개정 초등수학 대비는 도대체…

◆ 창고문 열자 100명이 넘는 사람 장기가…'경악'

◆ 성매매 단속 경찰, 업소女 불러 마사지 받고…

◆ 별별 고추가 다 있네…

◆ 갤럭시노트2 공개, 얼마나 업그레이드 됐나

◆ 운동해도 살안빠지는 이유 알고보니…

◆ 가수 김혜연도 경험한 '자면서 살빼기' 비결은?

▶ 바로가기[ 사람을 만나다-스마트피플 ] [ 세계 SNS ][ 세계일보 모바일웹 ] [ 무기이야기-밀리터리S ]

ⓒ 세상을 보는 눈, 글로벌 미디어 세계일보 & 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