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오스타즈] 와토스코리아 "도기업체와 손잡고 양변기 완제품 시장 진출"

구경우 기자 2012. 7. 26. 14:1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신축건물 절수기기 의무화로
꾸준한 매출 성장 이어갈것
일본·중국 이어 동남아 공략
올매출 200억달성 자신

"앞으로 중소 도기업체와의 협력을 강화해 절수형 양변기 완제품 시장에 진출하려고 합니다."

양변기용 로탱크 부속 생산업체인 와토스코리아의 송공석(59ㆍ사진) 대표는 26일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국내 최고의 절수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부품업체에서 벗어나 양변기 시장에 직접 뛰어들어도 승산이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지난 1973년 설립된 와토스는 국내 양변기 절수제품 시장의 80%를 장악하고 있는 업체로 현재 100여건의 국내 지적재산권을 보유하고 있다. 계림요업ㆍ아이에스동서 등 주요 양변기업체에 부속품을 납품하고 있으며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건설하는 대부분의 아파트에도 들어가고 있다.

와토스가 최근 주목하고 있는 곳은 절수형 양변기 제품 시장이다. 수도법 개정으로 7월1일부터 신축건물과 숙박업소ㆍ체육시설ㆍ목욕탕 등 대부분의 시설에서 절수기기를 의무적으로 사용하게 됐다. 하지만 현재 환경부의 기준인 공중용 화장실에서 5리터 이하의 물을 사용해 기존의 세척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양변기용 절수기기는 국내에서 와토스코리아만 생산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절수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와토스가 도기업체들과 협력해 절수형 양변기 시장에 진출할 경우 충분히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는 게 송 대표의 판단이다.

와토스는 관련 법 개정에 따라 절수제품의 수요가 증가할 것에 대비해 전남 장성에 공장부지를 확보해놓은 상태다. 와토스는 유동비율이 867%에 달할 정도로 실탄도 충분하기 때문에 절수형 양변기가 늘어날 경우 곧바로 생산에 돌입할 계획이다. 송 대표는 "40년가량 회사를 운영하며 현금을 쥐고 있으면 언제든 기회가 온다는 것을 배웠다"며 "앞으로 물 사용량이 적은 양변기가 필요한 만큼 현재 보유한 절수기술을 응용할 경우 절수형 양변기 시장에서도 충분히 승산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세계 주요 국가들의 정책변경으로 글로벌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의 경우 '워터센스'라는 마크제도를 도입해 양변기의 물 사용량을 4.8리터로 권장하고 있고 일본이나 중국도 4.8리터 또는 4.5리터로 낮추고 있다. 와토스가 최근 절수제품 수출사업을 강화한다는 계획을 세운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송 대표는 "이미 일본 2개 업체, 중국 1개 업체에 제품을 납품하고 있고 현재는 동남아 지역의 대규모 업체와 사업을 논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와토스코리아는 절수제품의 활성화로 올해 매출 200억원을 자신하고 있다. 송 대표는 "이제 관련 법에 따라 대부분의 건물에서 절수기기를 사용하지 않으면 과태료를 물게 돼 있다"며 "절수제품의 판매량 증가로 향후 꾸준한 매출성적과 영업이익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2005년 상장 이후 매년 20% 이상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하는 등 뛰어난 수익성을 보이고 있다. 은행권 대출이 전무하고 차입금 없이 자체 자금으로 안정적인 회사운영을 고수하기 때문이다.

기술개발에 대한 노력도 게을리하지 않고 있다. 송 대표는 "일본의 아사이에이토와 초절수형 양변기를 공동으로 개발했고 잔이스와 플러스밸브 개발계약도 체결했다"며 "이 분야에서만큼은 국내 최고의 기술력을 가졌다고 자부한다"고 강조했다.

구경우 기자 bluesquare@sed.co.kr

'한국산 어딨나' 中 욕구 불만 폭발
이런 증상 땐 즉시 병원 안 가면 위험
이 정도라니… 무시무시한 북한군 실상
"집값이…" 한국에 퍼진 저주 '충격'
"한국음식 또 먹고 싶다" 외국인들 아우성

[ⓒ 인터넷한국일보(www.hankooki.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