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글살이] 다대기 / 강재형

2012. 7. 5. 19:3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겨레] "오늘 엠비시 앞에 뜬 '밥차'에서 삼계탕을 받아먹었다. 회사 식당이 바로 코앞인데, 밥상 차린 곳은 엠비시 남문 길바닥이었다. 여기저기 빚 많이 진 형편에 '삼계탕 빚'이 또 하나 늘었다. 이 빚을 어찌 다 갚을지, 걱정이다. 고마운 이웃들, 시청자 여러분!" 지난 월요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글이다. '영양센터'라 간판 내건 통닭집을 봐도 알 수 있듯이 우리에게 닭고기는 보양식이니, 그 행사에 함께한 모든 이는 삼계탕 한 그릇에 '끼니' 이상의 뜻이 담겨 있음을 알았을 것이다.

삼계탕, 통닭만큼이나 인기를 끄는 게 '닭도리탕'이다. "연구자들은 '닭도리탕'의 '도리'를 일본어 '도리'(とり)에서 온 것이라는 결과를 내놓았으며, <우리말어원사전>(1997)은 '도리탕'의 어원을 '(일)鳥/鷄[tori]+湯>도리탕'으로 제시하고 있다."(국립국어원 누리집) 그래서 제시한 순화어가 '닭볶음탕'이다. 이에 대한 반론도 만만찮다. '도리'가 '도리다'(둥글게 빙 돌려서 베거나 파다)에서 왔다는 것이다. 이에 바탕을 둔 주장은 김형주 독자(2007), 김선철 국어원 연구관(2008), 예종석 교수(2010) 등이 <한겨레>를 통해 밝힌 바 있다. 올해 초에 소설가 이외수씨도 비슷한 주장을 했지만 '닭도리탕 논쟁'은 쉽게 마무리되지 않을 것 같다.

'닭볶음탕'은 문화부가 발표한 <식생활 관련 용어 순화집>에 '닭도리탕'의 순화어로 공식 등장한다. 20년 전인 1992년의 일이다. 이때 함께 나온 것 중의 하나가 '다진 양념'이다. '다대기'는 '두드리다, 다지다'는 뜻의 일본어 '다타키'(たたき)에서 온 것이니 순화해야 한다는 것이지만 선뜻 수긍하기 어렵다. "함경도 지방을 대표하는 함흥냉면에는 고춧가루 양념이 애용되어 '다대기'라는 말이 이곳에서 나왔을 정도"(한국민족문화대백과)라는 설명이 있는가 하면 <우리말큰사전>(1995)은 '다대기'를 우리말로 풀이하고 있기 때문이다.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한겨레 인기기사>■ 생리통으로 산부인과 갔는데, 임신부 오해할까…'출마' 박근혜, 영등포 타임스퀘어 선택한 이유는…?한국 '고래사냥' 재개 방침…일본 따라하나밀양 노인들 "소득도 없는데 죽으라카나" 한전에 분통[화보] 통일대교에서 벌어진 화형식

공식 SNS [통하니][트위터][미투데이]| 구독신청 [한겨레신문][한겨레21]

Copyrights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겨레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