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1학년 학기말 성적표 A-B-C-D-E로 표시

2012. 7. 4. 08:3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계파이낸스]

현재 1학기 기말 시험을 치르고 있는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이 이달 받아볼 성적표에는 기존 `수-우-미-양-가' 대신 `A-B-C-D-E'가 표시된다.

또 교과목별 석차는 없어지고 원점수, 과목평균, 표준편차가 병기된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

새 성적표기 방식은 올해는 중 1에만 적용되며 내년 중 2, 2014년 중3까지 확대 적용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중고교 내신을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 바꾸기 위해 지난해 12월 발표한 `중등학교 학사관리 선진화 방안'에 따라 중학교에서는 올 1학기 말부터 1학년 학업성적 표기 방식이 변경된다고 4일 밝혔다.

중학교는 이미 상대평가 방식이 아니라 성취도를 `수-우-미-양-가'로 부여하는 성취평가제 방식을 도입했지만 이번 변경으로 전면적인 성취평가제가 시행된다.

대부분 교과목의 성취도가 `A-B-C-D-E'로 표기되지만 체육ㆍ예술은 현행 `우수-보통-미흡'을 `A-B-C'의 3단계로 변경한다. 선택 과목(환경ㆍ보건ㆍ진로와 직업)은 현행 `이수' 여부 표기를 `P'로 기재한다.

단계별 성취도가 의미하는 성취율은 A가 90% 이상, B 90% 미만∼80% 이상, C 80% 미만∼70% 이상, D 70% 미만∼60% 이상, E 60% 미만∼40% 이상이다.

최소 학업 성취기준(성취율 40% 미만)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F'로 평가하는 `재이수제'는 내년에 40개 중학교에서 시범 운영한 뒤 연말에 도입 여부를 결정한다.

한편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의 1학년 전문교과도 이번 학기부터 상대평가에 기반을 둔 `석차등급' 표기를 삭제하고 성취도(A-B-C-D-E)를 기재한다. 원점수/과목평균(표준편차)는 현행대로 병기한다.

고등학교(보통교과)의 경우 올해부터 2년 간 100개 고교에서 시범 운영한 뒤 2014년에 입학하는 학생들부터 성취평가제를 적용한다. 현행 상대평가 9등급제 내신은 A-B-C-D-E-(F)의 6단계 성취도 표시로 바뀐다.

세계파이낸스 뉴스팀 fn@segyefn.com

[Segye.com 인기뉴스]

◆ 아이 화상입힌 국물녀 "오히려 내가 피해자"◆ 6일만에 관속서 '부활'… 다시 살아난 노인◆ 여관서 자고 일어나보니 '신장 강탈' 황당◆ '과다 노출' 톱모델에 벌금 "춤추다 가슴이…"◆ 추위에 가장 강한 동물 1위 북극곰, 2위 펭귄, 3위는?◆ 수술없이 집에서… 6주만에 A컵 가슴이 D컵으로!◆ 가수 김혜연도 경험한 '자면서 살빼기' 비결은?◆ '연세대 한예슬' 누구? 정체 알고보니…◆ '노출녀' 이루비, 오인혜 드레스 입고… 헉

[ⓒ 세계파이낸스 & Segye.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세계일보 [자동차전문섹션][스마트캠페인][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세계닷컴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