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귀열 영어] Handicapped vs. Disabled (장애자의 올바른 표현)

2012. 6. 14. 19:4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Listening and Speaking (말하기와 청취)

흑인들은 black이나 negro 혹은 nigger라고 불리면 공격적인 태도를 취한다. 그 이유는 이들 표현 속에 부정적이고 무시하는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대부분 African-American으로 부른다. 그러나 백인만 사는 곳에서는 이보다 더 민감한 어휘가 바로 '장애자'라는 명칭이다. 서부의 California나 Washington주 공원에는 장애자 주차 공간이나 화장실에 'Handicapped Parking'이라고 쓰여 있다. 하지만 이것도 장애자 협약에 의해 1990년 이후에는 사라지고 있다. 주위에서 'handicapped person'이라는 명칭을 어렵지 않게 보지만 이는 올바른 표현이 아니다. 1992년 법개정을 통해 정치적으로 용인된(politically correct term) 어휘는 'people with disabilities'다. 이것은 캐나다의 Calgary나 기타 지역은 물론이고 미국 지역에서도 정착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 기준에 따르면 disability는 일상 생활에 도움이 필요한 상태를 말하고 handicapped는 장애나 불구로 인해 사회적, 직업적으로 불리하고 활동이 불가능한 상태를 말한다. 이를 참고한다면 당연히 disabled가 handicapped보다 더 정확한 말임에 틀림없다. 게다가 'Disabled'로 표기하면 부정적 단어가 맨 앞에 오기 때문에 'People with disabilities'로 표기하게 되었다. 엄밀히 말해 Disabled하다고 하여 handicapped되는 것은 아니다. Disabled는 의학적으로 '이동이나 활동에 지장이 있고 감각에도 문제가 있는 상태'를 말하는 반면 handicapped는 글자 본래의 뜻대로 진행이나 성공을 어렵게 하는 장애나 환경을 말한다. 따라서 handicapped person이라고 말하면 그 사람은 장애 때문에 발전할 수도 없고 사회적으로 불리하며 그래서 성공도 어렵다는 의미가 된다. 얼마나 차별적이고 불리한 표현인가.

'시각 장애자'는 'the blind person'보다 'the person who is blind'가 낫고, 휠체어를 사용하는 사람은 'the wheelchair person'보다 'the person who uses a wheelchair'가 나은 것처럼 장애자도 'the person with disabilities'라고 부르는 것이 가장 무난하다고 한다.

황석영 새 장편소설 전격 연재 [바로 보기]
"한국여성 매춘부" 美서 낯뜨거운 일 벌어졌다
쉬쉬하던 X파일까지… 이상민, 거침없네
색계 탕웨이 능가하는 격정적인 실제 정사신… 한국에도 온다
[포토] 세계적 여가수 충격적인 사진

[ⓒ 인터넷한국일보(www.hankooki.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