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지진 후 쓰나미로 떠내려간 日어선, 1년여만에 캐나다 해안에서 발견됐다

김강한 기자 2012. 3. 26. 03:2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해안 정박됐던 배.. 시신 없어

지난해 3·11 대지진 때 일본 을 덮친 쓰나미에 휩쓸려간 어선이 태평양을 가로질러 캐나다 서부 해안에서 발견됐다고 BBC가 24일 보도했다.

캐나다 공군은 지난 20일 정기 해상 공중 정찰 도중 브리티시컬럼비아주(州) 북쪽 해안에 있는 퀸 샬럿 제도로부터 275㎞ 떨어진 지점에서 이 어선을 발견했다. 길이가 45m인 이 어선은 붉게 녹슬었지만 외형은 양호한 상태였다고 CNN이 24일 전했다. 이 어선은 쓰나미 이후 태평양을 떠돌던 잔해 가운데 북미 해안에 다다른 첫 번째 선박이다. 지난 1년여 동안 7500여㎞를 표류한 것이다.

캐나다 당국으로부터 어선 번호를 통지받은 일본해안경비대는 23일 어선 정보를 확인했다. 경비대 관계자는 "(이 배는)오징어잡이를 하던 어선으로, 대지진 당시 아오모리(靑森)현 하치노헤(八戶)에 정박해 있다가 쓰나미에 휩쓸려 갔다"고 밝혔다.

캐나다 당국은 배에 타고 있는 사람이 없기 때문에 인양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 당국은 배에서 흘러나온 기름 등으로 인한 해양 오염 여부를 조사했지만 기름 유출은 보고되지 않았다고 CNN은 전했다. 빅토리아합동구조협력센터는 "날씨가 변수가 되겠지만 어선은 알래스카 쪽으로 이동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해양학자 커티스 에베스마이어는 "이런 종류의 어선은 표류할 때 하루에 최소 50마일(약 80㎞) 정도 이동한다. 하지만 태풍이 불면 해안까지 곧바로 도달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당국은 이 어선이 항해에 지장을 줄 수 있다고 판단해 다른 선박들에 주의 경보를 내렸다.

대지진 당시 쓰나미로 인해 2500만t의 쓰레기가 발생했고 그중 400만~800만t이 바다로 쏟아져 나왔다고 BBC는 전했다. 하와이대학 연구팀은 "그 가운데 100만~200만t은 여전히 바다에 떠다니고 있다"고 밝혔다. 잔해 중에는 어선뿐 아니라 TV·냉장고·페트병·드럼통·세면기 등 생활용품들이 포함돼 있다. 이르면 2013년쯤 잔해 중 일부가 미국 서부해안에 도착할 것으로 보인다고 뉴욕타임스(NYT)가 25일 전했다.

그러나 쓰나미 잔해가 예상보다 빨리 이동하고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지난해 9월 하와이에서 러시아로 향하던 러시아 범선이 태평양 중부 미드웨이 섬 인근 해안에서 소형 어선과 가전제품 등 일본 쓰나미 잔해를 발견했었다고 NYT는 전했다.

  • 남변호사·여의사의 결혼식, 600만원에 끝나
  • 日극우, 한국영사관 앞 '독도는 일본 땅' 말뚝 설치
  • "선거운동 열기 달아오를 때 북한엔 로켓 모습 드러날 듯"
  • "中, 이어도 가지려고 무력점령 준비하고 있을 듯"
  • 연예인, 웨딩 촬영에 1억 협찬 받기도… 결국 일반 커플에 바가지
  • 태국 최초의 여성 총리 잉락이 박근혜에게 한 조언은?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