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귀열 영어] Let me drive. (제가 운전하지요.)

2012. 3. 5. 21:41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The Art of Conversation (회화의 비법)

'Let me call you tonight.' 'I'll call you.' 'Allow me to call you.' 이들 세 문장은 같은 듯 다르다. 외견상 '내가 ~하겠다'는 것이지만 듣는 사람의 느낌과 반응은 다르다. 첫 문장은 권한과 재량을 바라는 입장인 반면 두 번째 문장은 자신의 의지와 자발적 행동을 강조한 것이고 세 번째는 상대의 허락을 받는 입장이다.

이보다 더 구체적인 것은 다음의 예에서 확인할 수 있다. (1) You're not allowed to touch this gadget.(이 기기를 만져서는 안 된다) (2) My boss lets me use his laptop.(상사가 자기 노트북컴퓨터를 사용하라고 한다.) (3) My boss makes me write up reports.(상사가 보고서를 쓰라고 명령한다.) 다시 말해 'Let me do ~' 구조는 권한과 재량이 있음을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Let me drive'와 'I'll drive'는 어감이 다르다. '알아보고 연락 드리겠다'는 의미로 'I'll get back to you (on that).' 'Let me get back to you (on that).' 두 가지가 모두 가능하지만 전자는 스스로 연락 드리겠다는 것이고 후자는 '당신도 가능하겠지만 차라리 내가 연락을 드리는 낫겠다'는 의미다. 'Let me do ~'는 본래 'You let me do ~'의 줄임말이기 때문에 'Allow me to do ~'와 혼동되기 쉬운데 사실은 'Allow me to do ~'가 더 정중하고 공식적인 표현법이다.

따라서 'I'll do it'은 말하는 사람의 의지가 강하고 'Let me do ~'는 보다 간접적이고 우회적이다. 'Let me ~' 어구가 양해를 구하는 표현일지라도 'Let me take you coat'보다는 'May I take your coat'가 더 정중한 것은 당연하다. 'Let me give you my business card.'나 'Let me give you some advice.'는 '당신도 기대하고 있을 테니' '제가 ~하지요'의 뜻이 담겨 있다. 이것은 마치 'You'd better do this'가 우월적 입장에서 하는 권유이고 'You might want to do this'가 간접적 권유인 것과 비슷하다. 미묘한 어감은 간혹 오해를 사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23세女' 위치 알려줘… 새로운 성매매 온상
돈 갈취·상상납 강요 연예기획자 '충격 수법'
천재? '1박2일' 나PD 이런 시절도 있었다니
'이정미 탈락' K팝스타 심사기준 알고 보니
[포토] 독도 정상에 설치된 대포

[ⓒ 인터넷한국일보(www.hankooki.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