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초·중·고 학교폭력 실태 전수 조사

이희진 2012. 1. 18. 14:3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초 4부터 고 3까지 558만 명 대상.. 조사 결과는 경찰 수사 등에 활용

[CBS 이희진 기자]

교육과학기술부가 18일부터 전국 초·중·고교생들을 상대로 학교폭력 실태 전수 조사에 나섰다.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요청으로 한국교육개발원이 시행하는 이번 전수 조사 대상은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558만 명이다.

조사는 각 학교가 오는 31일까지 학생들 집으로 설문지를 우편발송하고, 학생들은 설문지를 작성해 다음 달 10일까지 한국교육개발원 우체국사서함으로 회송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설문지는 최근 1년간 학생이 당한 학교폭력 피해 종류와 장소, 일진회 등 교내 폭력 서클 유무 등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됐다.

작성자 정보는 사는 곳과 다니는 학교, 학년만 기재하도록 해 신원이 노출되지 않도록 했다.

교과부는 한국교육개발원의 설문 결과 분석이 완료되면 관련 정보를 교육청, 경찰청과 공유해 학교폭력 대책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특히, 교과부는 설문 조사에서 심각하고 대응이 시급한 사안이 발견되면 즉시 합당한 조치를 취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해 성삼제 학교지원국장은 "설문 조사 결과를 토대로 경찰이 학교폭력 수사에 나설 수도 있다"고 밝혔다.

교과부는 학교폭력이 뿌리 뽑힐 때까지 매년 1월 우편설문조사 방식의 학교폭력 실태 전수 조사를 벌일 계획이다.

<학교폭력 실태 전수 조사 설문지>

학생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한국교육개발원은 최근 심각한 학교폭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의 요청에 의해 전국의 초·중·고등학생 여러분을 대상으로 학교폭력 실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자 합니다. 설문조사 결과는 교육과학기술부·교육청·경찰청이 정보를 공유하여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계획입니다. 학생 여러분이 경험한 학교폭력 피해나 목격한 사실에 대해서 정확히 기재해 주시기 바랍니다. 작성자의 정보와 응답 내용은 철저히 보호됨을 알려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12. 1 .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장, 한국교육개발원장

☞ 설문지 제출 방법 : 동봉한 회송용 봉투에 설문지를 넣어 우편으로 발송

※ 해당하는 번호에 √표 또는 구체적인 내용을 작성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학생 관련 기초 정보(직접 작성)

① 내가 사는 곳 : ( )시ㆍ도 ( )시ㆍ군ㆍ구 ② 내가 다니는 학교 이름과 학년 : ( )학교, ( )학년

2. 성별 : ① 남학생 ( ) ② 여학생 ( )

3. 최근 1년간 학생이 당한 학교폭력 피해는 어떤 것인가요?(※ 복수응답 가능) ① 말로 하는 협박이나 욕설 (명예훼손, 모욕, 공갈, 협박) ② 집단 따돌림 ③ 강제 심부름과 같은 괴롭힘 ④ 돈 또는 물건을 빼앗김 (약취) ⑤ 손, 발 또는 도구로 맞거나 특정한 장소 안에 갇힘 (상해, 폭행, 감금) ⑥ 성적인 부끄러움을 갖게 하는 말과 행동 또는 강제로 몸을 만지는 행위 (성폭력 : 성희롱, 성추행, 성폭행) ⑦ 인터넷 채팅, 이메일, 휴대전화로 하는 욕설과 비방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폭력) ⑧ 학교폭력을 당한 적이 없음

4. 최근 1년간 학교폭력을 당하였다면 주로 어떤 곳에서 당했나요?(※ 복수응답 가능) ① 교실 ② 운동장 ③ 화장실 또는 복도 ④ 그 외 학교 내 장소 ⑤ 등하교길 ⑥ 학원이나 학원 주변 ⑦ 오락실, PC방, 노래방 등 ⑧ 온라인(인터넷, 이메일)과 휴대전화 ⑨ 공터나 빈 건물, 주차장 등 ⑩ 기타 ( )

5. 학생이 다니는 학교에 일진회 같은 폭력 서클이 있다고 생각하나요? ① 예 ( ) ② 아니오 ( )

6. 학교폭력 피해를 당하거나 목격한 경우,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적어 주십시오.

7. 학교폭력을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학생의 의견을 적어 주십시오.

♣ 설문에 응답해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heejjy@cbs.co.kr

너도나도 학교폭력 대책, 이젠 범죄예방위원회까지…효과는 글쎄?

3월부터 '학교폭력 가해 사실' 생활기록부 기록

[긴급 좌담회] 폭력에 멍든 학교, 어떻게 살릴까?

퇴학이나 강제전학이 학교폭력의 대안?

범죄 112, 화재 119, 학교폭력 신고는 117!

(대한민국 중심언론 CBS 뉴스FM98.1 / 음악FM93.9 / TV CH 412)<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www.nocut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