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정보전달 설명문 쓸 수 있어야

2011. 11. 14. 11:3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겨레] [초중등 신문활용교육 NIE 글쓰기]

⑨ 신문활용교육과 설명문3

대상 정하기 → 다양한 정보 수집→ 정보 선정→ 내용 조직 및 글쓰기

'설명문'은 글쓴이가 알고 있는 것을 읽는 이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쓴 글이다. 학습과 관계있는 대부분의 글은 '설명문'이다. 따라서 '설명문' 제대로 읽기·쓰기는 교과학습뿐만 아니라, 우리 삶에 필요한 지식이나 정보를 얻기 위해서도 꼭 필요한 능력이다.

초등 저학년은 '소개하는 글'로 설명문의 특징을 익히는 것이 좋다. 그러나 학년이 올라갈수록 지식이나 정보를 전달하는 글의 비중이 높아져야 한다. 학년에 따라 습득해야 할 지식이나 정보의 깊이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초등 저학년 때 '소개하는 글'을 통해 '설명문'의 특징을 알았다면, 이제 지식이나 정보를 전달하는 '설명문'을 쓸 수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설명문' 쓰기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 첫째, 설명할 대상 정하기. 둘째,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여 정보 수집하기. 셋째, 수집한 정보 중에서 필요한 정보 선정하기. 넷째, 선정한 정보를 바탕으로 내용 조직하기. 다섯째, 글쓰기. 그리고 마지막으로 고쳐 쓰기다.

신문을 활용해서 '설명문'을 쓰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신문에서 사진이나 그림을 오려 붙이고 설명할 수 있다. 신문에는 아이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식물이나 곤충, 동물, 인물, 건축 등의 그림이나 사진들이 많다. 또 역사적 사건이나 다른 나라의 관습, 어떤 현상이나 원리에 대한 글을 스크랩하여 설명문을 쓸 수 있다. 이런 경우 더 보충할 내용이 있는지 자료를 찾아봐야 한다. 자신이 관심 있는 대상을 스스로 정하여 '설명문'을 쓰는 것이기 때문에 수업에 대한 집중도가 높아진다.

여러 신문에서 같은 내용을 다룬 기사를 스크랩하여 '설명문'을 쓸 수도 있다. 며칠 전 세계 인구수가 70억명을 돌파했다는 기사가 신문에 실렸다. 기사에는 인구 증가와 관련된 내용이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었다. 세계 인구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인구 증가에 대한 내용도 함께 실려 있었다. 또 인구조사를 하는 기관과 방법에 대한 소개도 간단하게 나와 있었다. 이 기사를 읽고 기사의 내용을 정리하여 '설명문'을 쓸 수 있다. 그런데 신문마다 조금씩 설명하는 내용이 다를 수도 있다. 여러 신문의 기사를 참고하여 쓴다면 훨씬 더 자세하게 설명할 수 있다.

일정 기간 같은 주제의 기사를 스크랩하여 '설명문'을 쓸 수도 있다. 신문에는 로봇에 대한 기사가 자주 나온다. 기간을 정해 로봇에 대한 기사를 스크랩하여 모아뒀다가 '설명문'을 쓸 수도 있다. 꾸준히 자료를 모아 정리해 보면 '로봇'이라는 말의 유래와 발전 과정, 로봇의 종류, 각 나라의 대표적인 로봇, 우리나라에 있는 로봇 동아리 등에 대해 자세하게 알 수 있다. 이런 경우 별도의 자료를 찾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로봇'에 대한 '설명문'을 썼다면 아이들과 함께 자신이 만들고 싶은 로봇을 신문을 활용하여 꾸며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꾸미고 나서 로봇의 이름도 붙여주고 각 부분의 명칭과 하는 일 등을 설명하게 해보면 아이들이 어렵지 않게 잘 해낸다.

중학생은 신문에서 특집으로 연재하는 기사 중 객관적 사실에 대한 기사를 활용하면 좋다. 몇 년 전 한 일간지에서 대체에너지에 대한 기사를 5회로 나누어서 실은 적이 있다. 대체에너지의 종류와 대체에너지 개발의 필요성,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의 대체에너지 개발 현황 등이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었다. 그 기사들을 읽고 정리하여 개요 작성을 한 뒤 '설명문'을 쓴다면 통일성 있는 설명문을 쓸 수 있다. 중학생은 '설명문'을 쓸 때 설명문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 진술 방법을 활용하여 쓸 수 있어야 한다. 설명문에는 글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정의, 예시, 비교, 대조, 분류, 분석 등의 진술 방법을 사용한다.

신문을 활용하여 '설명문' 쓰기를 한 다음 교과서 읽고 정리하기를 한다면 교과 내용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교과서 읽고 정리하기는 논술에도 많은 도움이 된다. 특히 사회교과는 주제 면에서 논술과 일치되는 부분이 많다. 또 교과 내용이나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객관적인 지식은 논술이나 토론에서 주장에 대한 근거가 된다.

조순자/한겨레글쓰기연구소 엔아이이 주임교수

공식 SNS [통하니][트위터][미투데이]| 구독신청 [한겨레신문][한겨레21]

Copyrights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겨레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