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논단] 마틴 루서 킹 '진실과 위선'

2011. 9. 30. 22:21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권운동에 가려진 방탕의 두 얼굴큰 업적 남겼지만 잘못도 기억해야

[세계일보]

지난 수십 년 동안 진보주의자들과 일부 보수주의자들이 마틴 루서 킹 2세를 건국 시조의 마지막 인물로 미화했다. 그의 흑인 차별 정책 반대운동이 미 독립선언의 공약인 개인의 자유 및 평등의 권리를 실현했다는 것이다. 이런 견해는 일방적인 진실일 뿐이다. 킹은 미국의 흑인들을 해방시킨 동시에 퇴보시켰다.

제프리 T 쿠너 美 에드먼드 버크 연구소 총재

킹의 업적은 "나는 꿈을 가지고 있다"란 제목의 연설에서 절정을 맞았다. 그는 흑인의 사회 통합 및 피부색에 구애받지 않는 색맹사회를 옹호했다. 그의 메시지는 강력하고 단순했다. 즉 사람은 누구나 피부색이 아닌 성격으로 판정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킹에게는 외면해서는 안 될 어두운 면이 있다. 대중적인 신화와 반대로 이 침례파 목사는 입으로 외친 기독교 생활기준을 지키는 데 계속 실패했다. 그의 방탕한 간음과 평생에 걸친 계집질은 측근 사람들조차 역겹게 만들었다.

그의 박사 논문 대부분이 표절된 내용이었다. 그는 공산주의자들 및 구소련 동조자들과 다수의 친분을 맺었다. 이런 사실을 알고 있었던 당시 미 연방수사국 국장 J 에드거 후버가 킹을 "사기꾼"으로 간주한 까닭이 여기에 있었다.

게다가 킹은 급진적인 좌익이었다. 그는 사회주의, 평화주의, 독재적인 공산주의에 대한 유화정책을 장려했다. 그는 베트남 전쟁에 반대했고 베트콩 및 월맹의 마르크스주의 독재자 호찌민을 공개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그들이 서방 열강의 점령에 대항하는 반제국주의자들이라고 찬양했다. 그러나 구소련의 지원을 받은 공산주의자 호찌민은 결국 베트남을 잔인한 경찰국가로 변형시켰다.

킹은 미국을 증오하는 1960년대 신좌익 운동을 추종했다. 신좌익 분자들의 눈으로 볼 때, 미국은 백인의 압제와 군국주의 및 자본주의 착취를 일삼는 악의 제국이었다. 킹은 제3세계를 휩쓸던 반식민지 해방 운동을 공개적으로 장려했다.

국내 문제에서 킹은 대규모 공공지출, 도시 재개발, 요람에서 무덤까지 책임지는 유모국가를 촉구했다. 백인 미국이 인종적으로 범한 죄는 큰 정부를 지지하는 진보주의를 통해서만 속죄가 가능하다고 그는 주장했다. 킹은 정부 사업 하청의 인종 할당제, 사회적 약자 배려, 대규모 복지지원을 요구했다. 간단히 말해서 킹은, 반전과 부의 재분배 및 정체성 정치에 집착하는 현대 민주당의 기초를 놓는 데 기여했다.

킹의 좌익사상은 결국 자신의 민권 신조를 배신했다. 그가 촉구한 색맹사회는 다문화주의 진보사상과 어긋났다. 사회적 약자 배려와 인종 할당제 및 정부의 소수파 복지 지원 정책은 법적인 평등 원칙과 정면으로 배치된다. 현대 미국인들은 개인으로서가 아니라 인종과 성의 집단 구성원으로서 판정을 받는다. 이는 과거 미국 남부에 횡행했던 인종차별주의의 도착적인 반대 형태다.

킹이 죽고 40년이 지난 현재 미국은 성과급제도에서 더욱 멀어지고 있다. 피해자학과 인종적 예외주의가 대학과 정부 관료체제 및 대기업 등 미국 생활의 많은 부분을 지배한다. 미국은 인종의 경계선을 따라 분열을 거듭하면서 서서히 발칸반도처럼 지리멸렬되고 있다.

킹의 사회주의 때문에 많은 흑인들이 복지 진보주의를 지지하게 되면서 영구적인 민주당 지지세력으로 변했다. 이런 결과는 재앙이나 다름이 없다. 유모국가는 흑인사회를 불구자로 만들었고 자립정신과 기업정신 및 개인의 책임의식을 파괴했다. 이로 인해 가족이 붕괴되고 문맹률이 치솟았으며 수많은 사람들이 도시빈민으로 전락했다. 킹은 흑인들에게 흑인차별에서 벗어나는 길을 안내했으나 다시 그들을 경제적인 노예농장으로 끌고 들어갔다.

킹의 유산은 양날의 칼이다. 그는 미국 흑인들을 해방시키기도 했고 다시 가두기도 했다. 후세를 위해 그의 업적을 기릴 때 미국인들은 킹의 잘못도 함께 기억해야 한다.

모든 시민이 잠재력을 고도로 발휘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 미국인들은 사회적 약자 배려 및 복지국가 정책의 족쇄를 풀어 버려야 한다.

제프리 T 쿠너 美 에드먼드 버크 연구소 총재

워싱턴 타임스·정리=오성환 외신전문위원

Martin Luther King Jr.'s mixed legacyBy Jeffrey T. Kuhner

In Washington, there now stands a new memorial: a 30-foot-tall granite statue of Martin Luther King Jr. overlooking the Tidal Basin. For decades, liberals and some conservatives have deified King as the last of the Founding Fathers, a man whose opposition to Jim Crow embodied the culmination of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s promise of individual liberty and equal rights for all Americans, regardless of race. This is only partly true: King helped to both liberate and further hold back black Americans.

Undoubtedly, King deserves much praise. He spearheaded a noble movement that eventually achieved true justice and individual freedoms for blacks in the segregated South. Today, it is hard to imagine the intense level of racial hatred and institutionalized discrimination blacks faced on a daily basis. Voting rights were denied. Lynching was common. Economic opportunities were meager. They were systematically segregated, forced to live in impoverished neighborhoods, attend inferior schools, sit at separate lunch counters and ride at the back of the bus. Kids could not even purchase an ice cream cone from white vendors. Jim Crow was a form of apartheid, an official system of racial subjugation.

It took more than a decade but the civil rights movement finally succeeded in abolishing this moral abomination. Many activists - blacks and whites - suffered and died because of their noble convictions. As its leader, King justifiably achieved international fame. His finest hour was his "I Have a Dream" speech. He championed black integration and a color-blind society. His message was a powerful and simple one: People should be judged by the content of their character, not skin color.

Yet, there was a dark side to King and it should not be ignored. Its effects continue to plague our society. Contrary to popular myth, the Baptist minister was a hypocrite who consistently failed to uphold his professed Christian standards. His rampant adultery and serial, life-long womanizing revolted even some of his closest associates. Large parts of his doctoral dissertation were plagiarized. He had numerous ties with communists and Soviet sympathizers. Then-FBI Director J. Edgar Hoover knew this, which is why he considered King a "fraud."

Moreover, King was a radical leftist. He promoted socialism, pacifism and the appeasement of totalitarian communism. He opposed the Vietnam War and even openly supported the Viet Cong and North Vietnam's Marxist dictator Ho Chi Minh, praising them as anti-imperialists battling Western occupying powers. Yet, these Soviet-backed communists would eventually impose a murderous police state upon the Vietnamese. King embraced the 1960s New Left's hatred of America. In their eyes, the United States was an evil empire driven by white oppression, militarism and capitalist exploitation. King openly promoted the anti-colonial "liberation" movements engulfing the Third World. For example, he defended Ghanaian strongman Kwame Nkrumah, excusing his authoritarian rule and forced nationalization.

At home, he called for heavy public spending, urban renewal and a cradle-to-grave nanny state. He was critical of the Great Society for not going far enough: White America's collective racist sins could only be expiated through big-government liberalism. King called for racial quotas in government contracts, affirmative action and billions in welfare assistance. In short, he helped lay the groundwork for the modern Democratic Party - anti-war, favoring the redistribution of wealth and obsessed with identity politics.

King's leftism ultimately betrayed his original civil rights creed. His call for a color-blind society was contradicted by his multicultural progressivism. Affirmative action, racial quotas, government handouts to minorities - these policies directly violate the basic principle of equality under the law. Contemporary Americans are not judged as individuals, but as members of a racial group, gender or ethnicity. This is a perverse inversion of the very kind of racialism prevalent in the Old South. More than 40 years after his death, we are further away from being a genuine meritocracy. Victimology and racial set-asides dominate large swathes of American life, from university admissions and government bureaucracies to big business and construction. The country has slowly Balkanized, splintering along ethnic lines.

King's socialism also convinced many blacks to adopt welfare liberalism. It transformed them into a permanent Democratic constituency. The results have been disastrous. The nanny state has crippled the black community, undermining self-reliance, entrepreneurship and personal responsibility. It has fostered family breakdown, soaring rates of illegitimacy and trapped millions in a cycle of poverty and urban squalor. King showed blacks the way out from segregation, but he led them to an economic plantation.

The great irony is that more Republicans voted for the Civil Rights Act and the Voting Rights Act than Democrats. President Lyndon B. Johnson signed the legislation but to overcome the intense hostility of Southern Democrats he needed - and received - strong GOP congressional support. The party of Lincoln not only freed the slaves, it helped to dismantle Jim Crow. Instead of rewarding Republicans, blacks have largely turned their backs on them and with that, have rejected the self-empowerment and prosperity that comes from free-market capitalism.

King's legacy has been a double-edged sword: He both liberated and imprisoned black America. As we celebrate his achievements with the new memorial in the nation's capital, for the sake of future generations, let us remember too how King erred. In order to truly create a society where all citizens rise to the height of their potential, we must discard the shackles of affirmative action and the welfare state.

hold back:발전을 방해하다 womanize:계집질하다 inversion:전도, 도치

[Segye.com 인기뉴스]

◆ '짝퉁 노벨상' 급조 1년만에 폐지…국제망신

◆ 장갑차로 불법주차 벤츠 밀어버린 시장

◆ '김정일 손자' 김한솔…'노란머리' 청년, 진짜?

◆ 대리출산, 난자제공…'현대판 씨받이' 경악

◆ 서울 '시민의 발' 버스·지하철 요금 200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세계일보 [모바일][지면보기][공식SNS-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세계닷컴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