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 내 유해업소 4만곳 넘어

2011. 9. 15. 09:0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국적으로 유흥업소 등 학교 인근 환경위생정화구역 내에 있는 유해업소가 4만여곳이 넘어 정화구역 지정제도가 유명무실하다는 지적이다.15일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소속 한나라당 박영아 의원이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제출받은 국감자료에 따르면 노래연습장과 당구장의 30~40%가 학교주변에 있어 학생들의 학습권 보장과 각종 위해환경으로부터 학생들을 보호하려는 제도의 취지를 무색케하고 있다.현행 법은 학교 보건 위생 및 학습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학교 주변 200m까지를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으로 정해 놓고 있다.그러나 올해 6월 말 현재 전국적으로 4만2066곳의 유해업소가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 안에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박 의원 측은 밝혔다.유형별로는 유흥 단란주점이 1만2105곳으로 가장 많았고 노래연습장 9869곳, 당구장 7182곳 순이었다.소상공인 진흥원이 발표한 '2009년 소상공인 업종별 편람'에 따르면 2007년을 기준으로 전국의 노래연습장은 3만4370곳, 당구장은 1만9527곳으로 이를 감안할때 노래연습장의 29%, 당구장의 39%가 학교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박 의원 측은 덧붙였다.지역별로는 서울이 8702곳으로 가장 많았으며 경기도 7198곳, 부산 3851곳 순이며 대전이 968곳으로 가장 적었다.또 학교위생정화위원회 심의를 받지 않았거나 불가 처분을 받고도 무단으로 설치된 불법 업소는 104곳, 교육청과 행정기관의 느슨한 대처로 이전 및 폐쇄 기한이 지난 정비대상 업소도 75곳에 달했다.박 의원은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 지정에도 불구하고 유해 업소가 학교 주변에 너무 인접해 있다"며 "쾌적한 학습 환경 조성을 위해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 내 업소 설치에 대한 심의 강화 등의 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haeneni@fnnews.com 정인홍기자

▶ 단독주택 '몸값' 비싸졌다

▶ [현장르포] '루이비통' 인천국제공항 신라호텔 면세점 입점

▶ 해외 언론이 극찬한 '갤럭시 노트'..어떻길래?

▶ 무한도전에 등장한 신형 프라이드…'확실한 존재감 드러내'

▶ 미혼, 과거 애인생각에 결혼 힘들어...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First-Class경제신문 파이낸셜뉴스 구독신청하기]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