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랜드 참사(1999년 유치원생 19명 등 23명 사망) 건물주, 옆자리서 방갈로 불법 영업

화성 2011. 8. 18. 03:4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09년 추모 10주기 행사후 영업 못하게 했는데도 버젓이.. 화성시 2년 이상 방치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백미리의 방갈로촌 '야자수 마을'은 1999년 6월 30일 유치원생 19명과 인솔교사 4명 등 23명이 화재로 목숨을 잃은 '씨랜드 참사'가 발생한 곳 바로 옆이다. 서해가 바라보이는 한적한 곳에 자리 잡은 이곳에 방갈로 형태의 이동식 목조건물 12동, 화장실 1동, 샤워실 1동, 매점 1동, 관리사무실 1동 등 16동의 건물이 들어섰다.

방갈로촌의 건물 16동이 전부 화성시의 허가를 받지 않은 불법 건물인데, 운영자는 1999년 참사를 일으킨 '씨랜드 청소년수련원'을 운영했던 박모(54)씨다. 박씨는 씨랜드 참사 후 교도소에서 5년간 복역하고 나왔다.

17일 오후 기자가 찾아간 방갈로촌에 박씨는 없었고 휴대전화도 받지 않았다. 그의 아내 유모(50)씨가 이곳을 지키고 있었다. 방갈로 앞에는 바로 전날에도 손님이 다녀간 듯 먹다 남긴 맥주와 밥, 김치 등 음식물이 쓰레기봉지에 담겨 있었다.

유씨는 "올해 여름부터 이곳에 방갈로를 설치하고 영업을 하고 있다"며 "불법 건물인지 몰랐다. 요새 비가 많이 와서 손님도 거의 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유씨는 "땅을 팔려고 했지만 팔리지 않아서 생계유지를 위해 민박이라도 하려고 했다"면서 "시청에서 철거하라는 계고장이 날아왔기 때문에 빨리 철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유씨의 말과는 달리 인근 주민들은 이 방갈로촌이 2009년쯤부터 영업을 시작했다고 말했다. 경기도 화성시는 씨랜드 참사 추모 10주기 행사가 열린 2009년 6월 박씨가 방갈로를 설치한 것을 확인하고 철거를 지시했고, 지게차로 이동식 방갈로를 한쪽 구석으로 옮겨 영업을 못하게 했다. 하지만 박씨는 추모행사가 끝나고 2~3개월이 지나자 불법 건축물들을 다시 지금 자리에 설치해 영업을 계속해왔다는 것이다. 이 방갈로들은 박씨 것이고, 부지는 박씨의 친형(66) 소유다.

화성시가 박씨의 불법 방갈로촌을 2년 이상 방치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인근의 한 주민은 "아이들 목숨을 앗아간 사람들이 저렇게 버젓이 불법영업을 하는 것을 보고 지역 주민들이 화성시청에 여러 차례 신고했고, 한 달에 한 번꼴로 '화성시'라고 적힌 차량이 이곳을 돌아보고 갔다"고 전했다.

화성시 황진규 건축과장은 "2009년 이동식 방갈로를 철거한 뒤 박씨가 다시 영업을 재개할 줄은 몰랐다"며 "관련 민원이 들어온 적도 없다"고 주장했다.

  • 대전 상공에 UFO 출현?… 무리지어 이동하는 물체 찍혀

  • 미국에서 '상위 1%'에 들려면 얼마나 벌어야 할까?

  • LGU+ 공격한 구글서버, SKT도 공격했다

  • "韓 애국가 부른 사람 봐라, 日 가수 너무 창피하다"

  • 구글 쿠데타… "삼성 스마트폰 운명, 3년안에 결판"

  • SM엔터테인먼트, 입사 지원자들 '학력' 때문에 고민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