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랜드 참사' 현장 옆에 또..버젓이 불법휴양시설

남상호 기자 2011. 8. 17. 21:5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스데스크]

앵커: 12년 전 어린이와 교사 등 23명의 목숨을 앗아간 씨랜드 화재사건 기억하실 겁니다.

사건현장 바로 옆에 무허가 휴양시설이 버젓이 들어서 있는데요.

누가 이런 곳에서 영업을 하고 있는 걸까요.

남상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화마가 휩쓸고 간 참혹한 현장.

컨테이너 박스 50여 개를 이어붙여 불법개조해 만든 이 숙소에서 한밤중에 불길이 번졌습니다.

모기향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불길은 스티로폼 등 인성 물질을 타고 번져 순식간에 유치원생 19명을 포함해 23명의 목숨을 앗아갔습니다.

1999년 6월 30일, 씨랜드 화재사건입니다.

지금은 잡초가 우거진 이곳이 12년 전 비극이 일어난 씨랜드 청소년수련원 부지입니다.

그런데 이 땅 바로 옆에서 저렇게 무허가 건물이 들어선 캠핑장을 누군가 다시 운영하고 있었습니다.

이동식 방갈로와 샤워실 등 14개 건물은 화성시에 신고조차 안 된 불법건축물.

화재 참사현장 옆이라는 사실이 무색할 정도로 소화기 같은 기본적인 화재진압도구조차 찾아볼 수 없습니다.

인터뷰: 생활고에 힘들어서 하기는 했는데 방갈로는 사실 상관 없는 줄 알았거든요.

기자: 그런데 이 캠핑장을 운영하는 사람은 52살 박 모.

바로 씨랜드수련원의 원장이었습니다.

사고 현장 바로 옆에서 무려 2년 가까이 영업을 해 왔지만 화성시는 며칠 전까지도 무허가 건출물이 있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었습니다.

인터뷰: 전부 다 할 거예요.

테이프로 싹 감을 겁니다.

영업 못하도록.

우리가 안 이상 놔두면 우리가 직무유기지.

기자: 화성시는 뒤늦게 철거명령을 내렸고 캠핑장측은 오늘 자진 철거작업을 시작했습니다.

MBC뉴스 남상호입니다.

(남상호 기자)

[저작권자(c) MBC (www.imnews.co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Copyright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