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상어고기 먹으면 혈중 수은농도 올라간다

2011. 7. 3. 13:4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영남지역 성인 남성 권고기준 초과..신경계 장애 등 유의해야

[동아일보]

대형 상어고기 섭취와 인체 혈중 수은 농도 간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상어고기를 즐겨먹는 영남 지역 성인 남성의 경우 혈중 수은 농도가 권고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영남지역 주민 5143명을 대상으로 상어고기 섭취에 따른 혈중 수은 농도 변화 등을 조사한 결과 이렇게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조사 대상은 경북지역 성인 2028명, 초등학생 944명, 경남지역 성인 2019명, 초등학생 152명 등이었다.

조사 결과 상어고기를 먹는 사람의 평균 혈중 수은 농도 값은 5.35㎍/L로, 먹지 않는 사람(3.61㎍/L) 보다 높았다.

월 2회 섭취하는 사람(11.0㎍/L)이 1회 섭취하는 사람(8.76㎍/L), 연 1¤2회 섭취하는 사람(4.41㎍/L)보다 높아 상어고기 섭취와 혈중 수은 농도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 성인 남성의 평균 혈중 수은 농도는 5.88㎍/L로, 미국 환경보호국(EPA) 권고 기준(5.8㎍/L)보다 높았다.

지역별로는 경북(6.23㎍/L), 부산(6.03㎍/L), 경남(6.03㎍/L) 등이 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초등학생은 평균 2.37㎍/L, 가임기 여성은 3.82㎍/L 수준으로 EPA 권고 기준 아래였다.

상어는 해양 생태계 먹이사슬 최상위에 위치, 수은 등 유해물질이 상대적으로 높게 축적돼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수은은 생물에 농축되는 성질이 있고 수은이 함유된 식품을 장기간 섭취할 경우 만성적인 신경계 장애 등 건강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다.

정부는 현재 식품위생법 등 관련법에 따라 상어 등 심해성 어류와 패류 등에 대한 중금속 허용 기준을 정해놓고 있으며 허용 기준을 초과한 경우 시중유통을 금지하고 있다.

환경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혈중 수은 농도 권고 기준과 성장기 어린이와 산모 등에 대한 섭취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디지털뉴스팀

- "이 몸짱이 51세?" 20대들 기가막혀

- 북한판 소녀시대 '조선 미소녀 합창단'

- 22세 중국女 "서울갈지 몰라" 자랑했지만…

- 나치제복 차림의 괴링…끝까지 비겁했던 최후

- 이순재 "지각은 권위 아냐…장근석 지각은…

- 박명수 "노홍철에 이하늬 소개시켜주고파"

- [화보] 모나코 왕가의 성대한 결혼식

- [화보] '옷 대신 色을 입자'…현란한 보디페인팅

[☞모바일서비스 바로가기]

[☞오늘의 동아일보]

[☞동아닷컴 Top기사]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