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카스트로와 마르케스

김한수 기자 hansu@chosun.com 2011. 5. 21. 03:1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카스트로와 마르케스

앙헬 에스테반·스테파니 파니첼리 지음변선희 옮김|예문 | 360쪽|1만4800원

"가르시아 마르케스는 피델 카스트로의 궁정(宮廷)작가다."(바르가스 요사)

쿠바 의 독재자 피델 카스트로 (85)와 콜롬비아 출신의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84)의 오랜 우정을 다룬 책이다. 그러나 정치권력과 문화권력의 만남은 결코 아름답지 않다. 스페인 과 미국 의 대학교수인 저자들은 50여년의 자료를 뒤져 두 사람의 관계를 캔다. 그 결론은 마르케스의 '일방적 구애(求愛)' 그리고 그것을 이용하는 카스트로다. 유명한 소설가로만 마르케스를 알고 있는 사람들에겐 다소 충격과 실망을 줄 정도다.

1959년 쿠바 혁명은 중남미뿐 아니라 서구 좌파 지식인들에겐 신선한 충격이었다. 지지자도 많았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혁명가는 본색을 드러냈다. 특히 소련의 체코 침공에 카스트로가 침묵하자 많은 지식인은 등을 돌렸다. 가보(Gabo)란 애칭으로 불리던 마르케스가 결정적으로 카스트로의 품에 안긴 것은 1971년 벌어진 '파디야 사건' 이후. 쿠바의 시인 파디야가 필화를 겪으며 '반역시인'으로 체포돼 굴욕적인 자아비판까지 한 사건에 세계의 지식인들은 분노했다. 이들은 탄원서를 발표하며 항의했지만 마르케스는 서명하지 않았다. "정확한 정보를 알지 못하기 때문"이란 이유였다. 신문기자 출신인 그는 "카스트로와 라틴아메리카 지식층의 갈등은 신문들이 만들어 유포한 것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마르케스의 '백년 동안의 고독'을 주제로 박사논문까지 받았던 바르가스 요사는 이 사건을 계기로 마르케스와 절교했다. 카스트로는 마르케스에게 수도 아바나에서 가장 좋은 동네에 집을 마련해줬고, 마르케스는 수시로 쿠바를 드나들며 국빈 대접을 받았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쿠바를 방문했을 때에는 카스트로와 함께 교황 옆에 섰다. '찬양'은 이어졌다. 1996년 콜롬비아에서 열린 세미나에서 "카스트로는 독재자 아닌가?"라는 비판을 받고는 이렇게 말했다. "선거가 유일한 민주주의 형태는 아니지요." 왜 카스트로의 명예보좌관으로 활동하느냐는 질문엔 "그는 내 친구이기 때문이지요. 사람은 친구를 위해서라면 뭐든지 해야 합니다."

  • 관료 대거 데려간 김정일… 중국 원조 그만큼 다급

  • "벤츠가 한국 부품을 사간다" 하이브리드 국산화도 해냈다

  • 어느 대기업 임원 970명 중 200여명의 졸업 대학이…

  • 세계 골프브랜드 1위 타이틀리스트, 한국기업 품으로

  • 도시 기업 생태계 바꾸는 아파트형 공장단지

  • "아버지 안아드리렴" 판사의 말에 울어버린 어느 가족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