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객은 봉?..수입등산복 자켓 100만원 '훌쩍', 현지값 2배

여세린 기자 2011. 5. 20. 13:59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아웃도어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명품 등산복'도 함께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하지만 몇몇 수입 명품 브랜드는 현지 소비자 가격보다 두배나 비싼 가격을 받고 있어 한국 고객을 봉으로 만들고 있습니다. 여세린 기자입니다.

<기자>날이 풀리면서 산을 찾은 등산객들. 알록달록 다채로운 색감에 기능성까지 겸비한 등산복을 입고 있습니다.

[송애경 암사동 : 기능성도 괜찮고 유명인들이 입고 선전하고 그렇자나요. 그런거 입고 싶고, 입어보니까 또 좋아요.]

지난해 3조원 규모로 폭발적인 성장을 한 아웃도어 시장에서 패션 등산복이 인기를 끌자, 이와 함께 고기능성 등산복도 주목 받고 있습니다.

최근 '명품 등산복'으로 불리며 소비자들의 눈길을 끌고 있는 수입 등산복. 과연 가격은 얼마일까? 수입 등산복 판매 매장직원이 추천하는 제품은 100만원을 훌쩍 넘습니다.

[수입아웃도어 매장직원 : 무난하게 입으시려면 이 정도도 괜찮아요 86만4천원..]

고기능 고어텍스 소재에다 수입브랜드라 평균 8~9십만 원에 달하는 높은 가격이지만, 꾸준히 팔리고 있습니다.

[수입아웃도어 매장직원 : 안나갈 것 같죠, 더 잘 나가요. 하나를 사도 좋은 걸 사시는 분들이 80~90%]

문제는 이런 해외브랜드의 높은 가격에 맞춰 국내 아웃도어 브랜드 가격도 전반적으로 상승하고 있다는 겁니다.

없어서 못 팔 정도로 인기를 누리는 주력상품군은 70~80만원대. 유명연예인을 모델로 내세우느라 늘어난 마케팅 비용도 가격에 거품을 더 했다는 지적입니다.

[정주명 수유동 : 아우 너무 비싸다고 생각하죠. 고어텍스같은 것은 잠바 하나에 80만 원하는데 바지하고 맞추면 2백만 원 가까이 돈이 듭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나들이 수준의 국내 등산에서 고가의 고기능성 의류를 입을 필요가 없다고 설명합니다.

[서성식 서울등산학교 교감 : 올바른 장비의 선택은 남이 좋다고해서 본인에게까지 좋은 것은 아니고 본인의 체형에 맞는 장비, 대상 산에 맞는 장비를 선택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최근 등산복 시장의 급성장과 함께 국내외 유명 브랜드가 벌이고 있는 고가 마케팅 때문에 고객들만 봉노릇을 하고 있습니다.

SBS CNBC 여세린입니다.

< SBSCNBC 애널리스트들의 종목추천 >

< 주식·부동산 서민 재테크 전문가 상담 >

<'돌풍! 야구한류' 박찬호 이승엽 김태균 김병현의 일본 프로야구 단독 생중계>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