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부, '고교수학 전자계산기 사용' 일단 제외

2011. 5. 19. 10:3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교육과학기술부가 확정, 발표한 '공교육 강화-사교육 경감 선순환 방안'을 보면 지난 2월 공개된 방안 시안에 포함됐던 '고교 수학 시험에 전자계산기 사용 허용 방침'이 빠졌다. 이 방침은 수학 교육을 암기나 계산 중심에서 논리적ㆍ창의적 사고능력을 키우는 방향으로 전환한다는 계획 아래 검토됐다가 유보된 것이다.

19일 교과부에 따르면 전자계산기 사용 허용 방침은 폐기된 것이 아니라 검토 단계여서 이번 방안에서 제외됐다. 교과부 관계자는 "아직 논의중인 사안이어서 (이번에) 굳이 내세울 필요가 없었다"며 "내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별도의 연구팀을 만들어 6월부터 이 문제를 포함한 전반적인 수학 교육 개선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3월 교과부는 수학교육개선위원회를 출범시켰다.

하지만 전문가들의 찬반 양론이 팽팽한 것이 '전자계산기 사용 허용'이 이번 방안에 포함되지 못한 원인이었다. 찬성 측에서는 "현행 수학 교육은 입시용 수학이다. 창의적인 수학을 위해 계산에 구애받지 않도록 전자계산기가 필요하다"는 입장인 반면 반대 측에서는 "계산기를 수학에서 활용하는 것은 제한적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수학에서는 계산능력이나 사고력도 중요한데 이 같은 능력이 감소될까 우려된다"며 맞섰다.

또 사용하는 전자계산기도 "로그, 삼각함수 등 각종 수학 개념이 내장된 공학용계산기를 통해 풀이과정을 알 수 있게 하자"는 의견과 "사칙연산만 가능한 단순계산기를 사용해 최소한 수학의 각종 개념은 확실히 짚고 가게 해야 한다"는 의견이 갈렸다.

아울러 내신과 관련된 고교 수학시험이나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계산기를 허용한다면 교육 당국이 일괄 지급할 지 학생 개인 부담으로 갖추도록 할지, 시험 도중 예기치 않은 계산기 고장 문제엔 어떻게 대처할지, 지난해 수능 때 '불량 샤프심' 사태처럼 품질 문제는 물론 계산기 구매와 업체 선정을 둘러싼 잡음은 없을지 등이 논의돼야 한다고 교과부는 전했다.

현행 교육과정에 계산기 사용을 허용하는 근거가 모호한 문제도 있다. 현재는 중등교육과정에서 "계산기 등 공학적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정도의 원칙적이고 포괄적인 규정만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상황 때문에 '전자계산기 사용 허용'에 대한 결론은 상당히 늦춰질 것으로 보인다. 권기석 교과부 수학교육정책팀장은 "해를 넘겨야 관련 최종안이 도출될 것이다"며 "안이 확정돼도 계산기 보급, 활용 단원이나 방법 등 각종 문제가 또 남아있다"고 말했다.

<신상윤 기자 @ssyken> ken@heraldm.com

▶ 美 고등학교, 한국어 가르친다

▶ "올 수능 이렇게" 평가원, 학습방법 자료 각 고교에 배부

▶ 한국 고교생 "혼자선 공부 못해"

▶ '고교 시험문제 유출' 교사에 벌금 500만원

◆ <헤럴드 핵심공략주> 강력 상승신호 포착 '실시간 추천주'

◆ <헤럴드 핵심공략주> 뉴스보다 빠른 정보 '오늘의 승부주'

- 헤럴드 생생뉴스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