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읽는 경향]신갈나무 투쟁기

홍순철 | BC에이전시 대표·북칼럼니스트 2011. 5. 11. 22:1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낌없이 주는 숲무엇으로 보답할까

▲ 신갈나무 투쟁기 | 차윤정·전승훈·지성사

모처럼 맞이한 5월 초 연휴에 초등학교에 다니는 두 아들과 함께 제주 사려니숲을 걸었다. 봄비를 흠뻑 맞은 뒤여서 그런지 숲의 모습은 신비롭고 다채로웠으며, 우리 가족은 일상에서는 맡을 수 없는 그윽한 숲의 향기, 그리고 도시에서는 들을 수 없는 오묘한 숲의 소리에 취해 그곳을 쉽게 벗어날 수 없었다.

제주 방언으로 '신성한 숲속'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는 사려니숲 산책은 숲이 인간에게 얼마나 커다란 축복인지를 깨닫게 해주는 행복하고 소중한 경험이었다. 더 오랫동안 울창하고 넉넉한 숲의 그늘에서 뛰어놀지 못해 아쉬워하는 아이들의 모습을 지켜보다가, 문득 이 책이 떠올랐다.

철저하게 나무의 관점에서 쓰여진 < 신갈나무 투쟁기 > . 이 책을 읽음으로써 우리는 오롯이 나무가 되어볼 수 있다. 지배자인 인간의 입장이 아니라 다른 식물과 힘겨운 생존 투쟁을 해야 하며, 동물들에게 열매를 착취당하고, 결국 자신의 모든 것을 아낌없이 내주어야만 하는 나무의 입장을, 숲의 입장을 이해해볼 수 있다. "베풀고 사는 생이 아름답다고 했던가. 누가 그런 말을 하는가…. 먹고사는 곤충이 건강해야 새들이 건강하고 그래야 생태계가 건전하게 유지된다고 하던가.

나비가 날아드는 모습을 아름답다고 말하는 무리는 또 누구인가. 한 마리의 나비가 있기까지 얼마나 많은 식물이 먹히고 또한 얼마나 많은 식물이 공포에 떨었던가. 차라리 건전한 생태계란 무수한 희생으로 이루어진다고 정확하게만 말해주어도 나무에게는 위안이 될 것이다."

'숲은 어머니'라고 했던가? 그래서 인간은 누구나 숲 속에 있으면 태아로 돌아가 태곳적 평화로움을 경험한다. 죽어가는 숲을 살려야 한다. 마치 어머니를 살리는 마음으로 말이다.

< 홍순철 | BC에이전시 대표·북칼럼니스트 >

경향신문 '오늘의 핫뉴스'

▶ ESPN '추신수 망신얼굴' 공개…술 덜깨 초췌

▶ "생수 사서 변기에…" 구미 단수 4일째 기막힌 생활

▶ '신종 폐질환 사망'…어린이도 숨졌었다

▶ "노태우 전 대통령 침 놓은 사람은 구당 여제자?"

▶ 뽀로로, 알고보니 북한에서 만들어졌네

▶ 대졸 구직자 "연봉, 이정도는 받아야…"

공식 SNS 계정 [경향 트위터][미투데이][페이스북][세상과 경향의 소통 Khross]-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경향닷컴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