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논단] 중동 운명 바꿀 이집트의 진로

2011. 4. 24. 22:32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계일보]

2000년 이전에 태어난 사람이 자기가 태어난 해의 뒤 두 자릿수에다 올해의 자기 나이를 더하면 누구나 111이 된다. 올해는 또 1만 겹치는 날이 4일 있다. 2011년 1월1일, 2011년 1월11일, 2011년 11월1일, 2011년 11월11일. 또 10월에는 일요일과 월요일, 토요일이 다섯 번 있다.

이런 현상은 823년에 한 번 일어난다. 이집트에서 전쟁이 수반되지 않은 지정학적 대격변은 59년마다 일어난다.

아노 드 보그라브 UPI 편집위원

온건파로 위장한 이슬람 근본주의 세력이 이집트의 중심무대에서 급부상하고 있다는 것이 최근의 상식적인 해석이다. 가을 총선에서 무슬림 형제단이 대략 40%나 과반수를 득표할 것으로 전망된다. 무슬림 형제단의 집권은 강대국들의 지정학적 계산을 변화시킬 것이다.

카이로의 가두시위가 정권을 바꾸었고 이집트의 갑부 대다수는 현명하게 해외로 거처를 옮겼다. 무슬림 형제단의 일부 지도자는 미국의 정치인들보다 이란의 신정통치자들과 더 가깝다. 이슬람 수니파와 시아파는 손잡는 시늉을 하면서 지정학적인 기회 활용에 나섰다.

예를 들어 이란은 가자에서 하마스와 협력하고 레바논에서는 헤즈볼라를 지원한다. 이란의 이슬람 성직 지도자들과 이집트 무슬림 형제단 간부들이 막후에서 비밀리에 신중한 접촉을 한다고 이집트의 한 고위인사가 워싱턴 방문 때 사석에서 암시했다. 3월에는 터키 대통령이 이집트를 방문하여 군부 및 무슬림 형제단 지도자들과 만났다.

이집트에서 자유정의당이란 간판을 새로 내건 무슬림 형제단은 선거운동을 벌써 시작했다. 오바마 행정부는 형제단이 "폭력에 반대하고 민주적 목표를 인정한다"는 조건 하에 형제단의 개혁정부 참여를 지지한다. 그러나 형제단이 미국 외교관들을 환영할 것으로 생각하는 것은 순진한 생각이다.

자유정의당을 이끄는 무함마드 바디에는 지난해 한 설교에서 본색을 드러낸 바 있다. "아랍과 이슬람 정권들은 이스라엘뿐만 아니라 미국을 포함한 이슬람의 진정한 적들에게 대항하지 않음으로써 자국민을 배신했다. 이 두 나라의 불신자들과 성전을 벌이는 것은 무시할 수 없는 알라의 계명이다." 바디에의 설교 제목은 "미국은 종말의 시작에 직면했다"였다.

이집트 무슬림 형제단의 주요 지도자인 무함마드 가넴은 이집트산 천연가스의 이스라엘 공급을 중단하고 이집트 군은 전쟁준비에 돌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형제단의 다른 지도자들은 이스라엘·이집트 평화조약이 이집트 군의 시나이 주둔을 배제한 것에 반대한다.

이집트 군병력의 시나이 재배치는 이스라엘에는 전쟁을 개시해야 할 이유가 된다. 건국 이후 이스라엘 군은 시나이에서 이집트 군을 1967년과 1973년 두 차례 섬멸한 바 있다.

무슬림 형제단은 세속주의가 샤리아의 포기에 해당되며 "신의 지도를 거부하고 알라의 명령을 거역하는 행위"라고 주장한다. 형제단의 정신적 지도자 한 사람은 "우리의 이슬람 철학을 올바로 이해하고 적용하면 서구 자본주의를 대신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무슬림 형제단은 거리폭력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초기 이슬람 신앙을 고집하는 근본주의 집단인 살라피스트파를 폭동과 가두시위의 돌격대로 동원한다. 또 매년 약 1200만명의 관광객을 유치하는 몇몇 회사에 관광산업을 정화하라고 통보했다. 즉 관광객들에게 술을 팔지 말라고 지시한 것이다.

이집트 군에 30년 동안 복무한 한 고위 장교는 이집트와 리비아 사태를 비교해 달라는 요청을 받고 이렇게 대답했다. "리비아는 지금 지중해의 소말리아로 변하고 있다. 현재 이집트에서 벌어지는 사태는 미국의 전략을 변화시키는 요인이 될 것이다."

이집트와 터키, 이란이 각자 진로를 바꾸어 같은 방향으로 나아가기 시작한 사실에 서방 세계가 주목할 필요가 있다. 2004년 핵무기 개발을 포기한 뒤 리비아에 어떤 사태가 벌어졌는지 이란은 똑똑히 지켜보았다. 이란은 리비아의 실수를 되풀이할 생각이 없다.

아노 드 보그라브 UPI 편집위원

워싱턴 타임스·정리=오성환 외신전문위원

Saudi nukes in the GulfBy Arnaud de Borchgrave

Overlooked in the welter of fast-moving events throughout the Arab world was a Saudi Arabian call for transforming the six-nation Gulf Cooperation Council into "an entity identical to the [27-nation] European Union" - plus nuclear weapons.

Saudi Arabia has grown impatient "Waiting for Godot." Samuel Beckett's famous play depicts the "meaninglessness of life," with its repetitive plot in which nothing much happens. In Saudi eyes, that's Iran and its secret nuclear weapons program. And eyedrop Western sanctions have done nothing to deter Iran's aging theocrats.

Iran began nuclear research with French assistance in the 1960s. In 1972, the late Shah Mohammad Reza Pahlavi told this reporter that Iran would one day be a nuclear power. Britain had relinquished all its geopolitical responsibilities east of Suez in 1968.

Under the Nixon Doctrine that followed the British withdrawal from the Gulf, the "shahanshah" (king of kings) became the "guardian" (and gendarme) of the Persian Gulf from the Strait of Hormuz to Kuwait.

The religious fanatics that succeeded the shah have similar ambitions - this time to spread their brand of religious extremism. A prime target is Bahrain, a tiny island linked to Saudi Arabia by a 16-mile causeway, which is also home port for the U.S. Fifth Fleet, and whose 1 million people are 70 percent Shia Muslims (as in Iran).

Saudi Arabia, answering an appeal from the Bahraini monarch, dispatched some 1,500 troops and armored vehicles across the causeway to guard vital installations while local law enforcement coped with daily demonstrations and riots.

On Jan. 18 when the Arab volcanobegan erupting in Tunisia and spreading political lava through Libya, Egypt, Syria, Jordan, Bahrain and Oman, the powers-that-be in the West fell silent, evidently prepared to ditch erstwhile friends and allies. The lesson was not lost on the Saudis.

It wasn't until Libya's megalomaniacal Col. Moammar Gadhafi announced he was planning to kill without mercy his own dissident citizens in Benghazi that President Obama perked up and Secretary Hillary Rodham Clinton talked retaliation with the European allies. The Germans balked. Then U.S., French and British fighter-bombers decimated Col. Gadhafi's tanks headed for Benghazi. But Mr. Obama, already saddled with two military theaters and anxious to avoid a third, kicked Libya operations over to NATO and the Europeans.

In his first attempt to unveil what was quickly dubbed the "Obama Doctrine," the president, in effect, bought Col. Gadhafi more time by declaring regime change by force would be a mistake. George H.W. Bush made the same decision in 1991 by declining to chase Saddam Hussein's legions back to Baghdad. This, in turn, led to a 12-year, $14 billion no-fly zone over Iraq, followed by Gulf War II in 2003. The Saudis paid the tab, as they did for most of the war.

This time, the Saudis, armed with compensatory cash, managed to dodge popular wrath oozing through the Arab body politic. The only noticeable demonstration was a small one (about 1,000) in favor of the divine right of kings (enunciated by the Stuarts in Britain in the 16th century).

But Saudi soldiers in Bahrain, now backed by police from the United Arab Emirates (a federated union of seven sheikdoms, including Abu Dhabi and Dubai), face indefinite security duty in another country. Some 70 percent of Bahrain's work force is on strike and clashes with police are now routine.

Former U.S. ambassador to Saudi Arabia Chas W. Freeman Jr. says, "The one plausible source of contagion for Saudi Arabia is the civil strife in its much smaller sister kingdom of Bahrain ... where the ouster of its royal family ... could incite instability in the other small city-states" that make up the Gulf Cooperation Council (GCC) with Saudi Arabia. And they all fear that majority Shiite rule in Bahrain would draw the island into the Iranian orbit, handing Iran a strategic base of influence in their midst.

Prince Turki Al-Faisal, the man who headed the Saudi intelligence service for a quarter of a century before his appointment as ambassador to Britain and later the United States, reminded Western countries that the GCC's mutual defense pact is similar to NATO's in its obligations.

Now chairman of the King Faisal Research Center, Prince Turki launched the drive for the GCC countries to acquire nuclear weapons, now described as essential vis-a-vis the two other regional powers that already posses them. He named Iran and Israel.

Prince Turki, in a little reported talk but clearly speaking for the kingdom at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Emirates Center for Strategic Studies, called for a joint Gulf army "acquiring the nuclear might to face that of Iran."

While international efforts have clearly failed to convince Tehran to cease developing nuclear weapons and Israel to dismantle its own arsenal, a nuclear future for the GCC is now an imperative.

Between them - Saudi Arabia, Kuwait, Qatar, UAE, Bahrain and Oman - there is no shortage of cash in their Sovereign Wealth Funds to bankroll a nuclear weapons program. They can pay top dollar for nuclear scientists and engineers from Western powers and Russia.

"We ought to be effective regarding major international affairs and prevent others from dictating options to us," said Prince Turki, scion of the late King Feisal, the monarch who created the modern Saudi state.

Qatar, the wealthiest Gulf state with a per capita income of $78,000, was the first non-NATO country to respond to the "no-fly zone over Libya" appeal from the 22-member Arab League. A third of its French-made Mirage squadron flew to a Greek base in Crete where they joined a French squadron and flew four-plane joint patrols over northeastern Libya.

The UAE followed the Qatari lead with 12 F-16s.

Qatar also has a global reach through Al Jazeera TV news, in both Arabic and English. Lavishly funded, the network has more bureaus and correspondents than any other TV news operation anywhere in the world.

The next act in the Gulf sweepstakes won't be a walk in the park.

inperative:반드시 해야 하는 scion:자손 sweepstakes:판돈을 독식하는 내기

[Segye.com 인기뉴스]

◆ '날벼락' 맞은 정우성, 술자리서도 이지아 못잊고…

◆ 산악회 관광 버스 커브길서 추락… 5명 사망

◆ 北인민무력부장 "언제 전쟁 터질지 모르는데…"

◆ '신정아 스캔들' 그 후 변양균 실장 부부는?

◆ 삼각관계 女동성애자, '어긋난 사랑' 끝내…

◆ 이요원, 동안 교복자태 '정일우보다 어려보여'

◆ 정우성 "서태지·이지아 사이가 사실이라면…"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금융전문뉴스 세계파이낸스] [모바일로 만나는 세계닷컴] < 세계닷컴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