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 [지역 이슈] 여수 '화물차휴게소' 업체 선정 논란

조홍복 기자 powerbok@chosun.com 2011. 4. 19. 03:4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3일 오후 전남 여수시 석창사거리. 국도 17호선이 관통하는 여수산단의 초입이자, 여수의 관문이다. 관광객의 대부분은 이곳을 통해 여수엑스포가 열리는 여수신항과 오동도를 향한다. 물론 여수산단 직원들도 이 길을 거쳐 각자의 일터를 오간다. 여수시는 "여수의 상징 같은 거리"라고 했다. 이 사거리에서 여수산단 방향으로 5분쯤 차량으로 이동하면 오른편에 주삼동 5만3500㎡의 논밭과 녹지가 있다. 이 터가 최근 논란의 진원지가 됐다.

이곳에 들어설 화물자동차휴게소 사업자 선정을 놓고 끊임없는 파열음이 나오기 때문이다. 여수지역 상당수 경제단체와 시민·사회단체가 시간차를 두고 여수시의 사업자 지정 철회를 요구하는 탄원서와 건의문·성명서를 경쟁적으로 내놓고 있다. 심지어 시의회까지 참여했다. 지난해 8월 관련 법에 근거해 우선협상대상업체 지정이 끝났지만, 계속된 '여진'으로 착공이 지연되고 있다. 이들 단체가 굳이 특정 업체에 반기를 든 이유는 뭘까.

"사업자 선정 철회하라" 봇물

지난 1일 여수시의회는 "지역민의 정서를 무시한 화물자동차 휴게소 사업을 철회하라"는 건의문을 냈다. 의회는 그 이유로 ▲부적합한 입지 ▲특정업체에 대한 특혜 ▲지역사회 환원사업과 시민기업사랑 운동 역행 ▲지역자금의 역외 유출 등을 꼽았다. 의회는 "선정이 공정하지 못하고 객관적으로 이뤄지지 않았다"며 "지역 정서상도 부적합하고 지역 발전에도 저해된다"고 주장했다. 전체 의원 26명 중 박정채 의원 등 20명이 서명했다.

이 밖에도 여수상공회의소·경실련·산단 건설협의회·민노총·경영인협회·건설노조·화물연대·주유소협회·공장장협의회 등이 잇따라 업체 지정 철회 또는 사업자 변경을 요구하고 나섰다.

여수상의는 "외부인사로 구성된 평가단이 지역사회공헌도 점수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은 배점표를 만든 결과"라며 "겉으로 선정 과정은 적법해도 그 내용은 공익성과 객관성이 결여됐다"고 말했다. 화물연대는 "민간 기업은 이익만을 따지기 때문에 결국 화물차 운전자들의 복지 상황이 더 악화될 것"이라며 "공영으로 휴게소를 만들어 운영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여수의 화물자동차 휴게소 사업은 국토해양부 국책시범사업이다. 2003년 화물연대가 일제히 운송을 거부하며 운전자들의 처우 개선을 요구했다. 이에 정부가 이들의 복지향상을 위해 주차장이 포함된 휴게소를 만들기로 했던 것. 2005년 당시 건설교통부는 여수와 울산을 시범사업 지역으로 지정했다.

여수시는 민자 유치로 사업을 추진했다. 사업비는 186억원. 국비 56억원, 시비 32억원, 민자 98억원이 포함됐다.

그런데 지역의 예상을 깨고 울산에 기반을 둔 SK가 지난해 1월 휴게소 건설 사업자로 선정되면서 갈등이 시작됐다. SK는 화물차 339대를 포함한 총 436대 규모의 주차장과 주유소, 경정비소, 식당, 화물정보센터 등을 최대 30년간 운영할 계획이다. SK는 작년 8월 우선협상대상업체로 지정 통보받았다. 최근에는 여수시와 '실시협상'을 벌이고 있다. 시는 이르면 오는 6월 착공, 내년 5월 여수엑스포 개최 전에 완공한다는 계획이다.

SK에 이어 2순위를 차지한 GS칼텍스는 당혹한 기색이 역력하다. 1967년 여수산단에 둥지를 튼 지역의 대표 기업이 주유업계 1·2위를 다투는 라이벌 기업에 일격을 당했기 때문이다.

GS칼텍스는 "여수시민을 위해 1000억원의 문화예술공원도 건립하고, 연인원 임직원 4000여명이 자원봉사를 하는 등 사회공헌에 애쓰고 있다"며 "하지만 이런 모든 노력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아 허탈할 뿐"이라고 말했다. GS칼텍스는 평가 당시 사업비를 경쟁사보다 20억원을 더 써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여수시는 2005년 한국교통연구원에 사업 타당서 조사를 의뢰한 뒤 2009년 10월 업체 선정 평가 업무를 인하대에 맡겼다. 그 결과를 토대로 SK를 선정했다.

"적법하게 추진, 뒤집기 힘들다"

이에 대해 여수시는 "관련법에 따라 추진한 사업으로 백지화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사업이 철회돼 SK가 손배소 등을 제기하면 문제가 더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공정한 경쟁을 통해 국책 사업 업체를 결정했다는 점도 이유다.

시는 "함께 추진했던 울산은 지난달 25일 이미 휴게소를 완성했다"며 "SK와 GS칼텍스측이 서로 만나 타결책을 찾는 게 최선의 해결 방법"이라고 말하고 있다.

시는 공영 사업은 재정부담이 커 민자로 갈 수밖에 없었다고 했다. 특히 지역 사회공헌은 원래 평가 항목에 없었는데 지역 여론을 감안해 추가했다고 한다. 시는 "SK는 전국 대부분 화물자동차 휴게소를 운영하고 있어 평가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했다"고 말했다.

  • "카다피 군, 집단성폭행을 무기로 활용"

  • "이사 대금 1억, 한명숙 측근 김씨 통해서 받아" 주장

  • 김황식, 원자바오와의 만찬장서 '한 오백년' 연주되자…

  • 후쿠시마 원전에 로봇 투입, 방사선 측정 결과는…

  • "음매 기막혀" 소값 떨어졌는데…꽃등심 가격의 비밀

  • 현대차 노조 "장기근속 정규직 자녀들, 우선 채용하라"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