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복지국가론' 서민 잡기..손학규 '생활정치' 중간층 포용

2010. 10. 12. 19:5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겨레] '왼쪽표 공략' 나선 대선주자들

정동영 - 당 진보노선 깃발

김문수 - '보수노선' 강화

한나라당과 민주당의 유력 차기 대선 주자들도 '왼쪽으로'라는 흐름과 함께하고 있다.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는 '복지'를 강조하고 있고, 야당 주자들도 '진보' 쪽으로 무게중심을 옮기고 있다. '왼쪽표'를 잡지 않으면 다음 대선에서 승리하기 어렵다는 판단에 따른 움직임들이다.

박 전 한나라당 대표는 지난 6월 지방선거 결과가 나오기 이전에 일찌감치 '복지국가론'을 내세우며 왼쪽으로 먼저 한발을 내디뎠다. 박 전 대표는 지난 8월15일 어머니 육영수 추도식에서 "우리 사회가 직면한 많은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나 혼자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 마음, 약자의 편에서 생각하는 배려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지난해엔 고삐 풀린 금융자본주의를 경계하는 '원칙 있는 자본주의론'을 말하기도 했다. 한 측근 의원은 "보수층에서 중도 서민층으로까지 지지기반을 확대하려는 전략적 움직임"이라며 "'부자정당'이란 이미지가 있는 한나라당의 대선주자로서 '나는 다르다'는 모습을 보여주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손학규 민주당 대표는 중도층을 끌어안아야 집권할 수 있다는 논리를 펴왔다. 이념적 정체성도 중도에 가까웠다. 그런 그도 최근엔 '실천하는 진보'를 내세우고 있다. 취임 뒤엔 배추밭, 전통시장, 추수 현장 등을 연거푸 찾았다. 한 측근은 "말로만 진보가 아니라, 민생현장 속에서 문제와 해법을 찾는 실천하는 진보가 중요하다는 것"이라며 "그래야 현 정부의 친서민정책 허구성이 선명히 드러날 것"이라고 말했다. 중도와 진보를 동시에 잡자는 전략인 셈이다. 또다른 측근은 "시대적 조류가 진보의 흐름을 타고 있다. 중도나 진보 어느 한쪽만으론 국민의 마음을 붙들 수 없다는 걸 손 대표도 잘 알고 있다"고 말했다.

정동영 민주당 최고위원은 최근 전당대회 국면에서 '담대한 진보'와 '역동적 복지국가론'을 제시하며 당 이념좌표의 진보노선 이동을 주도하고 있다. '부유세 도입'을 당론으로 채택하자고까지 주장한다. 한 측근은 "국민들은 양극화를 극복할 답을 기다렸는데 2007년 대선에서 그 답을 주지 못했다는 반성과 성찰이 있었다"며 "양극화 해소를 위해선 역동적 복지가 필요하고, 그러기 위해선 진보노선으로 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정 최고위원의 이런 변화에 대해 당내에선 진보적 의제의 선점을 통해 대선 실패를 딛고 정치적 돌파구를 찾으려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많다.

한나라당 김문수 경기지사는 다른 주자들과 달리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평가를 듣고 있다. 김 지사는 지난 8월 한 보수신문에 기고한 '광화문에 이승만 대통령 동상을 세우자'란 제목의 글에서 이승만 대통령과 박정희 대통령의 업적을 칭송했다. 지난 7월엔 '이승만 박사 45주기 추도식'에 참석해 추도사를 읽었다.

그의 이런 움직임엔 그의 독특한 정치 이력이 작용하고 있다는 해석이 많다. 한나라당의 핵심 당직자는 "(과거 민중당 전력을) 탈색하기 위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당내 대선 후보가 되려면 먼저 보수진영의 확실한 인정을 받아야 한다는 계산이 작용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김 지사의 핵심 측근인 한나라당의 한 의원은 "김 지사는 출발부터 서민과 현장을 강조해왔고 단 한번도 이로부터 벗어난 적 없다"고 말했다.

안창현 송호진 성연철 기자 blue@hani.co.kr

세상을 보는 정직한 눈 <한겨레> [ 한겨레신문 구독| 한겨레21 구독]

공식 SNS 계정: 트위터 www.twitter.com/hanitweet/ 미투데이 http://me2day.net/hankyoreh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겨레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