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가기상도] TV 한글맞춤법 표기 엉망

2010. 8. 20. 06:0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장난스러운→장난스런, 러닝맨→런닝맨, 웃을게→웃을께로 표기

"침대는 가구가 아닙니다. 침대는 과학입니다." 94년 TV에 방송된 에이스 침대 광고는 화제를 모았다. 서울 강남 한 초등학교 5학년 시험 "다음중 가구가 아닌 것은"이라는 문제에서 학생 대다수가 전화 대신 침대를 선택했다. 이유를 묻자 'TV에서 침대는 가구가 아니다'며 고개를 갸웃거렸다.

최근 비슷한 일이 벌어지고 있다. 장난스런과 장난스러운, 런닝과 러닝, 웃을께와 웃을게 등등. 어법상 후자가 맞지만 TV에 관심이 많은 청소년은 전자를 올바른 표현으로 착각하기 쉽다. MBC 드라마 <장난스런 키스>, SBS 예능 프로그램 <런닝맨>, 조성모 노래 <웃을께> 등이 한글 맞춤법에 어긋난 단어를 제목으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MBC 새 수목 미니시리즈 <장난스런 키스>는 일본 만화가 원작이다. 한국판으로 소개된 만화 제목을 그대로 따왔다. ~스럽다가 붙어 형용사가 된 말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올 때 받침 ㅂ이 우로 바뀐다. 따라서 장난스런이 아닌 장난스러운이 올바른 표현이다. <장난스런 키스> 때문인지 자랑스러운 대신 자랑스런을 사용하는 청소년이 늘었다.

<장난스런 키스> 제작사 관계자는 19일 "표기법상 장난스러운이 맞다"고 인정했다. 그는 "극중 인물을 표현하는데 장난스런이란 단어가 적합하다고 판단했다. 드라마는 뉴스와 다른 창작물이라는 사실을 이해해 달라"고 말했다. 그러나 일본 만화가 수입되는 과정에서 잘못 붙여진 만화 제목 <장난스런 키스>를 그대로 사용했다는 비난마저 잠재우진 못했다.

SBS <런닝맨>도 잘못된 단어를 제목으로 사용했다. 영어 Running man 발음은 러닝맨. 외래어 표기법에 어긋난 단어를 사용한 까닭을 묻자 SBS 예능국 관계자는 "런닝맨이 잘못된 표현인 걸 알지만 강한 느낌을 주고자 러닝맨 대신 런닝맨을 프로그램 제목으로 사용했다"고 해명했다.

SBS 드라마 <커피하우스> 주제곡 <웃을께>도 맞춤법에 어긋난다. 웃을게가 올바른 표현. 브라운 아이드 소울 노래 <비켜줄께>도 마찬가지다. 가요계 관계자는 "맞춤법에 어긋나지만 고유명사 의미를 부여하고자 틀리게 쓰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밖에도 틀린 단어를 제목으로 사용한 사례는 많다. 영화 <바람 피기 좋은날>은 피기 대신 피우기, MBC 드라마 <신이라 불리운 사나이>는 불리운 대신 불린을 사용해야 맞춤법에 어긋나지 않는다고 지적하고 있다. / 스포츠한국

이상준기자 jun@sphk.co.kr

'스타화보 VM' 무료다운받기 [**8253+NATE 또는 통화]

[ⓒ 인터넷한국일보(www.hankooki.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스포츠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