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카페] 지하철에도 '뜨는 역' '지는 역'이 있다

2010. 8. 5. 18:3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특정 지역 상권이 도로 등 주변 여건의 변화로 흥망성쇠를 겪듯이 지하철에도 '뜨는 역'과 '지는 역'이 있다. 서울 지하철 1~4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메트로가 5일 공개한 '2010년 상반기 수송인원 현황'을 보면 주변 여건 변화에 따라 엇갈리는 지하철역들의 희비(?)를 엿볼 수 있다.올 상반기 지하철 1~4호선 이용객은 7억3638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7억2607만명에 비해 1.4%(1030만명) 증가했다. 승객 증가의 '일등 공신'은 3호선이었다. 지난 2월 가락시장,경찰병원,오금 등 3개 역이 연장 개통돼 지하철 5 · 8호선,분당선과 환승이 용이해지면서 노선 전체 이용객이 작년보다 853만명(6.7%) 늘었다. 손님이 하루 5만3000명 많아진 셈이다.4호선은 관광객 증가 효과로 노선 이용객이 하루 2만명가량 늘었다. 특히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가까운 이촌역(12.4%)과 전통적인 관광 명소인 명동(5%),동대문(3.7%),회현(2.5%)역이 증가세를 보였다.2호선 신도림역과 구로디지털단지역은 주변에 업무단지가 속속 들어서며 수송 인원이 각각 4.4%,3.9%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하지만 1호선 종각역과 종로3가역은 인근 피맛골이 완전 철거되면서 이용객이 각각 3.3%,5.1% 줄었다. 지하철과 버스를 환승하는 시민이 많았던 1호선 청량리역 역시 지난해 말 중앙선(국수~용문)이 새로 뚫린 뒤 승객이 6.5%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또 '황금노선'으로 불리는 9호선이 강남 지역 출퇴근 인구를 대거 흡수하면서 9호선과 연결된 환승역의 손님이 크게 줄었다. 2호선 당산역은 지난해 상반기 972만명이 이용했지만 올해는 34.1% 급락한 640만명에 그쳤다.4호선 동작역 승객도 102만명에서 75만명으로 25.9% 감소했다. 2호선 강남역도 지난해 7월 9호선 개통과 광역버스 등 대체 교통 수단이 대폭 개선되면서 이용객이 1% 줄었다.올해 이용객이 가장 많았던 날은 서울에 25.8㎝ 폭설이 쏟아졌던 지난 1월4일이었다. 지금까지 크리스마스 이브(12월24일)가 늘 승객 수 1위를 차지했던 것과 비교하면 이례적이다. 도로 교통이 마비됐던 이날 1~4호선에 516만명이 몰려 역대 최고 기록을 갈아치웠다. 승객이 가장 적었던 날은 설날인 2월14일로 평균치의 35.7%에 불과한 145만명이 이용했다.임현우 기자 tardis@hankyung.com▶ 부동산 펀드도 '꽁꽁' ▶ 7월 전국 주택매매 가격 16개월 만에 하락 반전 ▶ 7월 분양 5718채…6월의 21% 불과 ▶ 신영證 "부동산시장 내년부터 점차 회복" ▶ 직장인 79%,"집값 하락 좋아!"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