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배 빠른 급행.. 역장·매표소도 없애

2010. 7. 22. 03:3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서울 지하철 9호선에는 '무숙직 제도' 외에도 특별한 운영 방식이 많다. 최재숙 사장은 "서울메트로 등 처음에는 경계했던 다른 철도 운영사에서도 빠른 속도와 고객안전원 운영 등 9호선의 운영 방식에 대해 물어보며 관심을 보인다."고 말했다.

●급행열차와 멀티플레이어 직원

급행열차는 9호선 이용 승객을 단기간에 크게 늘리는데 견인차 역할을 했다. 9호선은 설계 당시부터 급행을 염두에 두고 기본선로 외에 곳곳에 대피선로를 설치했다. 김포공항~신논현 구간의 경우 급행은 30분, 일반은 53분이 걸린다. 서울지하철 1호선이나 인천공항철도가 급행과 일반 열차의 시간차가 거의 나지 않아 이용객의 호응을 얻지 못한 것과 근본적으로 다르다.

9호선은 한 명의 직원이 여러 명의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기존 지하철역에는 매표, 신호조작,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직원이 각각 따로 있지만, 9호선은 고객안전원 한 사람이 모든 업무를 맡는다. 이는 고객안전원의 절반 이상이 전직 기관사나 전기통신기기 관련 자격증을 갖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역무실 없는 역… 현장에 집중

9호선 지하철역에는 역무실과 매표소가 없다. 대신 자동발매기와 안이 훤히 들여다 보이는 안전관리실만 있다. 안전관리실에는 책상과 서류를 없애고 역의 구석구석을 볼 수 있는 폐쇄회로(CC)TV 관리 화면을 설치했다. 역장도 없다. 5개역을 하나로 묶어 3명의 그룹장이 시간대별로 역을 관리한다. 그룹장은 행정업무와 교육을 담당하지만 러시아워에는 매표소에서 안내도 한다.

●무노조·전 직원 연봉제

9호선은 노조가 없는 대신 분기별로 노사협의회를 개최한다. 노측 대표에는 노조위원장 대신 사원들이 직접 뽑은 대표가 나서서 사장·임원진들과 직원 복지 등에 대해 직접 논의한다. 또 전 직원 연봉제를 도입해 성과에 따라 인센티브를 지급하고 있다.

윤설영기자 snow0@seoul.co.kr

[서울신문 다른기사 보러가기] ☞ '癌' 직업병 범위 넓힌다☞ 한밤중 아파도 약국걱정 마세요☞ 강용석 성희롱 파문 확산…"나경원 키 작아 볼품 없어"☞ 'LEET' 법학적성시험 한달 앞으로… 대비 이렇게☞ 1조원대 '스마트폰 펀드' 나온다☞ 흉악범 DNA 영구보관☞ "교장이 일제고사 1등 상금 100만원 내걸어"☞ 女약사 살해 용의자 팔에 문신 20·30대男☞ 김현희, 日납북자가족에 식사대접…"다구치外 다른 일본인 봤다 말해"☞ DTI 결론 못내… 부동산대책 연기☞ 美, 北 통치자금 봉쇄… "비핵화 행동없인 대화없다"☞ '한·미 연합훈련 아이콘' 항모 조지 워싱턴호 타보니☞ 日, 약탈문화재 반환설 부인

'맛있는 정보! 신선한 뉴스!' 서울신문( www.seoul.co.kr)[ ☞ 서울신문 구독신청] [ ☞ 서울신문 뉴스, 이제 아이폰에서 보세요]-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