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T논평] Torturing statistics for government gelt

2010. 6. 11. 18:00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Philip Stevens (fellow at International Policy Network)

When statistics are abused, people suffer. Just ask the millions of Greeks facing pay cuts as a result of their government lying about the true state of their economy in order to join the euro 10 years ago.

When governments collect and control the release of data, it is all too easy for them to be both judge and jury of their own policies. It is no surprise, then, that official statistics are routinely and disingenuously used by governments to promote political agendas that are at odds with inconvenient reality.

As a major collector of data, the United Nations is also guilty of some fairly serious statistical shenanigans of its own.

In recent years, the U.N. has been caught exaggerating the rate at which tropical rain forests are being cut down, overstating the connection between meat production and greenhouse gases, downplaying improvements in maternal mortality, and padding child vaccination figures for poor countries. But two examples in particular stick in the craw.

First up is the AIDS pandemic. The U.N.'s specialized AIDS agency, UNAIDS, up until 2007, darkly intoned it was only a matter of time before the disease swept the world like a modern bubonic plague unless it got significant injections of public money.

But outside experts called UNAIDS's bluff, and pointed out that its statistics were alarmist. The organization was forced into a major about-face, significantly reducing its global AIDS estimates (in some countries by more than half) and toning down its apocalyptic rhetoric.

A huge industry of highly paid campaigners owe their jobs to UNAIDS's success at keeping AIDS at the top of the political agenda. A message of "things aren't quite as worrying as we first thought" is not going to keep the cash rolling in. There is therefore a huge conflict of interest in UNAIDS being both advocate and guardian of the data.

There are also big conflicts of interest in climate change. In recent years, the International Panel on Climate Change, the U.N. body that collates and interprets the scientific data, has been accused of painting an alarming picture, over-egging some data and underplaying others. Contrary to IPCC claims, independent experts have convincingly pointed out that Himalayan glaciers will not disappear within 30 years,

That the IPCC has been prone to exaggeration must partly be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it owes its very existence to the idea of climate change being dangerous. Its overriding incentive is therefore to paint as apocalyptic a picture as possible, in order to keep its cause at the top of the agenda.

통계 남용과 국민의 고통필립 스티븐스(英 국제정책 네트웍 연구원)

통계를 남용하면 국민이 고통을 받는다. 정부가 10년 전 유로통화권에 가입하기 위해 자국의 진정한 경제 상태에 관해 거짓말을 한 결과 임금 삭감에 직면한 수백만 명의 그리스인들에게 물어보라.

여러 나라 정부가 자료를 수집하고 발표를 통제할 때 정부가 자기네 정책의 재판관 및 배심원 노릇을 모두 하기가 아주 쉽다. 그러므로 불편한 현실과 어긋나는 각종 정책 목표를 장려하기 위해 정부가 공식 통계를 다반사로 부정하게 사용하는 것은 놀라운 일이 못 된다.

자료의 주요 수집자인 유엔 역시 그 나름대로 몇 가지 다소 심각한 속임수를 저지른 죄가 있다.

지난 몇 해 동안 유엔은 열대우림이 벌목되는 속도를 과장하고 육류 생산과 온실가스의 관계를 부풀리고 산모 사망률의 개선을 과소평가하고 빈곤국들의 아동 백신 접종 통계를 허위작성하다 들통이 났다. 그러나 두 가지 사례가 특히 화를 돋운다.

첫 번째는 에이즈의 대유행 예상이다. 유엔의 에이즈 전문기구인 유엔에이즈는 상당한 규모의 공공자금을 투입하지 않을 경우 에이즈가 전 세계에 창궐하는 것은 시간문제라는 무시무시한 주장을 2007년까지 되풀이했다. 에이즈를 현대판 서혜 임파선종 페스트라는 비유까지 했다.

그러나 외부의 전문가들은 유엔에이즈의 주장이 과장이라고 반박하고 유엔 측 통계가 불필요한 공포를 조장한다고 지적했다. 유엔에이즈는 어쩔 수 없이 태도를 180도 바꾸어 세계 에이즈 추정치를 현저히 줄이고 말세론적인 어조를 누그러뜨렸다. 일부 국가들의 경우는 추정치를 절반 이상 낮추었다.

높은 급료를 받는 거대 산업을 이룬 에이즈 퇴치 운동가들의 일자리는, 유엔에이즈가 에이즈를 정치적 목표의 꼭대기에 성공적으로 유지하는데 달려 있다. "우리가 처음에 생각했던 것처럼 사태가 걱정스러운 것은 아니다"란 메시지는 현찰이 계속 굴러들어 오도록 만들지 않는다. 그러므로 유엔에이즈가 자료의 지지자 겸 보호자의 역할을 동시에 하는 것은 엄청난 이해충돌을 초래한다.

기후변화에도 커다란 이해충돌이 개재돼 있다. 지난 몇 년 동안,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한 유엔 기구인 국제기후변화위원회는 공포를 조장하는 전망을 날조했다는 비난을 받았다. 즉 일부 자료를 지나치게 수정하고 다른 자료는 강조했다. 이 위원회 주장과 반대로, 중립적인 전문가들은 히말라야의 빙하가 30년 안에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을 설득력 있게 폈다.

유엔 기후변화위원회의 과장하는 경향은, 기후변화가 위험하다는 발상에 이 위원회의 생존이 걸려 있다는 사실에 부분적으로 기인한 것이 분명하다. 위원회에게 주어진 가장 중요한 인센티브는 따라서 자기네 명분을 정책 목표의 꼭대기에 유지하기 위해서 말세론적인 전망을 날조하는 것이다.

역주=오성환 외신전문위원

suhwo@segye.com

해설판 in.segye.com/english 참조

▲maternal mortality:산모 사망률

▲in a person's gizzard[or craw, crop]:(행위 따위가) 남을 화나게 하다, 남의 마음에 들지 않다. (음식물이) 비위에 맞지 않다, 소화되지 않다

▲advocate:지지자, 옹호자

▲conflict of interest:이해충돌

[Segye.com 인기뉴스]

◆ 백지영-유리, 포샵이 필요없는 비키니 몸매 공개◆ '열애설' 비, 트위터 글 삭제…'인증샷' 대신 '침묵'◆ 브라질 골키퍼 부인 vs 北 응원녀 '미모 대결'◆ 12년만에 파산위기→아시아 1위 껑충 비결은◆ 박주미 "죄송"-오연수 "잊어" 대타논란 일단락◆ 김수철, 10대 여친 소개하며 "임신했다" 자랑◆ 합참의장 '음주' 파문… '문서조작' 들통 망신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공짜로 연극ㆍ뮤지컬보기] [무릎관절염 무료수술] <세계닷컴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