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 산 건설사들 "바가지 썼다" 반발
"세종시 내에서도 역차별이 일어나고 있습니다."세종시 시범생활권 공동주택용지를 분양받은 대형 건설사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으로 인해 발생하는 '땅값' 역차별 때문이다. 일부 건설사는 "사업포기는 물론이고 소송까지 불사하겠다"고 밝혔다. 20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건설업계에 따르면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LH, 그리고 공동주택용지를 분양받은 10개 대형건설사 관계자들이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과 관련, 땅값 문제 등을 논의하기 위해 21일 오후 서울에서 간담회를 연다.
세종시 시범생활권 공동주택용지는 당초 행정부처 이전을 전제로 행정중심 복합도시 내에 건설될 예정이었던 아파트 부지. 2007년 이 공동주택용지를 분양받은 건설사는 롯데, 포스코, 대우, 효성, 금호, 현대, 삼성물산, 쌍용, 대림, 극동, 두산, 풍성 등 모두 12개 건설사다. 건설사들은 당초 행정부처 이전을 전제로 이 땅을 매입했다.
하지만 세종시 건설이 지지부진, 사업성 악화가 예상됨에 따라 지난 1년 동안 땅값 중도금 납부를 계속 미뤄와 LH 측과 갈등을 빚었다. 이 과정에서 쌍용건설과 풍성주택 등 2개사는 계약이 해지됐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 11일 정부가 수정안을 발표하면서 삼성, 한화 등의 기업에 원형지 땅을 3.3㎡당 36만~40만원에 공급하기로 하자, 건설사들의 불만이 폭발한 것이다. 건설사들은 "세종시의 조성비용 38만원을 더해도 공급가격은 74만~78만원에 불과해 기존 건설사들과는 큰 차이가 난다"고 주장했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2007년 분양가는 3.3㎡(1평)당 평균 282만원으로 수정안 가격과는 무려 6~7배 이상의 차이가 난다"며 "당시 국책사업에 적극 참여한 건설사들에게 일방적인 희생을 요구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또 다른 건설사 관계자는 "수정안으로 인해 분양성이 떨어지고 땅값도 비싼 상황에서 정부의 적극적인 대안이 마련되지 않으면 사업포기는 물론 손해배상소송도 불사할 수밖에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LH 한 관계자는 "21일 간담회에서 건설사들의 요구사항을 최대한 들어본 다음 대책을 강구하겠지만 또 다른 차별논란이 제기될 수 있어 이마저도 쉽지 않은 상태"라고 말했다.
< 정혁수·박재현 기자 overall@kyunghyang.com >- 대한민국 희망언론! 경향신문, 구독신청(http://smile.khan.co.kr)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경향닷컴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힘으로 밀어붙이는 與 주류 '당론 변경'
- 뒤로 빠진 MB '여론 눈치'
- 총대 멘 정 총리 민심 달래기
- 대학가 탄핵 찬반 대자보의 자리싸움 [현장 화보]
- 이재명 “국힘, 100일 내 윤석열 부인 장담…광주서 계엄옹호, 사람인가?”
- 세뇌 당한 잘생김+현실적인 매너…‘나완비’ 이준혁이 이룬 ‘은호 신드롬’
- 비선 기획자? 망상가?···‘노상원 수첩’은 계엄과 얼마나 관련있나
- 김용현·문상호 등 내란 피고인들, ‘윤석열 방어권’ 의결한 인권위에 긴급구제 신청
- 다시, 김건희···이 모두가 우연인가 [김민아의 훅hook]
- “돈 안 줘서” 부모 소유 상가에 불 지른 ‘30대 무직’ 자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