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수정안] 입주기업 투자 어떻게
[서울신문] 세종시 조성계획안이 처음 '행정도시'에서 '기업도시'로 바뀌면서 삼성과 한화, 롯데, 웅진 등이 총 4조 5000억원의 투자안을 내놓았다. 정부가 제시한 유치 인센티브가 상당히 후한 편이어서 다른 국내외 기업들의 추가 신청도 뒤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 삼성, 그린에너지·첨단 의료기기 주력… 2조 500억
11일 삼성이 밝힌 세종시 투자 규모는 모두 2조 500억원. 이는 세종시에 유치된 국내외 5개 기업이 계획한 총 투자액 4조 5000억원의 절반 정도다. 삼성전자와 삼성SDI, 삼성LED, 삼성전기 등 주력 전자계열사와 삼성SDS를 비롯한 5개 계열사가 165만㎡(50만평) 터에 둥지를 틀고 그린에너지와 헬스케어 분야에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한 고용창출 효과는 1만 5800명에 이를 전망이다.
이번 투자의 특성은 계열사별로 연구하던 과제를 세종시 안에 한데 모아 집중적으로 육성한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세종시 삼성 단지는 경기 기흥·수원(반도체)이나 충남 탕정(LCD), 경북 구미(휴대전화) 등에 버금가는 성장동력기지로 탈바꿈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 신사업추진단장인 김순택 부회장은 "반도체와 액정표시장치(LCD), 무선통신 이후 신성장동력이 될 신수종(新樹種) 사업으로 그린에너지와 헬스케어를 선정했다."면서 "신사업은 사업 간에 연구개발과 생산 등을 연계 추진해야 하기 때문에 단일 부지에 위치해야 하고 규모는 50만평에서 100만평이 돼야 한다는 조건을 고려한 결과, 세종시가 투자 타당성이 충분하다고 결론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그린에너지는 차세대 전지와 발광다이오드(LED) 조명 사업 등이다. 투자액은 1조 1200억원, 고용 규모는 1만 100명 정도로 예상된다. 앞으로 대덕연구단지 연구기관, 삼성SDI 천안공장 등과 연계된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LED 조명 사업을 위해서는 삼성LED가 연간 생산능력 1억대 규모의 조명엔진 생산기지를 만든다. 삼성전자 헬스케어 부문에는 첨단의료기기 등 생산을 위해 3300억원이 투자되고 고용은 1000명 선이다. 인근 오송, 대덕단지와 연결되면 '글로벌 클러스터'로 발전할 가능성도 상당하다.
최지성 삼성전자 대표이사 사장도 "건강·환경·라이프케어 등이 기존 인포테인먼트 사업과 함께 10년 후 삼성전자의 양대 축이 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아울러 1500억원을 투자해 세종시에 데이터센터 및 콘택트센터를 설립해 4000명의 고용을 창출하고, 충남 연기군 삼성전기 공장에 4500억원의 고부가 패키지용 기판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다만 처음 투자 가능성이 거론됐던 바이오시밀러와 LCD 부문 등은 대상에서 제외됐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서울신문 다른기사 보러가기] ☞ 암투병 최인호씨 소설 '가족' 35년 연재 중단☞ [세종시 수정안] 기업 투자 이행 안하면? "땅환수 등 법적담보장치 마련"☞ [SBS챔피언십] 양용은 "톱10은 다음주에…"☞ 교황 바오로2세 저격범 18일 출옥 출판·영화 러브콜 쏟아져☞ 입체영상 안방점령 머지않았다☞ 해외 팝 아티스트 내한공연 봇물 왜?☞ 각국 출구전략에 중앙銀 독립성 '흔들'☞ 서울 휘발유값 고공행진☞ 방과후학교의 힘
'맛있는 정보! 신선한 뉴스!' 서울신문( www.seoul.co.kr)[ ☞ 서울신문 구독신청] [ ☞ 서울신문 뉴스, 이제 아이폰에서 보세요]-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세종시 수정안] 웅진, 20만평에 9000억 에너지·코웨이 등 이전
- [세종시 수정안] 한화, 10년간 1조 3000억 에너지·방산 등 집중 육성
- [세종시 수정안] 외국기업 1호 태양광모듈 제조 SSF
- [세종시 수정안] 롯데, 식품바이오硏 설립 4개분야 걸쳐 1000억원
- [세종시 수정안] 입주 대학은
- “의원 배지 떨어진 설움” 민경욱 국회왔다 새차 견인당해
- 아파트 방화살인범 안인득, 무기징역 감형 불복 대법원 상고
- 목줄 없이 달려든 개에 놀라 전치 3주…견주 벌금 50만원
- “박사방 22GB 싸요 싸”… 아직도 조주빈은 있다
- “양질의 일자리 부족 가장 큰 원인… 직무능력으로 임금 받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