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그리운 선생님/육철수 논설위원

2009. 11. 6. 03:4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고교시절 A 선생님. 수업 시작 종이 울리자마자 교실에 입장하고 마침 종이 울려도 강의를 계속하기 일쑤였다. 노는 시간 10분동안 할 일이 얼마나 많은데…. 열정은 이해하나 인기는 '꽝'이었다.

B 선생님. '(수업)시작할 땐 춘향이 걸음, 마칠 땐 홍길동 걸음'이 신조였다. 수업시간 앞뒤로 10분쯤은 우습게 뚝 잘라 먹었다. 우리는 시간이 아까워 강의 30분 동안 집중했고, 그를 좋아했다. C 선생님. 반장에게 그날 가르칠 부분을 칠판 한가득 판서시키고 설명은 아예 없었다. 언제나 각자 알아서 읽어보든 말든 식이었다. 대신 수업시간의 절반은 몸소 영화배우가 됐다. 키 185㎝, 몸무게 105㎏의 우람한 체격에 교단을 무대삼아 읊어대는 영화 '벤허'의 명대사…. 지금도 귀에 쟁쟁하다. 그는 이 영화를 27차례나 보았고, 우리는 그를 무척 따랐다.

지금 같으면 A 선생님 빼고는 '모가지 감' 선생님들. 그래도 지겨운 수업시간에 청량제가 되어주신 분들이다. 30년이 훌쩍 넘어 흘렀지만 그리움은 가슴에 늘 남아 있다.

육철수 논설위원 ycs@seoul.co.kr [서울신문 다른기사 보러가기]

☞ 日 교장·교감·주임 179명 "평교사 희망"☞ '하프코리안' LG 문태영 한국 적응기☞ 한정식이 Han Fixed Meal? 엉터리표기 퇴출☞ 영화 '집행자' 주연 윤계상 "사형 집행신 악몽 같았다"☞ '반지하에서 꿈을 이뤘습니다'☞ [신종플루 초비상] 하루 500명씩 접종? 뿔난 공중보건의☞ 수능일 한파없다☞ 항성 자전방향과 반대로 공전 역행 혹성 발견☞ 무안공항 개항 2년 휘청이는 無人공항☞ 컵라면 4만여개 한라산 등반 '지상最高 수송작전'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