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래어] 파고다 / 김선철

2009. 11. 3. 18:3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겨레] 지난 2008년 2월 온 국민과 우리 문화를 아끼는 외국인들이 안타깝게 지켜보던 가운데 불에 스러진 숭례문은 우리나라 국보 제1호였다. 국보 제2호는 원각사지십층석탑이다. 이 크고 화려한 탑은 지금 서울 종로2가에 있는 탑골공원에 있다. 탑골공원은 흔히 탑동공원 또는 파고다공원이라고도 이른다. 여기에 원각사지십층석탑이 있는 이유는 이곳에 원래 고려시대의 흥복사가, 그리고 조선 세조 때 세워진 원각사라는 절이 있었기 때문이다. 나중에 연산군이 이 절을 없앴고 그 빈터에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공원이 들어섰는데, 그때가 1897년이다. 이 공원은 '파고다공원'이라고 불렸는데, 1919년에는 민족대표 33명이 팔각정에서 독립선언서를 낭독함으로써 3·1 운동이 비롯되었고, 1992년에 옛 지명을 좇아 정식 명칭을 탑골공원이라 정하였다.

'파고다'(pagoda)를 국어사전에서 찾아보면 불교에서 만든 탑, 즉 불탑(佛塔)을 뜻함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 말의 어원이 확실치 않다. 미얀마말이라는 설이 있는가 하면, 포르투갈말 '파고드'(pagode)에서 유래한 것이라는 설도 있다. '파고드'는 페르시아말 '부트카다'(butkadah: 신이 사는 곳), 또는 산스크리트말 '바가바트'(bhagavat: 신성한, 존엄한) 내지 그 바뀐 꼴인 '바가바티'(bhagavati)가 포르투갈말로 들어오면서 변하였거나 잘못 받아 적힌 것으로 생각된다고 하여 정설이 없는 형편이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관세상을 보는 정직한 눈 < 한겨레 > [ 한겨레신문 구독| 한겨레21 구독]ⓒ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겨레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