쓸만한 우분투 멀티미디어 애플만 모았다

2009. 9. 11. 17:1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쇼핑저널 버즈] 한때 멀티미디어 PC라는 게 있었다. 비디오 CD도 볼 수 있고 음악도 들을 수 있어 생긴 용어다.

요즘은 이 말을 잘 쓰지 않는다. 모든 PC가 멀티미디어 전문가니 굳이 이런 민망한 수식어를 붙일 필요가 없는 것이다. 이 점에서 우분투는 조금 부족한 편이다.

다행히 최근 음악과 동영상을 자유롭게 다루는 프로그램이 많아졌다. 우분투에서 쓸 만한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을 골라봤다.■ 음악 CD 재생하기음악 CD를 광학 드라이브에 넣으면 윈도의 미디어 재생 프로그램이 자동 실행되어 음악을 들을 수 있다. 리눅스도 마찬가지다. 음악 재생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실행된다.

우분투가 설치된 PC에 CD를 넣으면 [리듬박스 음악연주기]로 음악을 듣을지 묻는 창이 뜬다. 바로 재생하거나 하드디스크에 복사할 수 있다. 다른 프로그램으로 CD를 다룰 수도 있다.

프로그램 선택. 리듬박스로 열면 음악 CD의 제목이 나타난다. 이 제목을 고르면CD에 담긴 트랙의 음악 리스트가 화면에 나타난다. [연주]를 눌러 처음부터 듣거나 트랙을 골라서 들을 수도 있다.

메뉴의 위치 → 홈 폴더를 누르면 파일 관리자가 실행된다. 여기에서 음악 CD를 고르면 음악 CD에 수록된 노래가 파일 목록으로 표시된다. 듣고 싶은 파일을 선택해 '토템(Totem) 플레이어'로 재생할 수 있다.■ 음악 CD를 파일로 저장하기음악을 좋아한다면 음악 CD를 여러 장 가지고 있을 것이다. 음악 재생 프로그램에는 음악 CD를 음악 파일로 저장하는 기능이 담겨 있다.

음악 파일로 저장하기 전에 먼저 옵션을 설정한다. 리듬 박스의 [기본 설정]에서 [음악] 탭을 고른다.

[라이브러리 위치]는 음악 파일로 가져올 때 저장되는 디렉토리다. [라이브러리 구조] 는 음악 파일의 디렉토리, 이름, 포맷을 정한다. 폴더 계층을 '음악가 - 앨범제목'으로 지정하면 자동으로 '음악가 이름 - 앨범제목'으로 폴더를 만든다.

파일 이름은 '트랙번호 - 제목'으로 지정한다. [기본 형식]은 음악 파일 포맷을 정한다. 리듬 박스는 m4a, flac, ogg, mp2, mp3, wav, spx 등의 포맷으로 저장한다.

광학 드라이브에 음악 CD를 넣고 [리듬박스]로 듣기를 고른다. 리듬박스에 음악 CD 앨범을 선택하고 위쪽의 [Extract] 아이콘을 고르면 기본 옵션으로 설정한 대로 디렉토리를 만들고 음악 파일을 1번 트랙부터 저장한다. 작업이 끝나면 음악 디렉토리 속에 음악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음악] 탭에서 음악 파일 저장할 때 이용할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음악 CD를 넣으면 목록이 표시된다. [Extract] 아이콘을 누르면 1번 트랙부터 파일로 저장한다.■ 녹화 방송을 듣자팟캐스트는 녹음된 방송으로 인터넷에서 내려 받아 PC나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들을 수 있는 서비스다.

요즘은 팟캐스트를 제공하는 블로그도 많다. 팟캐스트는 무료로 내려 받을 수 있다. 팟캐스트는 리듬박스를 이용해서 내려 받는다. 리듬박스 창 왼쪽의 라이브러리에 [팟캐스트(Podcasts)]를 고르면 팟캐스트 피드 리스트와 피드의 에피소드 리스트가 뜬다.

여기서 에피소드를 선택하면 들을 수 있다. 팟캐스트를 이용하면 여러 가지 방송을 들을 수 있다. 학생은 어학에 관련된 팟캐스트가 도움이 된다. 유명 대학들의 강의도 있다.

리듬박스 외에 팟캐스트를 다룰 수 있는 것으로는 gPodder와 펭귄(Penguin)TV 등이다.

팟캐스트에 내려 받은 방송은 PC에 저장되어 언제나 들을 수 있다.■ 인터넷으로 라디오를 듣자팟캐스트가 녹음된 방송을 파일로 내려 받아 듣는 녹음 방송이라면 인터넷 라디오는 생방송이다. 리듬박스를 이용하면 인터넷 라디오도 들을 수 있다.

리듬박스 왼쪽의 라이브러리에서 라디오를 선택하면 리듬박스로 들을 수 있는 인터넷 라디오 방송 리스트가 나타난다. 여기에서 듣고 싶은 방송을 선택하면 바로 들을 수 있다.

인터넷 방송 목록이 뜨면 골라 들을 수 있다.■ 음악 파일로 음악 CD 만들기우분투에서도 음악 파일을 음악 CD로 만들어 보관하거나 선물할 수도 있다. 음악 CD는 우분투에 기본적으로 포함된 '브라세로 디스크 버닝' 프로그램을 이용한다.

이 프로그램은 네로 버닝롬처럼 데이터, 오디오, 음악 CD, 복사 등을 하는 종합 리코딩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 메뉴 → 음악과 비디오 → 브라세로 디스크 굽기를 선택한다.

첫 화면에서 [오디오 프로젝트]를 눌러 연다. +(추가) 아이콘을 누르면 [파일 선택] 창이 뜬다. 여기서 음악 CD에 포함할 음악 파일을 선택한다. 추가한 파일은 - 아이콘을 눌러 제거하거나 [쪼개기] 아이콘을 눌러 여러 개의 트랙으로 분리할 수도 있다.

아래의 [굽기]를 누르면 리코딩 장치를 선택하고 준비 작업을 거쳐서 굽기 시작한다. 브라세로 디스크 버닝에는 CD 케이스용 표지를 편집하는 편집기도 포함되어 있다. 이를 이용해 CD에 구운 음악의 트랙 정보와 이미지를 넣어 표지를 만들고 텍스트를 넣을 수 있다.

브라세로 디스크 버닝을 실행한 다음 [오디오 프로젝트]를 고른다.

음악 CD로 구울 음악 파일을 선택하고 + 아이콘을 눌러 추가한다.

[굽기]를 누르면 리코딩 장치와 공 CD를 선택하면 굽기 시작한다.

CD 케이스에 장식할 표지를 직접 편집할 수 있다.■ 우분투에 MP3 플레이어 연결하기우분투는 애플 아이팟을 포함해 USB로 연결하는 MP3 플레이어를 알아챈다. USB로 연결한 다음 리듬박스에서 음악 파일을 MP3 플레이어에 복사하거나 MP3 플레이어의 내용을 PC로 옮길 수 있다.

요즘 MP3 플레이어는 사진이나 동영상도 재생하는데 이런 장치는 리듬박스가 아니라 '밴시'를 이용한다. 아이팟 이용자는 GPixPod과 gtkpod을 이용한다.

MP3 플레이어가 자동 연결이 되지 않으면 MTP(Media Trasnfer Protocol, 미디어 프랜스퍼 프로토콜)를 이용하는 장치다. 기본 드라이버가 아니라서 [시냅틱 패키지 관리자]에서 mtpfs와 mpt-tools을 찾아 설치해야 한다. 리듬박스 플레이어를 실행한 다음 플러그인에서 [휴대용 연주기 - MTP] 를 체크하면 MP3 플레이어가 연결된다.

플러그인에 설정에서 [휴대용 연주기 - MTP]를 체크한다.■ 음악 파일 포맷 변환하기리듬박스에서 음악 CD를 추출해 저장할 때 ogg 확장자를 쓰는 오그 보비스(Ogg Vorbis) 포맷을 이용한다. MP3 플레이어나 다른 음악 재생기는 오그 형식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아이팟은 오그 파일을 재생하지 못한다. 따라서 음악 파일의 포맷을 다른 것으로 변환할 수 있어야 한다.

가장 기본적인 mp3 포맷으로 변환해 보자. 음악 파일의 포맷을 변환하는 프로그램은 사운드 컨버터(Sound Converter)다. 터미널을 열고 다음 명령어를 입력해 설치한다.

변환을 하려면 [Edit] 메뉴에서 기본 설정을 선택하고 옵션 창의 [포맷(Format)] 에서 [mp3]를 고른다. + 아이콘을 눌러 변환할 음악 파일을 추가한다. 파일뿐 아니라 디렉토리를 추가할 수도 있다. [변환] 을 누르면 포맷 변경을 시작한다.

옵션 설정을 하고 음악 파일을 변환한다.■ 내 목소리를 녹음하자마이크 또는 다른 녹음 장치를 가지고 있다면 손쉽게 소리를 녹음할 수 있다. 가장 간단한 녹음 소프트웨어는 그놈-사운드-리코더(gnome-sound-recoder)다. 를 눌러 나타나는 프로그램 실행 창에 그놈-사운드-리코더를 입력하고 실행 버튼을 누르면 녹음기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단순한 기능이 아닌 복잡한 기능의 녹음 기능이 필요하다면 조코셔(Jokosher) 또는 어데서티(Audacity)를 사용할 수 있다.

기능이 단순하고 덩치도 작아 간단한 녹음을 할 수 있다.

우분투에서 쓸 수 있는 음악 플레이어여기서는 리듬박스로 음악을 즐기는 법을 소개했지만 우분투에는 리듬박스 외에도 아마록, 밴시, 송버드 등 여러 가지 음악 플레이어가 있다. 이것저것 모두 써보고 자신에게 맞는 프로그램을 선택해서 쓰자.

우분투 인터페이스와 비슷한 아마록.

음악 CD에서 음악을 추출할 때 많이 쓰는 밴시.

■ 우분투에서 DVD를 즐기자DVD를 보려면 우분투에 몇 가지 프로그램을 깔아야 한다. 지역마다 소프트웨어 배포가 법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어 기본 프로그램에 포함시키지 않은 탓이다. DVD 재생에 필요한 패키지는 ibdvdnav4, libdvdread4, gstreamer0.10-plugins-bad 등이다. 터미널을 열고 다음 명령어를 차례대로 입력한다. 우부툰의 루트 암호를 입력하면 libdvdcss2 패키지가 설치된다. 패키지 설치가 끝나고 DVD 타이틀을 넣으면 자동으로 DVD가 재생된다.

sudo apt-get install libdvdnav4 libdvdread4 gstreamer0.10-plugins-bad gstreamer0.10-plugins-ugly

sudo /usr/share/doc/libdvdread4/install-css.sh■ 우분투에서 동영상 재생하기플래시, 퀵타임, 윈도 미디어 비디오 등을 재생할 때 필요한 코덱은 라이선스 문제가 있어 우분투에 포함되지 않는다. 때문에 DVD 재생처럼 코덱 패키지를 따로 설치해야 한다. 설치할 패키지는 우분투-레스트릭티드-엑스트라(ubuntu-restricted-extras)다. 터미널을 열고 다음 명령어를 입력한다.

sudo apt-get install ubuntu-restricted-extras퀵타임, 윈도우즈미디어 등 지원하지 않는 비디오 파일을 플레이하려고 하면 적당한 코덱을 찾기 위한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서치(Search)를 선택하면 멀티미디어 코덱을 설치하는 창이 나타나고 표시된 코덱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인스톨(install)을 선택한다. 제한된 소프트웨어 설치를 확인하는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비디오 파일을 시청하기 위한 코덱은 알아두어야 할 법적인 제한 사항을 가지고 있다. 제한 사항이 자신에 해당되지 않는다면 확인 버튼을 눌러 설치를 계속한다. 설치가 끝나면 비디오 파일 재생을 시작한다.

재생이 되지 않으면 비디오 파일을 닫고 다시 열어 보자. 동영상은 '토템 무비플레이어'나 '엠플레이어', VLC 등으로 재생할 수 있다.

토템 무비플레이어토템은 우분투에 기본으로 포함된 동영상 플레이어다. 한글 자막 파일(smi)을 지원하려면 기본 설정에서 [자막의 인코딩]을 [EUC-KR] 로 설정한다. 폰트 크기가 화면에 맞춰 자동 조절되지 않는 것이 흠이다. 화면이 작거나 크거나 항상 같은 크기로 표시된다.

동영상 재생 화면.

토템 무비 플레이어의 기본 설정 화면.

엠플레이어엠플레이어는 토템 무비플레이어와 달리 자막 크기 자동 조절 기능이 있고 프로그램이 가볍고 동영상 재생도 매끄럽다. 때문에 토템 무비플레이어보다 많이 쓰이는 편이다.

엠플레이어도 한글 자막을 보려면 기본 설정을 바꿔야 한다. 옵션의 [서브타이틀(Subtitle) & OSD] 탭에서 [인코딩(Encoding)] 을 [Korean Charset(CP949)]으로 고르고 [유니코드 서브타이틀(Unicode subtitle)] 를 체크한다. [폰트(Font)] 탭의 [인고딩] 은 [유니코드]로 한다.

엠플레이어 재생 화면.

엠플레이어 기본 설정의 [Subtitle & OSD] 탭과 [Font] 탭을 수정한다.

VLCVLC는 동영상 파일, DVD 등은 물론 네트워크로 연결된 스트리밍 동영상까지 재생한다. 캡처 장치(TV 수신카드, 웹캠 등)의 화면도 볼 수 있는 만능 동영상 플레이어다. VLC도 한글 자막 설정이 필요하다. [도구] 메뉴의 [기본 설정] 을 골라 [서브타이틀 & OSD] 아이콘을 누른 다음 [디폴트 인코딩(Default Encoding)] 을 [EUC-KR]로 선택한다.

VLC 동영상 재생 화면

VLC의 자막 옵션 설정.

■ 영상 녹화와 편집하기우분투에서 Avidemux, Kino, Cinelerra 등을 이용해 영상을 캡처하고 편집할 수 있다. Avidemux는 여러 개의 동영상을 합치거나 하나의 동영상을 여러 개로 잘라낸다. 또 오디오 삽입, 추출 등 기본적인 편집 능력도 갖추고 있다.

동영상 포맷 변환도 가능하다. Kino도 Avidemux와 비슷한 편집 프로그램이다. kdenlive는 동영상, 사운드, 슬라이드 쇼, 타이틀 등을 클립 단위로 여러 트랙에 늘어놓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배열하거나 영상 전환 효과 등을 넣는 편집 프로그램이다.

Avidemux의 편집 화면.

Kino의 편집 화면.

KDEnLive의 편집 화면.

Cinelerra는 우분투에서 이용할 수 있는 본격적인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따로 설치해야 한다. 파이어폭스를 열고 주소 창에 'akirad.cinelerra.org/poo/addakirad.deb'라고 입력해 파일을 내려 받은 다음 터미널에 다음 명령어를 입력한다.

wget -q http://akirad.cinelerra.org/pool/addakirad.deb& & dpkg -i addakirad.deb & & rm addakirad.deb & & sudo apt-get update

cinelerra의 화면 구성.

[ 관련기사 ]▶ 리눅스의 역사와 배포판 종류를 알아보자윈도에서 맛보는 포터블 리눅스데스크톱 환경과 용도에 맞는 리눅스 배포판 찾기리눅스 기반 인스턴트 온 OS, 지엑스박스차상국 pc사랑 기자(www.ilovepc.co.kr)'IT 제품의 모든것'-Copyright ⓒ ebuzz.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