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청사 공무원도 석면위험 영향권

황국상 기자 2009. 6. 9. 09: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머니투데이 황국상기자]

올들어 1급 발암물질 석면문제가 연이어 터지고 있다. 이번엔 정부종합청사가 석면가루를 흩날리는 주범으로 지목됐다.

시민환경연구소와 전국공무원노동조합, 한국석면추방네트워크 등 단체들은 9일 오전 11시 서울 누하동 환경연 건물 2층에서 서울 세종로 정부종합청사 석면철거 현장의 문제점을 조사한 보고서를 발표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진행되는 정부청사 내 소방시설과 천정 교체 공사 현장에는 음압기(실내 공기의 압력을 외부보다 낮게 해 미세먼지 등 분진의 유출을 막는 장치)가 설치되지 않았다.

또 석면 흩날림을 방지하기 위한 비닐막도 찢어져 있었고 작업현장의 창문도 열려 있어 석면가루가 외부로 유출될 우려가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천장골재 철골에 붙어 있는 석면 뿜칠재도 안전하게 처리되지 않았고 위험성이 높은 석면작업이라는 사실을 알리는 경고표시도 없었다.

작업자들이 안전복과 마스크, 신발덮개를 제대로 착용하지 않은 점도 문제로 지목됐다. 석면철거 현장에서 입고 있던 옷을 그대로 입고 인근 식당으로 식사를 하러 가는 것은 문제라는 지적이다. 안전복·마스크 등 장비에 묻어 있는 석면이 외부인에게 노출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석면폐기물은 노란색 비닐로 싸서 지정폐기물(일반폐기물보다 위험성이 높은 폐기물) 전용차량으로 운반돼야 하는데 세종로 청사 석면 뿜칠재는 따로 분리돼 처리되지 않은 것으로 보였다.

시민환경연구소 등 단체들은 △석면철거 작업자들의 건강문제 △공무원 등 청사건물을 이용하는 수천 명의 건강영향문제 △청사 주변환경의 석면오염 여부 등 사항이 추가로 조사돼야 한다고 밝혔다.

석면은 마그네슘과 규소를 포함하는 갈섬석 계열 암석 등 천연광물을 잘게 부숴 섬유로 만든 것을 이른다.

머리카락 5000분의 1 정도의 굵기로 솜처럼 부드럽고 보슬보슬한 질감이다. 길고 가늘게 갈라져 천으로 제조하는 게 가능하다. 기계적 강도가 강한 데다, 내열성, 내부식성, 내약품성, 흡음력이 뛰어나 자동차 부품이나 건축 자재로 주로 쓰인다.

석면이 호흡기를 통해 폐로 일단 들어오면 다른 이물질과 달리 절대 밖으로 배출되지 않는다. 이렇게 한번 흡입된 석면은 흉막에 물이 차는 '흉막삼출액'이나 늑막이 비정상적으로 두꺼워지는 '늑막비후', 석면이 흉막을 뚫어 흉막이 판처럼 두꺼워지는 '흉막반' 등 흉막질환들을 초래한다.[관련기사]☞ 정부-산업계, 생태관광 부흥 손잡는다"기온 1℃ 상승시 식중독 환자 6.2% 증가""CO₂감소 신기술? 숲보전에나 신경써라""美 CO2 규제, 244억달러 국고증가 효과"

모바일로 보는 머니투데이 "5200 누르고 NATE/magicⓝ/ez-i"

황국상기자 gshwang@<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