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체험 통한 삶의 의미 성찰

2009. 6. 7. 17:3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겨레] 우리말 논술 20. 국어 교과서로 논술 접근하기과목별 논술교과서 / [난이도 수준-중2~고1]

■ 교과서 읽기

논점 2. < 구운몽 > 에 나타난 욕망의 해소 방식

줄거리중국 당나라 때 인도에서 온 육관대사가 남악 형산 연화봉에서 불법을 베푼다. 동정 용왕이 설법 자리에 늘 참석하자 대사는 제자 성진(性眞)을 보내 사례하는데, 성진은 용왕의 술대접을 받고 돌아오던 중 석교에서 남악 위부인의 시녀 여덟 명을 만나 복숭아꽃으로 구슬을 만들어 준다. 성진은 팔선녀의 아름다움에 미혹당하고 세속의 부귀공명에 대한 욕망으로 번뇌하다가 이를 알게 된 육관대사의 명으로 팔선녀와 함께 인간 세상으로 추방된다.

성진은 회남 수주현에 사는 양처사의 아들 양소유로, 팔선녀는 각기 진채봉, 계섬월, 적경홍, 정경패, 가춘운, 이소화, 심요연, 백능파로 태어난다. 성진은 10살 때 부친이 신선의 세계로 떠나간 뒤 어머니를 모시고 지내다가 15살에 과거를 보러 떠난다. 그 과정에서 진채봉과 혼약을 정하나 반란이 일어나, 양소유는 남전산으로 피난을 가고 진채봉은 그 부친의 죄로 궁녀로 잡혀간다.

양소유는 남전산에서 도인에게 음악을 배우고 귀가했다가 이듬해 다시 과거길에 오른다. 그 과정에서 당시 이름난 기생이었던 계섬월과 인연을 맺고, 당대 최고의 규수인 정경패의 소문을 듣고는 그녀를 찾아간다. 후에 양소유는 장원 급제하여 한림학사가 된 뒤에 정경패와 혼약을 맺는다. 이때 정경패는 과거에 양소유에게 속은 부끄러움을 씻고자 자신의 종인 가춘운을 양소유의 첩으로 삼게 한다.

연나라 왕이 배반하자 양소유는 사신으로 가 항복을 받고 돌아오는 길에 자신을 찾아온 기생 적경홍과 인연을 맺는다. 예부 상서가 된 양소유는 퉁소 연주가 계기가 되어 난양 공주와 혼인하라는 황제의 명을 받으나 정경패와의 혼약을 들어 거부하다가 투옥된다.

토번이 침략하자 황제는 양소유로 하여금 대적하게 한다. 그는 연전연승하던 중 토번왕이 보낸 자객 심요연과 인연을 맺고, 동시에 꿈속에서 동정 용왕의 딸 백능파와 인연을 맺고는 그녀를 위해 남해 용왕의 아들을 제압한다. 한편 난양 공주는 정경패를 찾아가 그 인품에 감복하고, 태후는 정경패를 영양 공주에 봉한다. 개선한 양소유는 승상이 되고, 태후는 두 공주와 진채봉을 양소유와 결혼하게 한다.

양소유는 고향의 모친을 모시고 와 잔치를 열고, 황제의 동생 월왕과 낙유원에서 사냥 시합을 하는 등 처첩들과 더불어 행복한 나날을 보내고, 처첩들은 관음보살 앞에서 형제의 의를 맺는다. 세월이 흐른 뒤 양소유는 은퇴를 거듭 청하고, 황제는 마지못하여 취미궁을 하사하여 살게 한다.

은퇴 후 행복한 시간을 보내던 어느 날, 생일 즈음에 등고라는 명절을 맞아 취미궁 서녘의 높은 대에 올라가 여덟 부인과 가을 경치를 즐기던 양소유는 인생의 무상함을 느끼며 불도에 귀의할 결심을 하게 된다. 이때 갑자기 호승(胡僧: 육관대사)이 찾아와 지금까지의 꿈을 깨게 해준다. 꿈에서 깨어나 지금까지 경험한 모든 부귀영화가 결국은 한순간의 꿈임을 깨닫고는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며 불법에 정진하게 된다. 이때 팔선녀 또한 크게 뉘우치고 불도에 귀의하게 된다. 후에 육관대사는 성진에게 모든 것을 전수하고 서천(西天)으로 돌아가게 되고, 성진은 팔선녀와 함께 보살 대도를 얻어 아홉 사람이 함께 극락세계로 가게 된다.

어떻게 읽을까구운몽은 일반적으로 서포 김만중이 남해 유배지에서 어머니 윤씨 부인을 위로하기 위하여 하룻밤 동안에 지었다고 전해지는 고전 소설이다.

제목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이 소설은 꿈을 바탕으로 전개된다. 불자로서 속세의 욕망을 버리지 못한 성진과 팔선녀가 꿈을 통하여 인간 세상의 모든 부귀영화를 누린 뒤, 그것의 무상함을 깨닫고 불도에 정진하여 극락세계로 간다는 내용이다. 이런 내용은 < 조신몽 > 이라는 설화에서도 발견되는데, 이 때문에 < 조신몽 > 은 < 구운몽 > 의 근원 설화로 전해진다. 하지만 < 조신몽 > 은 주인공이 고생 끝에 스스로 깨달음에 이른다는 점과 돌미륵을 발견해 정토사를 세운다는 점에서 < 구운몽 > 과 차이를 보인다.

작품을 읽을 때에는 먼저 '꿈'이라는 장치에 주목해야 한다. 꿈은 인간의 억눌린 욕망이 분출하는 자리다. 꿈을 통해 인간은 실제 삶에서 하지 못하는 선택을 경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꿈을 통해 작가가 말하려는 게 무엇인지 파악해 보는 것은 작품의 주제를 이해하는 데 효과적이다. 꿈으로 표현되는 세속적 공간이 '인간계'로 설정되었다는 것 또한 주목할 만하다.

최종적으로는 이런 내용을 현대를 사는 우리가 어떻게 받아들일지 생각해보는 것이다. 인생무상에 대한 깨달음이라는 일반적인 주제를 그대로 받아들이기는 힘들기 때문이다. 역으로 생각하면 성진이 깨달음을 얻을 수 있었던 것은 양소유로서의 삶을 경험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비록 꿈으로 설정돼 있기는 하지만 어느 것이 꿈이고 어느 것이 꿈이 아니냐는 육관대사의 말을 떠올린다면 꿈이라는 구분이 더욱 모호해진다. 결국은 치열하게 삶을 산 만큼 더욱 인생의 깊은 의미를 깨달을 수 있다고도 할 수 있다. 물론 그것은 자신의 순간적인 욕망에 대한 것이 아닐 경우에 한해서일 것이다. 이상의 것들은 효과적인 토론의 주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논제 해결

억눌린 욕망 해소하는 긍정적 방법

(가)와 (나)에는 인간이 자신의 억눌린 욕망을 표출하는 각기 다른 모습이 제시되어 있다. 이를 비교·분석하고 이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서술하시오. (600자 안팎)

(가) < 홍길동전 > 의 줄거리 요약(나) < 구운몽 > 의 줄거리 요약해결 방향두 작품에는 공통적으로 억눌린 욕망을 지닌 주인공이 이를 해소하는 과정과 그 결말이 제시돼 있다. 현실 속에서 자신의 욕망을 성취하지 못한다는 설정과 그 욕망이 일정 부분 입신양명(출세해 이름을 세상에 떨침)에 관련돼 있다는 점에서는 비슷하지만 욕망을 달성하는 과정과 그 결과에서는 서로 차이점을 보인다.

홍길동은 서얼인 자신의 신분적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결국 활빈당이라는 도적단의 우두머리가 돼 자신의 능력을 펼치게 된다. 도적이라는 한계 때문에 나라에서 핍박을 받자 결국은 율도국이라는 이상 세계를 찾아 떠난다. 일단 한계에 부딪쳤을 때 이에 좌절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그것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지만, 자신의 욕망을 위해 부정적인 수단을 썼다는 점과 결국은 주어진 현실을 극복하지 못하고 그 곳에서 도피했다는 점에서 비판받을 수 있다.

이에 비해 성진은 자신의 이루지 못한 욕망에 번민하다가 스승의 도움으로 꿈속에서 모든 욕망을 해소한 뒤, 욕망이 부질없음을 깨닫고 불도에 정진해 극락세계에 간다. 한순간의 꿈으로 진리를 깨닫고 이후에 열심히 자신에게 주어진 길을 걸어갔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지만, 남의 도움으로 그런 깨달음에 이르게 되었다는 점과 직접 부딪치지 않고 간접 경험을 했다는 점은 비판받을 수 있다.

다만 육관대사의 도움으로 깨달음을 얻게 됐다는 점은 욕망을 해소하는 과정에서 교육의 필요성을 언급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도 있다.

이런 점을 바탕으로 억눌린 욕망을 해소할 수 있는 긍정적인 방법에 대해 다양한 견해를 제시할 수 있다. 다만 지나치게 미세하고 구체적인 방안보다는 총론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게 좋다.

세상을 보는 정직한 눈 < 한겨레 > [ 한겨레신문 구독| 한겨레21 구독]ⓒ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겨레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