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을찾아서] 해방이 됐으니 한문을 배워라 / 한승헌

2009. 1. 7. 19: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겨레] 한승헌-산민의 '사랑방 증언' 4

내가 다닌 안천초등학교.

목조 단층 건물에 교실 3개, 그러니까 두 학년이 한 교실을 쓰는 초소형 시골학교였다. 등 뒤와 옆구리는 마을의 초가지붕과 그 뒷동산이 반원형으로 둘러싸고, 교문 앞엔 맑은 시냇물이 흐르는 풍경이 무척 정겨웠다.

내가 입학한 때는 일본이 태평양전쟁을 일으킨 1941년 봄이었다. 전교생이래야 200명 안팎, 한 학년 평균 30명 남짓했다. 교장 선생님(일본 사람) 외에 세 분의 선생님이 각기 두 학년씩을 맡았다.

지금도 기억나는 분은 4학년 때 담임이시던 이영노(李永魯) 선생님이었다. 산과 들을 누비며 식물 채집에 몰입하시는 선생님의 그 집념이 화제가 되었다. 어린 우리들에게 '벼의 관찰' '무명(면)의 관찰'이라고 쓴 '관찰부'를 만들어 주시고선, 매일매일 그 성장 변화하는 모습을 직접 관찰하고 그림을 곁들인 일지를 작성해 내도록 하는 과제를 내주셨다. 그 밖에도 우리 어린 학생들이 주목했던 것은 선생님께서 일본인 교장과 자주 다투는 '사건'이었다. 민족의식에서 우러난 갈등과 분노의 표출이었던 것이다. 바로 이 선생님이 훗날 이화여대의 식물학 교수로서, 그 분야의 세계적 석학이 되신 이영노 박사님이었다.

학생 중에는 산 넘고 물 건너 10리도 넘는 길을 걸어서 통학하는 아이들도 있었다. 더러는 내복도 못 입은 채 조선옷(한복) 바람으로, 혹은 양말이나 신도 신지 못한 채 학교에 오기도 하였으며, 끼니조차 어려워 도시락도 없이 등교하는 아이들이 많았다. 교과서는 모두 일본어로 되어 있었으며, 소위 '국어 상용'이라고 해서 학교에선 조선말을 쓸 수가 없고, 오로지 일본말만 써야 했다.

나는 4학년 때, 전주에 있는 아이오이(相生) 국민학교(지금의 전주초등학교)로 전학을 했다. 중학교 진학을 위해서는 전주 같은 도시에 있는 국민학교를 다녀야 한다는 것이었다.

나는 농촌에서 부모님 농사나 집안일 도와드리며 살아갈 작정을 한 터여서, 굳이 도시 학교로 전학할 생각이 없었다. 그러나 부모님의 명을 따르지 않을 수가 없어서 전주에 나와 숙부님 댁에서 기식을 하며 낯선 학교엘 다녔다.

그 시절엔 지금과는 달리 겨울 날씨가 살을 엘 듯이 매섭게 추웠다. 열한 살의 나이에 부모님 곁을 떠나 객지에서 외롭게 지내다 보니, 외아들을 타관으로 보내고 슬하에 혈육 하나도 없이 쓸쓸하게 살아가시는 부모님 생각에 눈물이 나곤 했다. 전화도 없고 정기 버스조차 없던 산간벽지라서 더욱 그러했다.

5학년이 되면서부터 학교에도 전시 분위기가 완연했다. 미군 공습의 경보 사이렌이 울리면, 수업을 중단하고 방공호로 들어가거나 집으로 돌아가곤 했다. 송진 채취를 위한 솔뿌리 캐기와 모심기에 동원되기도 했다. 삼례평야의 논에서 모심기를 하다가 갑작스런 미군 비행기의 기총사격에 혼비백산하여 근처 다리 밑으로 정신없이 피신한 일도 있었다.

여름방학이 되어 고향집에 와 있는 동안 일본이 패망하고 뜻밖의 8·15 해방을 맞게 되었다. 절대로 승리한다고 호언장담하던 일본이 미국에 항복했다니, 머리에 혼란이 왔다. '황민화 교육'의 세뇌를 받은 어린이로서는 그럴 수밖에 없었다.

아버지는 이제 한문 공부를 해야 하니 전주에서 다시 안천으로 전학을 하라고 하셨다. 나는 도로 고향으로 돌아와, 낮에는 학교에 다니고 밤에는 서당에 가서 한문을 배웠다. 초등학교 교장을 지내신 훈장 선생님은 열의를 다하여 7, 8명 되는 우리들을 가르쳐 주셨다. 주로 중국의 고전에 나오는 명구들을 배웠기 때문에 훗날 그 배움의 진가를 실감하게 되었다.

초등학교의 교장 선생님 역시 한문에 해박하신 노인이어서 교훈도 '효(孝), 근(勤), 덕(德)'으로 정해서 한문풍이 넘쳐났다. 학년의 고하간에 처음엔 모두 <한글 첫걸음>이란 책으로 공부를 했다. 나는 다섯 살 때 아버지한테서 <천자문>을 배우면서 한글을 저절로 익힌 터여서 건성으로 앉아 있기만 했다. 역사 시간에 선생님께서 "역사가 무엇인지 아는 사람?"이라고 물으셨다. 그때 한 녀석이 일어서더니, "예, 장사같이 기운이 센 사람을 역사라고 합니다"라고 대답하여 폭소가 터진 적도 있었다.

해방 후의 혼돈 속에서 해가 바뀌고, 마침내 중학교 진학 문제로 고민해야 할 6학년이 되었다. 변호사

세상을 보는 정직한 눈 <한겨레> [ 한겨레신문 구독| 한겨레21 구독]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겨레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