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시문 정확한 독해, 평소 풍부한 배경지식 쌓아두면 유리

2007. 10. 14. 15:31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겨레] 이주의 교육테마 / 영어면접 대비 어떻게

■ 유형별로 본 영어 면접

대입 구술(면접)시험은 일반면접과 심층면접으로 나뉜다. 일반 면접은 학과 선택 동기, 수험생의 가치관 등 자기소개서에 기재사항에 준하는 내용에 대해 제시문 없이 묻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반면 심층면접은 대부분 제시문이 주어지고, 수험생이 대기 장소에서 답안을 정리한 뒤 면접에 임하게 된다. 심층면접 문제 유형은 논술과 비슷한데, 논술보다는 제시문 분량이 짧고 제시문 개수도 적게 주어진다. 즉, 논술 문제의 축소형이라고 보면 된다.

영어 면접은 '심층면접'에 해당하며, 영문 제시문이 주어지거나 영어로 묻고 대답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교육부 논술 가이드라인이 강화되면서 2006학년도 2학기부터 논술에서는 영어 지문을 쓸 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구술(면접)고사는 이런 제약을 받지 않고 있어 면접에서 영어 지문은 꾸준히 사용되고 있다. 대학에서 영어 면접을 실시하는 이유는 실질적인 대학 수학능력(외국어 구사 능력)을 평가하고 변별력을 확보하려는 데 있다. 국제학부의 경우 학부 특성상 일정 수준 이상의 영어 구사 능력을 요함에 따라 영어 면접을 실시하기도 한다.

영어 면접은 영문 지문을 한글 지문과 혼용해 쓰거나, 영어 단독 지문을 주고 우리말로 답하는 유형이 대부분이다. 단, 영어영문학과나 영어교육과의 경우 우리말 지문을 주고 영어로 번역하게 하거나, 영어 지문에 대해 영어로 답하도록 하기도 한다. 영어 면접 유형은 독해하기, 요약하기 또는 요지 파악하기, 핵심 내용에 대해 설명하기, 제시문과 관련된 질문 해결하기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김수연/ 영남사이버대학교 논술지도학과 교수

1. 독해

제시문 일부 또는 전부를 우리말로 해석하는 유형이다. 우리말로 해석만 하는 경우와 영문 제시문을 큰소리로 읽은 후, 해석하는 유형으로 나뉜다. 제시문을 소리 내어 읽게 하는 이유는 그렇게 함으로써 수험생의 말하기 능력 및 어휘력, 문장 구조에 대한 지식을 평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발음이 정확한가?', '억양이 자연스러운가?', '의미가 잘 전달될 수 있게 적절히 끊어 읽는가?', '문제에서 요구하는 대로 정확하게 해석했는가?' 등이 주요 평가 요소이다.

<예>아래 제시문을 읽고 해석하시오.

(2007학년도 덕성여대 수시 2)

These days, college lecture halls in the United States are being filled more and more by females rather than male students. Thirty years ago, male students were the majority on college campuses in the Unites States. Traditionally men acted as the breadwinner of the family and college was seen as the path to career advancement and higher salaries. But during the feminist movement of the 1970s, more women aspired to having careers and enrolled in college to pursue a degree. By the mid-1980s, more women than men were attending college.

2. 요약, 요지 파악

전체 제시문의 핵심 내용을 간추려 말하는 유형이다. 이 유형은 제시문이 설명(또는 주장)하고 있는 사항에 대한 필자의 입장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필자의 입장이 되어 주어진 글의 골격을 뽑아 짜임새 있게 구성한 후 자연스럽게 말해야 한다. 요약 유형은 제시문의 맨 앞 또는 맨 뒷 부분을 잘 읽어봐야 한다. 제시문으로 보통 한 두 단락 분량의 글이 주어지는데, 중심 문장이 단락의 맨 앞 혹은 뒤에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주의할 점은 단순히 몇몇 문장을 직역하여 나열하면 안 된다는 것이다. 제시문의 전체적인 내용을 정확히 이해한 후 이것을 자신의 문장으로 바꿔 연결해야 한다. 이 점에서 요약 또한 일종의 작문이라고 할 수 있다. 주어진 제시문이 주장하는 글일 경우 요약하여 답할 때도 주장의 근거가 빠지면 안 된다.

<예>인용문의 주제(topic)를 우리말 7단어 이상 10단어 이내로 요약하시오.

(2006학년도 서울여대 자연과학대학, 정보미디어대학 예시)

In Russia, there is a strong tradition of learning foreign languages. This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foreign language schools. In many ways, these schools are similar to other Russian public schools. They are comparable in one very important way: the students do not have to pay for their education. The schools also teach similar subjects. However, their differences are quite noticeable. One major difference is that most of the school subjects are taught in a foreign language (French, German, or English). Second, the students are different. Unlike the students in regular Russian-language schools, students are selected to attend these schools. Quite often they come from families with higher levels of education. The greatest difference lies in the language abilities of the students. In contrast to other Russian children, they learn to express themselves fluently in a foreign language.

3. 내용 설명

제시문에 나와 있는 개념이나 정의 등을 묻거나, 제시문 내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요구하는 유형이다. 제시문 내용 중 일부를 설명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제시문 내용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제시문을 정확히 독해해야 한다. 설명 과정에서 배경지식을 동원해야 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평소 다양한 분야에 대해 관심을 갖고 풍부한 배경지식을 습득하고 있을 경우 유리하다. 풍요로운 배경지식을 갖고 있을 경우 독해 과정에서도 도움을 받는다. 자신이 기존에 알고 있던 내용이면 독해하기 수월하기 때문이다.

<예>역사적으로 볼 때 사람들의 거주 지역(환경)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말하고, 이 변화에 중대한 영향을 준 역사적 사건을 말하시오.

(2007학년도 단국대 수시 1)

In the past, the vast majority of the world's population lived in rural areas or small communities. Most people worked in agriculture or in areas related to agriculture. But in the 19th century, this began to change in areas like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where the Industrial Revolution brought more and more people to the cities to work in industry and services. As the Industrial Revolution spread to other countries, the move from country to city became a world-wide tendency. People believed, and still believe, that there are more opportunities in big cities than in rural areas. By 2025, sixty-one percent of the world's population will live in urban areas.

4. 제시문 관련 문제

주어진 자료를 토대로 유추, 추론할 것을 요구하거나, 제시된 입장에 대한 찬·반 논의, 또는 제시문에 나타난 문제 상황을 해결하는 방법을 묻는 문제 등이 이 유형에 속한다. 제시문과 관련된 학생의 견해를 묻는 유형은 현재 쟁점이 되고 있는 사안을 주제로 한 경우가 많다. 최근 들어 단순히 시사 관련 상식을 묻는 선에서 벗어나, 일상적인 현상을 보편적 개념과 연결시켜 생각해 보도록 하는 문제도 출제되고 있다. 도덕적 딜레마 상황을 주고, 그것에 대한 견해를 물음으로써 인성 및 가치관의 분석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

<예>1. the following dialogue is cited from the Analects, showing two contradictory arguments about a person's uprightness. Read it carefully and answer the questions.(2005 서울시립대 수시 2)

the governor of Xie said to Confucius, "There is a very uprighting person in my country, and he indicted his father on a charge of theft when his father stole a sheep." Then Confucius said, "There are also upright people in my country, but different from the ones in yours. We define it as 'being uprighting' that a father tries to conceal his son's illegality and a son correspondingly tries to conceal his father's illegality."

Do you think that Confucius' definition of uprightness can be ethically justified? provide your own opinions about this, taking some examples.

■ 08학년도 대학별 영어면접 특징

성균관대

수시 2-1 글로벌리더 전형, 경영학 전형 등에서 국·영문 지문이 혼합된 형태로 출제된다. 통합교과 유형으로, 제시문에 표나 그림이 포함되기도 한다. 2007학년도 인문계 면접고사에서는 사회 현상과 관련된 도표와 영어 제시문을 함께 주고, 두 개의 문제를 단계별로 질문했다.

이화여대

고교추천 전형, 전문계 고교 전형에서 영문 공통문항과 국문 계열별 문항으로 구성된 심층면접을 실시한다. 면접시간은 총 15분~20분 정도이며, 면접위원 2~3인이 한 명의 학생을 면접하는 다대일 방식이다. 2007학년도 수시 2학기 고교추천 전형 면접고사에서는 한 단락 분량의 제시문을 주고, 제시문 내용 해설, 제시문에 내용에 기반한 추론, 자기 견해를 묻는 문제가 출제되었다.

한국외대

외대프런티어Ⅱ 전형 2단계 심층면접에 영어지문이 주어진다. 기출문제는 한 단락 정도의 영어 제시문을 소리 내어 읽고 해석하는 유형이 대부분이다.

서울시립대

면접 전 20분의 준비 시간을 가진 후, 면접위원 2명이 수험생 1명에 대해 15분간 면접을 실시한다. 두 개 문항 중 한 개 문항을 수험생이 선택하여 답변을 준비하는 방식으로 치러진다. 인문계열의 경우 영어 지문이 포함되며, 문제 또한 영어로 주어질 수 있다.

단국대

면접 전 20분 동안 준비한 후 6분 간 면접을 실시한다. 자연계열에도 영어면접이 포함된다. 제시문을 소리 내어 읽고 해석하기, 제시문 관련 내용 추론하기, 영어로 된 문제를 해석하고 답하기 등 다양한 유형의 문제가 주어진다.

서울여대

면접 전 각 영역별로 2~5문항으로 구성된 면접문항에 대해 25분 내외의 준비시간을 가진 후 2인 이상의 평가위원이 지원자 1인에 대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한다. 인문사회계열은 언어, 영어 문제, 자연계열은 수리, 영어 문제가 출제된다. 일반학생, 특기자(문학·어학)전형의 경우 3~4단락 정도 분량의 단독 제시문에 3문항 내외가 출제된다. 그 외 전형은 일반 및 특기자 전형보다 제시문 분량이 적은 편이다.

덕성여대

25분 내외의 준비시간을 가진 후, 1인당 10~15분 내외의 면접을 실시한다. 2인 이상의 평가위원이 지원자 1인을 평가한다. 인문·사회과학 계열은 언어 및 영어 문제, 자연과학 계열은 수학, 과학, 영어 문제가 출제된다.

ⓒ 한겨레(http://www.hani.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신뢰도 1위' 믿을 수 있는 언론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한겨레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