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귀열 영어] Where are you originally from? (고향이 어디세요?)

2007. 8. 24. 16: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출신지를 물을 때 예전에는 'Where are you from?'이라고 했다. 그런데 요즘은 'Where are you originally from?'이라는 말을 자주 듣는다. 이민 2세 K군의 경우 Seattle이 home town이지만 본래 한국 혈통이기 때문에 'He is originally from Korea'라고 표현한다.

이런 현상이 일반화되는 가장 큰 이유는 지구촌 사회(global village)의 이동성과 교류 때문이다. 예전의 이민 자녀들은 부모와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갖고 자랐지만 요즘엔 이들의 정체성과 경험이 새로운 계층으로 자리잡고 있다.

Third Culture Kids(TCK), 즉 '제3문화 자녀 '라는 용어는 Ruth Hill Useem 교수가 인도에 있는 미국인 자녀를 연구하면서 붙인 명칭이다. TCK는 부모와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갖는 다.

스스로 'internationals'라고 부르기도 한다. 부모가 경험한 첫 번째 문화, 자녀가 현지에서 태어나 겪는 두 번째 문화, 그리고 제3국에 가서 살면서 겪는 세 번째 문화와 그 자녀들이 있다. 이런 배경을 갖고 자란 성인은 Third Culture Adult라고 부른다.

국내 TCK(domestic TCK)도 있다. 자국 내에서 여러 지역을 옮겨 다니며 자란 자녀를 말한다. 이런 저런 배경이 뒤섞인 경우엔 Cross-cultural Kids(CCKs)라고 부른다.

다문화에 노출되는 TCK는 일반인보다 대학 진학률이 네 배나 높고 인생에서 성취욕이 크다고 한다. 그러나 오래 기간 해외에 살다가 고향에 돌아오면 '역문화충격'(reverse cultural shock)도 느끼게 된다.

직업이나 다른 사정으로 어쩔 수 없이 해외에서 살게 되는 성인은 'expariate', 줄여서 'expat'이라고 한다. 사전적 의미인 '국외추방자'가 아니라 '해외에 사는 동포'(People living abroad)라는 뜻이다.

ⓒ 한국아이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아이닷컴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