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셈그룹챔피언십] 변신의 귀재 '슈퍼땅콩' 또 일냈다

2007. 5. 8. 02:5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결국 마수걸이승은 '슈퍼 땅콩'의 손에서 만들어졌다.155㎝가 채 안 되는 단신. 꽉 찬 서른 생일도 4개월이나 지났다. 미국 무대를 밟은 지 8년째. 이제 8승째를 거두었으니 1년에 한 차례 꼴로 정상을 밟았을 뿐이다. 그러나 그의 우승은 언제나 순도가 높았다.12개월 전 부활샷으로 '투어 1세대'의 엄연한 존재를 각인시켰고, 이번엔 한국 선수 첫 승의 물꼬를 텄다."우승 상금 절반(11만달러·약 1억원)을 최근 캔자스의 토네이도 피해자에게 떼어주는 건 다른 한국 선수들에게도 도움이 되는 일"이라며 맏언니다운 넉넉함으로 성금을 쾌척했다.

슈퍼 땅콩의 서른 잔치

김미현(30·KTF)이 7일 오클라호마주 브로큰애로의 시더리지골프장(파71·6602야드)에서 막을 내린 미여자프로골프(LPGA)투어 셈그룹챔피언십 4라운드에서 '백전 노장' 줄리 잉스터(미국)를 제치고 우승컵을 품었다. 이븐파에 그쳤지만 합계 3언더파 210타로 잉스터를 공동 선두로 따라붙은 뒤 연장 첫번째 홀에서 잉스터를 따돌렸다. 지난 7개 대회 동안 한 차례도 우승을 낚지 못해 "집단 무기력증에 빠졌다."는 눈총을 받아온 '코리안 파워'의 목마름을 풀어낸 시원한 첫 승.

이날 김미현은 난이도 높은 코스와 쌀쌀한 날씨를 감안한 '지키는 골프'의 덕을 톡톡히 봤다. 새 달 47세가 되는 잉스터와의 18번홀 연장전. 둘의 두번째 샷은 나란히 그린을 놓쳤지만 김미현은 홀에서 10m가량 떨어진 프린지에서 퍼터를 사용, 홀 1.2m 거리에 붙인 뒤 파를 지킨 반면 잉스터는 4m짜리 파퍼트에 실패, 빈손으로 그린에서 내려왔다.

화두는 자기개혁

10개월 만에 정상을 다시 밟은 김미현의 뒤에는 끊임없는 '자기개혁'의 몸부림이 있었다. 사실 김미현은 이제껏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았다. 오히려 "너무 자주 바꾼다."는 지적이 더 많았을 정도. 퍼팅이 신통치 않으면 대회 매 라운드마다 요일별로 퍼터를 바꾼 적도 있었다. 스윙도 마찬가지. 동계훈련 동안 고친 스윙이 효과가 없으면 시즌 도중에 스윙을 바꾸는 일도 다반사였다.

'변화 강박증'이라고 꼬집기도 하지만 왜소한 체격과 짧은 비거리라는 약점투성이인 그로서는 "변하지 않으면 살아남지 못한다."는 절박한 심정에서 내린 결정이었다.

지난해 2승을 거두며 부활의 틀을 잡았지만 김미현은 지난 겨울 또 '개혁'에 착수했다. 주안점은 비거리 늘리기. 전담 코치 브라이언 모그는 "작은 체격 때문에 스윙 아크가 작은 김미현은 비거리를 늘리기 위해 존 댈리처럼 과도한 백스윙을 선택했는데 그건 잘못된 것"이라면서 "대신 정확한 타격 포인트를 찾고 빠른 다운스윙으로 비거리를 늘리자."고 제안했다. 하루 두 시간씩 집중 레슨을 받은 김미현은 "5월쯤 좋은 소식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고, 신통하게도 자신의 예언을 지켜냈다.

최병규기자 cbk91065@seoul.co.kr

"맛있는 정보! 신선한 뉴스!"

-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